이치도 우마레 오치타라
1度いちど生うまれ落おちたら
한 번 태어났다면
이 문장은 조건절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1度'는 '한 번'을 의미하며, '生まれ落ちたら'는 '태어났다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냅니다. '生まれ'는 '태어나다'의 연용형이며, '落ちたら'는 '떨어지다'의 가정형입니다. 전체적으로 '한 번 태어났다면'이라는 조건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횟수를 나타내는 명사로, '한 번'이라는 의미입니다.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이치도 1度 한 번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
이치도 다케 아이타이
1度だけ会いたい
한 번만 만나고 싶어
|
동사 '生まれる(태어나다)'의 연용형입니다. 生 날 생 우마레 生まれ 태어나 生 날 생 |
우마레루 生まれる 태어나다 코도모 가 우마레타
子供が生まれた
아이가 태어났다
|
동사 '落ちる(떨어지다)'의 가정형입니다. 落 떨어질 락 오치타라 落ちたら 떨어지면 落 떨어질 락 |
오치루 落ちる 떨어지다 린고 가 오치타라 히로우
リンゴが落ちたら拾う
사과가 떨어지면 줍는다
|
이키루 이미 오 사가시테
生いきる意味いみを探さがして
살아갈 의미를 찾아서
이 문장은 '生きる(살다)'라는 동사와 '意味(의미)'라는 명사, 그리고 '探して(찾아서)'라는 동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を'는 목적격 조사로, '生きる意味'이 '探して'의 목적어임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살아갈 의미를 찾아서'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살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생명을 유지하며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生 날 생 이키루 生きる 살다 生 날 생 |
카레 와 이나카 데 이키루 코토 오 에란다
彼は田舎で生きることを選んだ。
그는 시골에서 사는 것을 선택했다.
|
어떤 말이나 행동, 사물이 지니는 뜻이나 가치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意 뜻 의, 味 맛 미 이미 意味 의미 意 뜻 의, 味 맛 미 |
코노 코토바 노 이미 가 와카라나이
この言葉の意味が分からない。
이 말의 의미를 모르겠어.
|
목적격 조사로, 동작의 대상이 되는 사물이나 사람을 나타냅니다. 오 を ~을/를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찾다'의 연용형으로, '~해서'라는 연결의 의미를 가집니다. 探 찾을 탐 사가시테 探して 찾아서 探 찾을 탐 |
사가스 探す 찾다 코타에 오 사가시테 타비 니 데타
答えを探して旅に出た。
답을 찾아 여행을 떠났다.
|
소레와 소레와 킷토 네
それはそれはきっとね
그것은 그것은 분명히
이 문장은 감탄을 나타내는 'それはそれは'와 확신을 나타내는 'きっとね'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それはそれは'는 어떤 것을 강조하거나 감탄할 때 사용되는 표현이며, 'きっとね'는 '분명히, 틀림없이'라는 의미로 화자의 확신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화자가 어떤 것에 대해 강한 확신을 가지고 감탄하는 느낌을 전달합니다.
지시 대명사로, 화자로부터 떨어진 물건이나 상황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소레 それ 그것 |
소레와 난 데스 카
それは何ですか?
그것은 무엇입니까?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지시 대명사로, 화자로부터 떨어진 물건이나 상황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소레 それ 그것 |
소레와 와타시노 혼 데스
それは私の本です。
그것은 나의 책입니다.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와 は 는 |
코레와 펜 데스
これはペンです。
이것은 펜입니다.
|
확신을 나타내는 부사로, '틀림없이', '분명히'라는 의미입니다. 킷토 きっと 분명히 |
킷토 우마쿠 이쿠 요
きっとうまくいくよ。
분명히 잘 될 거야.
|
문장 끝에 붙어 동의를 구하거나 감정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네 ね ~지 |
이이 텐키 데스 네
いい天気ですね。
좋은 날씨네요.
|
카가야카시이 세카이 데
輝かがやかしい世界せかいで
빛나는 세계에서
이 문장은 '輝かしい(빛나는)'라는 형용사와 '世界(세계)'라는 명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で'는 장소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빛나는 세계에서'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형용사로 '빛나다', '빛나는'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긍정적이고 밝은 느낌을 줍니다. 輝 빛날 휘 카가야카시이 輝かしい 빛나는 輝 빛날 휘 |
카가야카시이 미라이 가 맛테 이루.
輝かしい未来が待っている。
빛나는 미래가 기다리고 있다.
|
명사로 '세계', '세상'을 의미합니다. 世 인간 세, 界 지경 계 세카이 世界 세계 世 인간 세, 界 지경 계 |
세카이 와 히로이.
世界は広い。
세계는 넓다.
|
조사로 장소나 수단 등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에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데 で 에서 |
갓코오 데 벤쿄우 스루.
学校で勉強する。
학교에서 공부한다.
|
다케도 춋토 미라이 가
だけどちょっと未来みらいが
하지만 조금 미래가
이 문장은 접속사 'だけど'로 시작하여 앞 문장과 대조를 이루며, 'ちょっと'는 '조금'이라는 의미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나타냅니다. '未来が'는 '미래가'라는 주어로, 뒤에 오는 서술어를 기대하게 만드는 구조입니다. 전체적으로 밝은 세계와 대비되는 미래의 불확실성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앞 문장과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갈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다케도 だけど 하지만 |
츠카레타. 다케도 간바루.
疲れた。だけど頑張る。
피곤해. 하지만 힘낼게.
|
양이나 정도가 적음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춋토 ちょっと 조금 |
춋토 맛테.
ちょっと待って。
조금만 기다려.
|
아직 오지 않은 시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未 아닐 미, 来 올 래 미라이 未来 미래 未 아닐 미, 来 올 래 |
미라이 오 캉가에루.
未来を考える。
미래를 생각하다.
|
주격 조사로, 앞의 명사가 문장의 주어임을 나타냅니다. 가 が 이/가 |
아메 가 후루.
雨が降る。
비가 온다.
|
카스무 토키 모 타타 아루
霞かすむ時ときも多々たたある
희미해질 때도 자주 있어
이 문장은 '霞む' (희미해지다) + '時' (때) + 'も' (도) + '多々' (자주) + 'ある' (있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霞む'는 동사로 '희미해지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時'는 명사로 '때'를 의미합니다. 'も'는 조사로 '도'라는 의미를 추가하며, '多々'는 부사로 '자주'를 의미합니다. 'ある'는 동사로 '있다'를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희미해질 때도 자주 있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희미해지다', '흐릿해지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주로 시야가 흐려지거나 미래가 불분명해질 때 사용됩니다. 霞 노을 하 카스무 霞む 희미해지다 霞 노을 하 |
토오쿠 노 야마 가 카슨데 이루
遠くの山が霞んでいる。
멀리 있는 산이 흐릿해 보인다.
|
'때', '시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時 때 시 토키 時 때 時 때 시 |
쇼쿠지 노 토키 와 시즈카 니 시마쇼우
食事の時は静かにしましょう。
식사할 때는 조용히 합시다.
|
조사로, '도'라는 의미를 추가합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키마스
私も行きます。
나도 갑니다.
|
'자주', '많이'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多 많을 다, 々 (반복 부호) 타타 多々 자주 多 많을 다, 々 (반복 부호) |
싯파이 와 타타 아루
失敗は多々ある。
실패는 자주 있다.
|
'있다', '존재하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아루 ある 있다 |
츠쿠에 노 우에 니 혼 가 아루
机の上に本がある。
책상 위에 책이 있다.
|
소레 가 보쿠 와 도오 니 모
それが僕ぼくはどうにも
그게 나는 도저히
이 문장은 주어(それが) + 주격 조사(は) + 서술어(どうにも)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それが'는 '그것이'를 의미하며, '僕は'는 '나는'을 나타내는 주어입니다. 'どうにも'는 '어찌할 수 없이'라는 의미로, 전체적으로 '그것이 나는 어찌할 수 없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지시 대명사로, 화자와 청자로부터 떨어진 대상을 가리킵니다. 소레 それ 그것 |
소레 와 난 데스 카?
それは何ですか?
그것은 무엇입니까?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가 が 이/가 |
와타시 가 이키마스.
私が行きます。
제가 갑니다.
|
남성이 자신을 낮추어 부르는 1인칭 대명사입니다. 僕 종 복 보쿠 僕 나 僕 종 복 |
보쿠 와 가쿠세이 데스.
僕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주어를 강조하는 조사입니다. 와 は 이/가 |
와타시 와 니혼진 데스.
私は日本人です。
저는 일본인입니다.
|
어떤 상황에 대해 아무런 대책이 없음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도오 니 모 どうにも 어찌할 수 없이 |
도오 니 모 나라나이.
どうにもならない。
어찌할 수 없다.
|
코와쿠테 타마라 나이
怖こわくてたまらない
무서워서 견딜 수 없어
이 문장은 형용사 '怖い(무섭다)'의 연용형 '怖く'에 접속조사 'て'와 보조형용사 'たまらない(견딜 수 없다)'가 결합된 구조입니다. '怖くてたまらない'는 '무서워서 견딜 수 없다'라는 의미로, 강한 감정 상태를 표현합니다.
형용사 '怖い(무섭다)'의 연용형 '怖く'에 접속조사 'て'가 붙은 형태로,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냅니다. 怖 두려워할 포 코와쿠테 怖くて 무서워서 怖 두려워할 포 |
코와이 怖い 무섭다 쿠라쿠테 코와이
暗くて怖い。
어두워서 무섭다.
|
감정이나 느낌이 매우 강해 참을 수 없음을 나타내는 보조형용사입니다. 타마라 나이 たまらない 견딜 수 없다 |
우레시쿠테 타마라 나이
嬉しくてたまらない。
기뻐서 견딜 수 없다.
|
지분 사가스 요리 모
自分じぶん探さがすよりも
자신을 찾는 것보다
이 문장은 '自分' (자신) + '探す' (찾다) + 'よりも' (~보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自分探す'는 '자신을 찾다'라는 의미의 동사구이며, 'よりも'는 비교를 나타내는 조사로 '~보다'로 해석됩니다. 전체적으로 '자신을 찾는 것보다'라는 비교 구문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자신을 지칭하는 명사로, 말하는 사람 본인을 가리킵니다.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지분 自分 자신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
지분 데 키메타이
自分で決めたい。
스스로 결정하고 싶어.
|
무언가를 찾거나 발견하려는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探 찾을 탐 사가스 探す 찾다 探 찾을 탐 |
카기 오 사가시테 이마스
鍵を探しています。
열쇠를 찾고 있어요.
|
비교를 나타내는 조사로, 어떤 것보다 더 우월하거나 선호됨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요리 모 よりも ~보다 |
요리 より 보다 코히 요리 모 오차 가 스키 데스
コーヒーよりもお茶が好きです。
커피보다 차를 더 좋아해요.
|
아리노 마마오 아이스호오가 이이
ありのままを愛あいす方ほうがいい
있는 그대로를 사랑하는 편이 좋아
이 문장은 'ありのままを'라는 부사구와 '愛す方がいい'라는 서술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ありのままを'는 '있는 그대로를'이라는 의미로, '愛す'는 '사랑하다'라는 동사, '方がいい'는 '~하는 편이 좋다'라는 조언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사랑하는 것이 좋다는 조언을 담고 있습니다.
'있는 그대로', '원래 모습 그대로'를 의미하는 일본어 표현입니다. 아리노 마마 ありのまま 있는 그대로 |
아리노 마마노 스가타가 우츠쿠시이
ありのままの姿が美しい。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 아름답다.
|
목적격 조사로, 동작의 대상이 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오 を 를 |
혼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사랑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愛する'의 약간 구어적인 형태입니다. 愛 사랑 애 아이스 愛す 사랑하다 愛 사랑 애 |
아이스루 愛する 사랑하다 카레와 시젠오 아이스
彼は自然を愛す。
그는 자연을 사랑한다.
|
'방법' 또는 '쪽'을 의미하는 명사로, 여기서는 '~하는 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方 모 방 호오 方 방법, 편 方 모 방 |
아루이테 이쿠 호오가 하야이
歩いて行く方が早い。
걸어가는 편이 빠르다.
|
주격 조사로, 문장의 주어를 나타냅니다. 가 が 가 |
아메가 후루
雨が降る。
비가 온다.
|
'좋다'라는 의미의 형용사입니다. 이이 いい 좋다 |
코노 혼와 이이
この本はいい。
이 책은 좋다.
|
나이테 모 와랏테 모
泣ないても笑わらっても
울어도 웃어도
이 문장은 두 개의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泣いても'는 '울어도', '笑っても'는 '웃어도'를 의미하며, 각각 '泣く(울다)'와 '笑う(웃다)'의 조건형입니다. '~ても'는 '~해도'라는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속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울어도 웃어도'라는 의미로, 어떤 상황에서도 변함없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울다'를 의미하는 동사 '泣く'의 연용형(て형)입니다. 泣 울 읍 나이테 泣いて 울어 泣 울 읍 |
나쿠 泣く 울다 카노조 와 나이테 이루
彼女は泣いている。
그녀는 울고 있다.
|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조사로, '~해도'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모 も 도 |
아메 가 풋테 모 이쿠
雨が降っても行く。
비가 와도 갈 거야.
|
'웃다'를 의미하는 동사 '笑う'의 연용형(て형)입니다. 笑 웃음 소 와랏테 笑って 웃어 笑 웃음 소 |
와라우 笑う 웃다 민나 데 와랏테 이루
みんなで笑っている。
모두 함께 웃고 있다.
|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조사로, '~해도'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모 も 도 |
싯파이 시테 모 아키라메나이
失敗しても諦めない。
실패해도 포기하지 않아.
|
아토모도리 난테 데키야 시나이 사
後戻あともどりなんて出来できやしないさ
뒤로 돌아갈 수는 없어
이 문장은 '後戻りなんて'와 '出来やしないさ'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後戻り'는 '후퇴'라는 명사로, 'なんて'는 '~같은 건'이라는 의미의 조사입니다. '出来'는 '할 수 있다'는 동사 'できる'의 어간이며, 'やしない'는 강한 부정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さ'는 감탄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후퇴 같은 건 절대로 할 수 없어'라는 강한 의지를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뒤로 돌아가다', '후퇴하다'라는 의미의 명사입니다. 後 뒤 후, 戻 어그러질 려 아토모도리 後戻り 후퇴 後 뒤 후, 戻 어그러질 려 |
아토모도리 와 데키나이
後戻りはできない。
후퇴는 할 수 없다.
|
앞에 오는 말을 경시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난테 なんて ~같은 건 |
싯파이 난테 키 니 시나이
失敗なんて気にしない。
실패 같은 건 신경 쓰지 않아.
|
'할 수 있다'는 의미의 동사 'できる'의 어간입니다. 出 날 출, 来 올 래 데키 出来 할 수 있다 出 날 출, 来 올 래 |
데키루 出来る 할 수 있다 니혼고 가 데키루
日本語が出来る。
일본어를 할 수 있다.
|
강한 부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절대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야 시나이 やしない 절대로 ~하지 않는다 |
아키라메 야 시나이
諦めやしない。
절대로 포기하지 않아.
|
가볍게 단정하는 기분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사 さ ~거야 |
소레 데 이이 사
それでいいさ。
그걸로 괜찮아.
|
아노 토키 아지왓타 코오카이 모
あの時とき味あじわった後悔こうかいも
그때 맛본 후회도
이 문장은 'あの時(그때)' + '味わった(맛본)' + '後悔(후회)' + 'も(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あの時'는 과거의 특정 시점을 가리키며, '味わった'는 '맛보다'라는 동사의 과거형으로 여기서는 '경험하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後悔'는 '후회'를 의미하는 명사이며, 'も'는 '~도'라는 의미의 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그때 경험한 후회도'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지시대명사로, 화자와 청자 모두가 알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아노 あの 그 |
아노 히토 와 다레 데스 카?
あの人は誰ですか?
그 사람은 누구입니까?
|
시간이나 시점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時 때 시 토키 時 때 時 때 시 |
코도모 노 토키, 코코 니 순데 이마시타
子供の時、ここに住んでいました。
어렸을 때 여기에 살았습니다.
|
동사 '味わう(맛보다)'의 과거형으로, 여기서는 문자 그대로의 맛보다보다는 '경험하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味 맛 미 아지왓타 味わった 맛본 味 맛 미 |
아지와우 味わう 맛보다 진세이 노 쿠루시미 오 아지왓타
人生の苦しみを味わった。
인생의 고통을 맛보았다.
|
과거의 행동이나 결정에 대해 후회하는 감정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後 뒤 후, 悔 뉘우칠 회 코오카이 後悔 후회 後 뒤 후, 悔 뉘우칠 회 |
코오카이 시나이 센타쿠 오 시요우
後悔しない選択をしよう。
후회하지 않는 선택을 하자.
|
조사로, '~도'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앞의 명사에 추가적인 의미를 부여합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키마스
私も行きます。
저도 갑니다.
|
진세이 노 스파이스 니 나루 다로오
人生じんせいのスパイスになるだろう
인생의 향신료가 될 거야
이 문장은 '人生のスパイスになるだろう'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人生'은 '인생', 'の'는 소유격 조사, 'スパイス'는 '향신료', 'に'는 변화의 결과를 나타내는 조사, 'なる'는 '되다', 'だろう'는 추측을 나타내는 보조동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인생의 향신료가 될 거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인생'을 의미하는 명사로, 사람의 일생을 나타냅니다. 人 사람 인, 生 날 생 진세이 人生 인생 人 사람 인, 生 날 생 |
진세이 와 나가이 타비 다
人生は長い旅だ。
인생은 긴 여행이다.
|
소유격 조사로, 앞에 오는 명사가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향신료'를 의미하는 명사로, 음식에 맛을 내는 재료를 가리키며 여기서는 인생의 맛을 내는 요소로 비유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스파이스 スパイス 향신료 |
카레에 스파이스 오 쿠와에루
カレーにスパイスを加える。
카레에 향신료를 넣다.
|
조사로, 여기서는 변화의 결과를 나타내며 '~로'로 해석됩니다. 니 に ~에게, ~로 |
미즈 가 코오리 니 나루
水が氷になる。
물이 얼음이 되다.
|
'되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나루 なる 되다 |
오토나 니 나루
大人になる。
어른이 되다.
|
추측을 나타내는 보조동사로, 말하는 사람의 추측이나 확신을 표현합니다. 다로오 だろう ~일 거야 |
아시타 와 하레루 다로오
明日は晴れるだろう。
내일은 날씨가 좋을 거야.
|
아노 토키 아지왓타 요로코비 가
あの時とき味あじわった喜よろこびが
그때 맛본 기쁨이
이 문장은 'あの時' (그때) + '味わった' (맛본, 경험한) + '喜び' (기쁨) + 'が' (주격 조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그때 경험한 기쁨이'라는 의미를 전달하며, 주어 역할을 하는 명사구입니다. 'あの時'는 과거의 특정 시점을 가리키고, '味わった'는 과거에 경험한 감정을 나타내며, '喜び'는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명사입니다.
지시대명사로, 화자와 청자 모두 알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여기서는 과거의 특정 시점을 가리킵니다. 아노 あの 그 |
아노 히토 와 다레 데스 카?
あの人は誰ですか?
그 사람은 누구입니까?
|
시간이나 시점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여기서는 과거의 특정한 순간을 의미합니다. 時 때 시 토키 時 때 時 때 시 |
타노시이 토키 오 스고시마시타
楽しい時を過ごしました。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
동사 '味わう'의 과거형으로, '경험하다', '체험하다', '맛보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는 과거에 어떤 감정을 경험했음을 나타냅니다. 味 맛 미 아지왓타 味わった 맛본 味 맛 미 |
아지와우 味わう 맛보다 진세이 노 쿠루시미 오 아지왓타
人生の苦しみを味わった。
인생의 고통을 맛보았다.
|
기쁨, 즐거움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喜 기쁠 희 요로코비 喜び 기쁨 喜 기쁠 희 |
코도모 노 세이초우 와 오야 노 요로코비 데스
子供の成長は親の喜びです。
아이의 성장은 부모의 기쁨입니다.
|
주격 조사로, 문장에서 주어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앞에 오는 명사가 문장의 주어임을 나타냅니다. 가 が ~이 |
사쿠라 가 사키마시타
桜が咲きました。
벚꽃이 피었습니다.
|
이마 아루쿠 미치 노 무코우 테라시테 이루
今いま歩あるく道みちの向むこう照てらしている
지금 걷고 있는 길의 저편을 비추고 있어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문장으로, '今歩く道の向こう'가 목적어, '照らしている'이 서술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今歩く道'는 '지금 걷고 있는 길'을 의미하며, 'の向こう'는 '저편'을 나타냅니다. '照らしている'은 '비추고 있다'는 의미의 동사로, 현재 진행형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과거의 기쁨이 현재의 길을 비추고 있다는 은유적인 표현입니다.
현재의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今 이제 금 이마 今 지금 今 이제 금 |
이마 난지 데스 카
今何時ですか。
지금 몇 시입니까?
|
발로 걸어다니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歩 걸음 보 아루쿠 歩く 걷다 歩 걸음 보 |
코우엔 오 아루쿠
公園を歩く。
공원을 걷다.
|
사람이나 차량이 다니는 길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道 길 도 미치 道 길 道 길 도 |
코노 미치 오 맛스구 잇테 쿠다사이
この道をまっすぐ行ってください。
이 길을 똑바로 가세요.
|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데스
私の本です。
제 책입니다.
|
어떤 장소의 반대쪽이나 먼 곳을 가리키는 명사입니다. 向 향할 향 무코우 向こう 저편 向 향할 향 |
무코우 니 미에루 야마
向こうに見える山
저편에 보이는 산
|
빛을 내어 어떤 것을 밝히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현재 진행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照 비칠 조 테라시테 이루 照らしている 비추고 있다 照 비칠 조 |
테라스 照らす 비추다 츠키 가 니와 오 테라시테 이루
月が庭を照らしている。
달이 정원을 비추고 있다.
|
하지 오 시리 하지메타라
恥はじを知しり始はじめたら
부끄러움을 알기 시작하면
이 문장은 '恥를 知り始めたら'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恥'는 '부끄러움'을 의미하는 명사, 'を'는 목적격 조사, '知り'는 '알다'의 연용형, '始めたら'는 '시작하다'의 가정형입니다. 전체적으로 '부끄러움을 알기 시작하면'이라는 의미의 가정문입니다.
'부끄러움'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恥 부끄러울 치 하지 恥 부끄러움 恥 부끄러울 치 |
하지 오 카쿠
恥をかく
부끄러움을 당하다
|
목적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오 を 을/를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알다'라는 의미의 동사 '知る'의 연용형입니다. 知 알 지 시리 知り 알다 知 알 지 |
시루 知る 알다 신지츠 오 시루
真実を知る
진실을 알다
|
'시작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始める'의 가정형입니다. 始 비로소 시 하지메타라 始めたら 시작하다 始 비로소 시 |
하지메루 始める 시작하다 시고토 오 하지메루
仕事を始める
일을 시작하다
|
이키루 코토 니 오비에테
生いきることに怯おびえて
살아가는 것을 두려워하며
이 문장은 동사 '生きる'와 조사 'ことに'가 결합하여 '살아가는 것을'이라는 의미를 만들고, '怯えて'는 '두려워하며'라는 의미로 문장을 마무리합니다. 전체적으로 '살아가는 것을 두려워하며'라는 뜻의 문장입니다.
'살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생명을 유지하며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生 날 생 이키루 生きる 살다 生 날 생 |
카레 와 시아와세 니 이키테 이루
彼は幸せに生きている。
그는 행복하게 살고 있다.
|
추상적인 사물이나 행위를 가리키는 명사입니다. 코토 こと 것 |
타베루 코토 가 스키 다
食べることが好きだ。
먹는 것을 좋아한다.
|
목적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을 |
혼 오 요무 코토 니 시타
本を読むことにした。
책을 읽기로 했다.
|
'두렵다'라는 의미의 동사 '怯える'의 연용형(て형)입니다. 怯 겁낼 겁 오비에테 怯えて 두려워하며 怯 겁낼 겁 |
오비에루 怯える 두려워하다 카레 와 쿠라야미 오 오비에테 이루
彼は暗闇を怯えている。
그는 어둠을 두려워하고 있다.
|
아지 노 나이 후랏토 니
味あじのないフラットに
무미건조한 평범함으로
이 문장은 '味のない(맛없는)'라는 형용사구와 'フラットに(평평하게)'라는 부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味のない'는 '맛이 없다'는 의미로, 'フラットに'는 '평평하게, 평범하게'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맛없는 평범함으로'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음식의 맛이나 감각적인 느낌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味 맛 미 아지 味 맛 味 맛 미 |
코노 료리 와 아지 가 코이 데스
この料理は味が濃いです。
이 요리는 맛이 진하다.
|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부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없다'라는 의미입니다. 나이 ない 없는 |
오카네 가 나이
お金がない。
돈이 없다.
|
평평함이나 평범함을 의미하는 외래어 명사입니다. 후랏토 フラット 평평한 |
후랏토 나 지멘
フラットな地面
평평한 땅
|
방향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로 |
갓코오 니 이쿠
学校に行く。
학교에 가다.
|
모도루 쿠세 가 츠쿠케도
戻もどる癖くせがつくけど
돌아가는 습관이 들지만
이 문장은 '戻る' (돌아가다) 동사와 '癖がつく' (습관이 들다) 표현이 결합된 구조입니다. 'けど'는 접속사로 '하지만'이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돌아가는 습관이 들지만'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돌아가다', '되돌아가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원래의 장소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나타냅니다. 戻 어그러질 려 모도루 戻る 돌아가다 戻 어그러질 려 |
이에 니 모도루
家に戻る
집으로 돌아가다
|
'습관', '버릇'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어떤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癖 버릇 벽 쿠세 癖 습관 癖 버릇 벽 |
와루이 쿠세
悪い癖
나쁜 습관
|
주격 조사로, 문장에서 주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가 が 이/가 |
네코 가 이루
猫がいる
고양이가 있다
|
'생기다', '붙다', '들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여기서는 습관이 생기는 것을 나타냅니다. 츠쿠 つく 들다 |
슈칸 가 츠쿠
習慣がつく
습관이 들다
|
접속사로, 앞뒤 문장을 대조적으로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그러나'의 의미를 가집니다. 케도 けど 하지만 |
이키타이 케도 지칸 가 나이
行きたいけど時間がない
가고 싶지만 시간이 없다
|
다레 시모 가 코와이 모노
誰だれしもが怖こわいもの
누구라도 무서운 것을
이 문장은 주어(誰しもが) + 술어(怖いもの)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誰しもが'는 '누구나가'라는 의미로, '怖いもの'는 '무서운 것'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누구나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의문사로 '누구'를 의미하는 대명사입니다. 誰 누구 수 다레 誰 누구 誰 누구 수 |
다레 가 키타 노
誰が来たの?
누가 왔어?
|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로, '~도'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시모 しも ~도 |
다레 시모 싯테 이루
誰しも知っている
누구나 알고 있다
|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냅니다. 가 が 이/가 |
와타시 가 이키마스
私が行きます
제가 갈게요
|
형용사로 '무섭다'라는 의미입니다. 怖 두려워할 포 코와이 怖い 무서운 怖 두려워할 포 |
코와이 유메 오 미타
怖い夢を見た
무서운 꿈을 꿨어
|
명사로 '것'을 의미합니다. 모노 もの 것 |
타이세츠 나 모노
大切なもの
소중한 것
|
카카에테 이키테 이루 카라
抱かかえて生いきているから
안고 살고 있으니까
이 문장은 '抱えて'(안고) + '生きている'(살고 있다) + 'から'(이므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抱えて'는 '안고'라는 의미의 동사 '抱える'의 연용형이며, '生きている'은 '살고 있다'는 의미의 동사 '生きる'의 진행형입니다. 'から'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조사로 '~이므로'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전체적으로 '무언가를 안고 살고 있기 때문에'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안고 있다'라는 의미의 동사 '抱える'의 연용형으로, 무언가를 지니고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抱 안을 포 카카에테 抱えて 안고 抱 안을 포 |
카카에루 抱える 안다 니모츠 오 카카에테 아루쿠
荷物を抱えて歩く。
짐을 안고 걷다.
|
'살다'라는 의미의 동사 '生きる'의 연용형으로, 생명을 유지하거나 삶을 영위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生 날 생 이키테 生きて 살고 生 날 생 |
이키루 生きる 살다 카레 와 세이잇파이 이키테 이루
彼は精一杯生きている。
그는 최선을 다해 살고 있다.
|
동작이나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보조동사입니다. 이루 いる 있다 |
혼 오 욘데 이루
本を読んでいる。
책을 읽고 있다.
|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조사입니다. 카라 から 이므로 |
츠카레타 카라 야스무
疲れたから休む。
피곤하므로 쉰다.
|
스베테 아이스난테 사
全すべて愛あいすなんてさ
모든 걸 사랑한다니 말이야
이 문장은 '全て' (모든 것) + '愛す' (사랑하다) + 'なんて' (~라는 것은) + 'さ' (감탄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全て愛す'는 '모든 것을 사랑한다'라는 의미이며, 'なんてさ'는 그런 행동을 경시하거나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어조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모든 것을 사랑한다는 건 말이야'라는 뉘앙스의 문장입니다.
'모든 것', '전부'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全 온전 전 스베테 全て 모든 것 全 온전 전 |
스베테 가 우마쿠 잇타
全てがうまくいった。
모든 것이 잘 되었다.
|
'사랑하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愛する'의 구어체 형태입니다. 愛 사랑 애 아이스 愛す 사랑하다 愛 사랑 애 |
아이스루 愛する 사랑하다 카레 와 시젠 오 아이스
彼は自然を愛す。
그는 자연을 사랑한다.
|
앞에 오는 내용을 경시하거나 부정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난테 なんて ~라는 것은 |
카레 가 우소츠키 다 난테 신지라레나이
彼が嘘つきだなんて信じられない。
그가 거짓말쟁이라는 건 믿을 수 없어.
|
가볍게 단정하는 기분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사 さ ~말이야 |
소레 와 치가우 사
それは違うさ。
그건 틀렸어.
|
야보 나 하나시 다 요
野暮やぼな話はなしだよ
세상 물정 모르는 이야기야
이 문장은 '野暮な' (야비한)이라는 형용사와 '話' (이야기)라는 명사, 그리고 'だよ' (말야)라는 종조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野暮な'는 '야비한', '촌스러운'이라는 의미의 형용사로, '話'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だよ'는 문장을 친근한 어조로 마무리하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야비한 이야기야'라는 의미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표현입니다.
'세상 물정에 어두운', '촌스러운'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입니다. 예의나 품위가 없거나 세련되지 못한 것을 나타냅니다. 野 들 야, 暮 저물 모 야보 野暮 세상 물정 모름 野 들 야, 暮 저물 모 |
야보 나 캇코오 오 시테 이루
野暮な格好をしている。
촌스러운 차림새를 하고 있다.
|
형용사를 명사 앞에서 수식할 때 사용하는 어미입니다. 나 な ~한 |
다 だ ~이다 시즈카 나 헤야
静かな部屋
조용한 방
|
'이야기', '말'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話 말씀 화 하나시 話 이야기 話 말씀 화 |
오모시로이 하나시 오 키이타
面白い話を聞いた。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다.
|
명사나 형용사와 결합하여 서술어 역할을 하는 조동사입니다. 다 だ ~이다 |
코레 와 혼 다
これは本だ。
이것은 책이다.
|
문장 끝에 붙어 강조나 친근한 어조를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요 よ ~야 |
다이조부 다 요
大丈夫だよ。
괜찮아.
|
지분 지신 노 카치 와
自分じぶん自身じしんの価値かちは
자신의 가치는
이 문장은 주어(自分自身の価値) + 조사(は)로 구성된 명사절입니다. '自分自身の価値'는 '자신의 가치'를 의미하며, 조사 'は'는 주제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자신의 가치에 대한 주제를 제시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자신을 가리키는 1인칭 대명사로, 말하는 사람 본인을 지칭합니다.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지분 自分 자기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
지분 노 코토 와 지분 데 키메루
自分のことは自分で決める
자신의 일은 스스로 결정한다
|
앞의 명사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바로 그 자신'이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自 스스로 자, 身 몸 신 지신 自身 자신 自 스스로 자, 身 몸 신 |
카레 지신 가 소우 잇타
彼自身がそう言った
그 자신이 그렇게 말했다
|
소유나 속함을 나타내는 조사로, 앞의 명사가 뒤의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어떤 사물이나 사람이 지닌 가치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価 값 가, 値 값 치 카치 価値 가치 価 값 가, 値 값 치 |
코노 에 니 와 오오키나 카치 가 아루
この絵には大きな価値がある
이 그림에는 큰 가치가 있다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의 주제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다레 니 모 키메 라레 야 시 나이 카라
誰だれにも決きめられやしないから
누구에게도 정해질 수 없으니까
이 문장은 일본어의 부정형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誰にも'는 '누구에게도'라는 의미로, '決められやしない'는 '決める(정하다)'의 수동형 '決められる'에 부정의 강조 표현 'やしない'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から'는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이니까'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전체적으로 '누구에게도 정해질 수 없으니까'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의문대명사로 '누구'를 의미합니다. 誰 누구 수 다레 誰 누구 誰 누구 수 |
다레 가 키타 노
誰が来たの?
누가 왔어?
|
조사로 방향이나 대상을 나타냅니다. 니 に 에게 |
토모다치 니 아우
友達に会う
친구를 만나다
|
조사로 '도'라는 의미를 추가합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쿠
私も行く
나도 갈 거야
|
'決める(정하다)'의 수동형으로 '정해지다'라는 의미입니다. 決 결단할 결 키메 라레 決められ 정해지다 決 결단할 결 |
키메루 決める 정하다 루루 가 키메 라레타
ルールが決められた
규칙이 정해졌다
|
부정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하지 않다'라는 의미입니다. 야 시 나이 やしない 하지 않다 |
야루 やる 하다 카레 와 벤쿄 야 시 나이
彼は勉強やしない
그는 공부하지 않아
|
접속사로 이유를 나타내며 '~이니까'라는 의미입니다. 카라 から 이니까 |
츠카레타 카라 야스무
疲れたから休む
피곤하니까 쉴 거야
|
나이테 모 와랏테 모
泣ないても笑わらっても
울어도 웃어도
이 문장은 두 개의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泣いても'는 '울어도', '笑っても'는 '웃어도'를 의미하며, 각각 '泣く(울다)'와 '笑う(웃다)'의 조건형입니다. '~ても'는 '~해도'라는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속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울어도 웃어도'라는 의미로, 어떤 상황에서도 변함없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울다'를 의미하는 동사 '泣く'의 연용형(て형)입니다. 泣 울 읍 나이테 泣いて 울어 泣 울 읍 |
나쿠 泣く 울다 카노조 와 나이테 이루
彼女は泣いている。
그녀는 울고 있다.
|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조사로, '~해도'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모 も 도 |
아메 가 풋테 모 이쿠
雨が降っても行く。
비가 와도 갈 거야.
|
'웃다'를 의미하는 동사 '笑う'의 연용형(て형)입니다. 笑 웃음 소 와랏테 笑って 웃어 笑 웃음 소 |
와라우 笑う 웃다 민나 데 와랏테 이루
みんなで笑っている。
모두 함께 웃고 있다.
|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조사로, '~해도'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모 も 도 |
싯파이 시테 모 아키라메나이
失敗しても諦めない。
실패해도 포기하지 않아.
|
키미 노 마마 데 이라레룬 다요
君きみのままでいられるんだよ
너는 그대로 있을 수 있어
이 문장은 '君のままで(너 그대로)' + 'いられる(있을 수 있다)' + 'んだよ(강조 표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君のままで'는 '너의 그대로'라는 의미로, 'いられる'는 '있을 수 있다'는 가능의 의미를 나타내며, 'んだよ'는 설명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하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너는 그대로 있을 수 있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2인칭 대명사로, 친근한 사이에서 사용하는 '너'를 의미합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君 임금 군 |
키미 와 다이조부?
君は大丈夫?
너 괜찮아?
|
소유격 조사로, 앞에 오는 명사가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그대로'라는 의미로, 상태의 유지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마마 데 ままで 그대로 |
마마 まま 그대로 코노 마마 데 이이
このままでいい
이대로 괜찮아
|
'いる(있다)'의 가능형으로, '있을 수 있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라레루 いられる 있을 수 있다 |
이루 いる 있다 코코 니 이라레루?
ここにいられる?
여기에 있을 수 있어?
|
설명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하는 종조사입니다. 은다 んだ ~이다 |
노다 のだ ~이다 다이조부 난 다
大丈夫なんだ
괜찮은 거야
|
문장 끝에 붙어서 주의를 환기하거나 강조하는 종조사입니다. 요 よ ~야 |
싯테루 요
知ってるよ
알고 있어
|
히비 니 히비 가 하이루 소레 다케 데
日々ひびにヒビが入はいるそれだけで
일상에 금이 가는 것만으로
이 문장은 일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日々に'는 '매일', 'ヒビが'는 '금이', '入る'는 '들어가다/생기다', 'それだけで'는 '그것만으로'라는 의미입니다. 전체적으로 '매일 금이 가는 것만으로'라는 의미를 전달하며, 일상의 균열이나 문제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매일' 또는 '날마다'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日 날 일, 々 (반복 부호) 히비 日々 매일 日 날 일, 々 (반복 부호) |
히비 노 세이카츠 가 타노시이
日々の生活が楽しい。
매일의 생활이 즐겁다.
|
방향이나 대상, 시간 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갓코오 니 이쿠
学校に行く。
학교에 간다.
|
균열이나 금이 가는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히비 ヒビ 금 |
가라스 니 히비 가 하잇타
ガラスにヒビが入った。
유리에 금이 갔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가 が 이 |
아메 가 후루
雨が降る。
비가 온다.
|
무언가가 안으로 들어가거나 생기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入 들 입 하이루 入る 들어가다 入 들 입 |
미즈 가 콧푸 니 하이루
水がコップに入る。
물이 컵에 들어간다.
|
앞서 언급된 것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입니다. 소레 それ 그것 |
소레 와 와타시 노 혼 데스
それは私の本です。
그것은 나의 책입니다.
|
한정이나 제한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다케 だけ 만 |
코레 다케 타베루
これだけ食べる。
이것만 먹는다.
|
수단이나 방법, 이유 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 で 으로 |
덴샤 데 이쿠
電車で行く。
전철로 간다.
|
나니모 카모 이야 니 나루 야메타쿠 나루
なにもかも嫌いやになる辞やめたくなる
모든 게 싫어져 그만두고 싶어져
이 문장은 두 개의 동사구로 이루어진 복합문입니다. 첫 번째 부분 'なにもかも嫌になる'은 '모든 것이 싫어지다'라는 의미로, 'なにもかも'는 '모든 것', '嫌になる'은 '싫어지다'를 나타냅니다. 두 번째 부분 '辞めたくなる'은 '그만두고 싶어지다'라는 의미로, '辞める'은 '그만두다', '~たくなる'은 '~하고 싶어지다'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모든 것이 싫어져서 그만두고 싶은 감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모든 것', '전부'라는 의미의 부정대명사입니다. 강조를 위해 'なにも'와 'かも'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나니모 카모 なにもかも 모든 것 |
나니모 카모 우시낫타
なにもかも失った
모든 것을 잃었다
|
'싫다', '혐오하다'라는 의미의 형용사입니다. 여기서는 '嫌になる' 형태로 '싫어지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嫌 싫어할 혐 이야 嫌 싫다 嫌 싫어할 혐 |
코노 시고토 가 이야 니 낫타
この仕事が嫌になった
이 일이 싫어졌다
|
부사적 용법의 조사로, 상태 변화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니 に ~하게 |
키레이 니 나루
きれいになる
예뻐지다
|
'되다', '~한 상태가 되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여기서는 앞의 형용사와 결합하여 '싫어지다'라는 의미를 만듭니다. 나루 なる 되다 |
오토나 니 나루
大人になる
어른이 되다
|
'그만두다', '중단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辞める'의 연용형입니다. 辞 말씀 사 야메 辞め 그만두다 辞 말씀 사 |
야메루 辞める 그만두다 시고토 오 야메타
仕事を辞めた
일을 그만뒀다
|
'~하고 싶다'라는 희망을 나타내는 보조형용사 'たい'의 연체형입니다. 타쿠 たく ~하고 싶다 |
타이 たい ~하고 싶다 타베타쿠테 타마라 나이
食べたくてたまらない
먹고 싶어 견딜 수 없다
|
다시 한 번 '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여기서는 '~하고 싶어지다'라는 의미를 완성합니다. 나루 なる 되다 |
이키타쿠 나루
行きたくなる
가고 싶어지다
|
다케도 세카이 와 키 니 모 토메즈
だけど世界せかいは気きにも留とめず
하지만 세계는 신경도 쓰지 않고
이 문장은 접속사 'だけど'로 시작하여 앞 문장과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갑니다. '世界は'가 주어, '気にも留めず'가 서술어로 구성된 문장입니다. '気にも留めず'는 '신경도 쓰지 않고'라는 의미로, '気'는 '마음, 신경', '留める'는 '두다, 멈추다'의 의미를 가집니다. 부정형 'ず'가 사용되어 '~하지 않고'라는 부정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하지만 세계는 신경도 쓰지 않는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앞 문장과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갈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그러나', '하지만'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다케도 だけど 하지만 |
츠카레타. 다케도 간바루.
疲れた。だけど頑張る。
피곤해. 하지만 힘낼게.
|
'세상', '세계'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世 인간 세, 界 지경 계 세카이 世界 세계 世 인간 세, 界 지경 계 |
세카이 와 히로이.
世界は広い。
세계는 넓다.
|
주격 조사로, 문장의 주제를 나타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마음', '기분', '주의' 등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気 기운 기 키 気 마음 気 기운 기 |
키 오 츠케테.
気をつけて。
조심해.
|
방향이나 대상 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갓코오 니 이쿠.
学校に行く。
학교에 간다.
|
부사로, '또한', '~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쿠.
私も行く。
나도 간다.
|
'留める'의 부정형으로, '두지 않다', '멈추지 않다'라는 의미입니다. 'ず'는 부정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留 머무를 류 토메즈 留めず 두지 않고 留 머무를 류 |
토메루 留める 두다 카레 와 아시 오 토메즈니 아루키 츠즈케타.
彼は足を留めずに歩き続けた。
그는 발을 멈추지 않고 계속 걸었다.
|
나니고토 모 나이 카 노 요오 나츠 와 메구루
何事なにごとも無ないかのよう夏なつは巡めぐる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여름은 돌아와
이 문장은 일본어의 전형적인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何事も'는 '아무 일도'라는 부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시작하여, '無いかのよう'는 '없는 것처럼'이라는 비유적 표현을 이어갑니다. '夏は巡る'는 '여름은 돌아온다'라는 주어(夏) + 조사(は) + 동사(巡る)의 기본 구조를 가집니다. 전체적으로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여름은 돌아온다'라는 의미를 전달하며, 과거의 일을 회상하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무슨 일', '어떤 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여기서는 '아무 일도'라는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何 어찌 하, 事 일 사 나니고토 何事 무슨 일 何 어찌 하, 事 일 사 |
나니고토 카 오콧타
何事か起こった。
무슨 일이 일어났다.
|
부정을 강조하는 조사로 '~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모 も 도 |
다레 모 이나이
誰もいない。
아무도 없다.
|
'없다'라는 의미의 형용사입니다. 無 없을 무 나이 無い 없다 無 없을 무 |
오카네 가 나이
お金が無い。
돈이 없다.
|
'~것처럼'이라는 비유적 표현을 만드는 구문입니다. 카 노 요오 かのよう 것처럼 |
유메 오 미테 이루 카 노 요오 다
夢を見ているかのようだ。
꿈을 꾸고 있는 것 같다.
|
'여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夏 여름 하 나츠 夏 여름 夏 여름 하 |
나츠 가 키타
夏が来た。
여름이 왔다.
|
주어를 강조하는 조사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돌다', '순환하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巡 돌/순행할 순 메구루 巡る 돌다 巡 돌/순행할 순 |
키세츠 와 메구루
季節は巡る。
계절은 돌고 돈다.
|
코오카이 노 카즈 다케
後悔こうかいの数かずだけ
후회의 수만큼
이 문장은 '後悔の数だけ'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後悔'는 명사로 '회한'을 의미하며, 'の'는 소유격 조사로 '~의'를 나타냅니다. '数'는 '숫자'를 의미하는 명사이고, 'だけ'는 한정 조사로 '~만큼'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전체적으로 '회한의 수만큼'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과거에 한 일에 대해 후회하거나 유감을 느끼는 마음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後 뒤 후, 悔 뉘우칠 회 코오카이 後悔 후회 後 뒤 후, 悔 뉘우칠 회 |
코오카이 노 나이 진세이 오 오쿠리타이
後悔のない人生を送りたい。
후회 없는 인생을 살고 싶다.
|
소유격 조사로, 앞의 명사와 뒤의 명사를 연결하여 소유 관계를 나타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양이나 숫자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数 셈 수 카즈 数 수 数 셈 수 |
히토 노 카즈 가 오오이
人の数が多い。
사람의 수가 많다.
|
한정 조사로, 수량이나 정도를 한정하여 나타냅니다. 다케 だけ 만큼 |
코레 다케 아레바 주우분 다
これだけあれば十分だ。
이만큼 있으면 충분하다.
|
우시나우 모노와 후에테 이쿠 케도
失うしなうものは増ふえていくけど
잃어버리는 것은 늘어가지만
이 문장은 두 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절은 '失うものは増えていく'로, '失う'는 '잃어버리다', 'もの'는 '것', 'は'는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 '増えていく'는 '늘어가다'를 의미합니다. 두 번째 절은 'けど'로, 앞의 내용과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줍니다. 전체적으로 잃어버리는 것이 늘어나지만 화자가 여전히 존재함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잃어버리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失 잃을 실 우시나우 失う 잃어버리다 失 잃을 실 |
타이세츠 나 모노오 우시나우
大切なものを失う
소중한 것을 잃어버리다
|
사물이나 추상적인 개념을 가리키는 명사입니다. 모노 もの 것 |
코레와 와타시노 모노 데스
これは私のものです
이것은 제 것입니다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저는 학생입니다
|
'늘어나다'라는 의미의 동사구입니다. 'ていく'는 변화가 계속됨을 나타냅니다. 増 더할 증 후에테 이쿠 増えていく 늘어가다 増 더할 증 |
후에루 増える 늘다 진코우가 후에테 이쿠
人口が増えていく
인구가 늘어가다
|
앞의 내용과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주는 접속사입니다. 케도 けど 하지만 |
츠카레타 케도 간바루
疲れたけど頑張る
피곤하지만 힘내자
|
나이테 모 와랏테 모
泣ないても笑わらっても
울어도 웃어도
이 문장은 두 개의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泣いても'는 '울어도', '笑っても'는 '웃어도'를 의미하며, 각각 '泣く(울다)'와 '笑う(웃다)'의 조건형입니다. '~ても'는 '~해도'라는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속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울어도 웃어도'라는 의미로, 어떤 상황에서도 변함없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울다'를 의미하는 동사 '泣く'의 연용형(て형)입니다. 泣 울 읍 나이테 泣いて 울어 泣 울 읍 |
나쿠 泣く 울다 카노조 와 나이테 이루
彼女は泣いている。
그녀는 울고 있다.
|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조사로, '~해도'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모 も 도 |
아메 가 풋테 모 이쿠
雨が降っても行く。
비가 와도 갈 거야.
|
'웃다'를 의미하는 동사 '笑う'의 연용형(て형)입니다. 笑 웃음 소 와랏테 笑って 웃어 笑 웃음 소 |
와라우 笑う 웃다 민나 데 와랏테 이루
みんなで笑っている。
모두 함께 웃고 있다.
|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조사로, '~해도'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모 も 도 |
싯파이 시테 모 아키라메나이
失敗しても諦めない。
실패해도 포기하지 않아.
|
보쿠 와 코코 니 이루 요
僕ぼくはここにいるよ
나는 여기에 있어
이 문장은 주어(僕) + 부사(ここに) + 동사(いる) + 종조사(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僕'은 '나'를 의미하는 1인칭 대명사이고, 'ここに'는 '여기에'라는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 'いる'는 '있다'라는 의미의 동사, 'よ'는 청자에게 알리거나 강조하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화자가 현재 위치에 있음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남성이 자신을 낮추어 부를 때 사용하는 1인칭 대명사입니다. 僕 종 복 보쿠 僕 나 僕 종 복 |
보쿠 와 가쿠세이 데스
僕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내거나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와 は 는 |
코레 와 혼 데스
これは本です。
이것은 책입니다.
|
화자와 가까운 장소를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입니다. 코코 ここ 여기 |
코코 니 키테 쿠다사이
ここに来てください。
여기로 오세요.
|
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갓코오 니 이키마스
学校に行きます。
학교에 갑니다.
|
생물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이루 いる 있다 |
네코 가 이루
猫がいる。
고양이가 있다.
|
문장 끝에 붙어 청자에게 알리거나 강조하는 종조사입니다. 요 よ (강조) |
다이조부 다 요
大丈夫だよ。
괜찮아요.
|
코레카라 부츠카루
これからぶつかる
이제부터 부딪힐
이 문장은 'これから'(이제부터) + 'ぶつかる'(부딪히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これから'는 시간적 시작점을 나타내는 부사구이며, 'ぶつかる'는 미래에 일어날 일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앞으로 다가올 어려움에 맞서겠다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시간적 시작점을 나타내는 부사로, '지금부터' 또는 '앞으로'라는 의미입니다. 코레카라 これから 이제부터 |
코레카라 간바리마스
これから頑張ります。
이제부터 열심히 하겠습니다.
|
물리적으로 충돌하거나, 어려움에 직면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부츠카루 ぶつかる 부딪히다 |
카베 니 부츠카루
壁にぶつかる。
벽에 부딪히다.
|
무스우 니 츠라나루 카베 노 사키
無数むすうに連つらなる壁かべの先さき
무수히 이어진 벽의 끝
이 문장은 일본어로, '無数に'는 '무수히', '連なる'는 '이어지다', '壁'는 '벽', 'の'는 소유격 조사, '先'은 '끝'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무수히 이어진 벽의 끝'이라는 의미로, 여러 장애물이나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셀 수 없이 많다는 의미의 명사입니다. 無 없을 무, 数 셈 수 무스우 無数 무수 無 없을 무, 数 셈 수 |
무스우 노 호시 가 카가야이테 이루
無数の星が輝いている。
무수한 별들이 빛나고 있다.
|
방향이나 대상, 목적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갓코오 니 이쿠
学校に行く。
학교에 간다.
|
여러 것이 줄지어 이어져 있다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連 이을 련 츠라나루 連なる 이어지다 連 이을 련 |
야마야마 가 츠라나루 케시키
山々が連なる景色。
산들이 이어진 풍경.
|
물리적인 벽이나 장애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壁 벽 벽 카베 壁 벽 壁 벽 벽 |
카베 니 에 오 카케루
壁に絵を掛ける。
벽에 그림을 걸다.
|
소유격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앞부분이나 끝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先 먼저 선 사키 先 끝 先 먼저 선 |
미치 노 사키 니 우미 가 미에루
道の先に海が見える。
길 끝에 바다가 보인다.
|
쿠라야미 노 나카 데 히토리 모가키
暗闇くらやみの中なかで1人ひとりもがき
어둠 속에서 혼자 몸부림치며
이 문장은 '暗闇の中で(어둠 속에서)'라는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와 '1人もがき(혼자 몸부림치며)'라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暗闇'은 '어둠', '中'은 '속에서', 'で'는 장소를 나타내는 조사, '1人'은 '혼자', 'もがき'는 '몸부림치다'의 연용형입니다. 전체적으로 어둠 속에서 혼자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표현합니다.
'어둠'을 의미하는 명사로, 빛이 없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暗 어두울 암, 闇 숨을 암 쿠라야미 暗闇 어둠 暗 어두울 암, 闇 숨을 암 |
쿠라야미 가 코와이
暗闇が怖い。
어둠이 무섭다.
|
소유나 속함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안', '속'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中 가운데 중 나카 中 속 中 가운데 중 |
하코 노 나카
箱の中
상자 속
|
장소나 수단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 で 에서 |
갓코오 데 벤쿄우 스루
学校で勉強する。
학교에서 공부한다.
|
'한 사람', '혼자'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人 사람 인 히토리 1人 혼자 人 사람 인 |
히토리 데 이쿠
1人で行く。
혼자 간다.
|
'몸부림치다'라는 동사의 연용형으로, 고통이나 어려움 속에서 발버둥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모가키 もがき 몸부림치며 |
모가쿠 もがく 몸부림치다 쿠루시테 모가쿠
苦しみてもがく。
괴로워하며 몸부림친다.
|
마케테 시마이 소오나 토키 모 아루
負まけてしまいそうな時ときもある
질 것 같은 때도 있어
이 문장은 일본어의 조건절을 나타내는 '~時もある'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負けてしまいそうな'는 '질 것 같은'이라는 의미의 형용사구이며, '時もある'는 '때도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전체적으로 '질 것 같은 때도 있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負ける'의 연용형으로 '지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여기서는 '져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負 질 부 마케테 負けて 져서 負 질 부 |
마케루 負ける 지다 시아이 니 마케테 쿠야시이
試合に負けて悔しい。
시합에 져서 속상해.
|
'しまう'의 연용형으로, 어떤 행위를 완료하거나 원치 않는 결과가 됐음을 나타내는 보조동사입니다. 시마이 しまい 해 버리다 |
시마우 しまう 해 버리다 덴샤 니 노리오쿠레테 시맛타
電車に乗り遅れてしまった。
기차를 놓쳐 버렸어.
|
양태를 나타내는 조동사 'そうだ'의 연체형으로, 어떤 상태가 될 가능성을 표현합니다. 소오나 そうな ~일 것 같은 |
소오다 そうだ ~일 것 같다 아메 가 후리소오나 소라모요오다
雨が降りそうな空模様だ。
비가 올 것 같은 하늘 상태야.
|
시간이나 시기를 나타내는 명사로, 여기서는 '때'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時 때 시 토키 時 때 時 때 시 |
코도모 노 토키 와 요코 코코 데 아손다
子供の時はよくここで遊んだ。
어렸을 때는 여기서 자주 놀았어.
|
부사로, '또한', '~도'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키타이
私も行きたい。
나도 가고 싶어.
|
무생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동사로,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아루 ある 있다 |
츠쿠에 노 우에 니 혼 가 아루
机の上に本がある。
책상 위에 책이 있어.
|
다케도 손나 토키 와 보쿠 가 사
だけどそんな時ときは僕ぼくがさ
하지만 그럴 때는 내가 말이야
이 문장은 접속사 'だけど'로 시작하여 앞 문장과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갑니다. 'そんな時は'는 '그런 때는'이라는 의미로, 특정 상황을 가리킵니다. '僕がさ'는 주어 '내가'를 나타내며, 'さ'는 말을 부드럽게 이어가는 감탄사 역할을 합니다. 전체적으로 '하지만 그런 때는 내가 말이야'라는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앞의 내용과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갈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다케도 だけど 하지만 |
츠카레타. 다케도 간바루.
疲れた。だけど頑張る。
피곤해. 하지만 힘낼게.
|
앞서 언급된 것과 비슷한 것을 가리키는 지시형용사입니다. 손나 そんな 그런 |
손나 코토 나이 요.
そんなことないよ。
그런 건 아니야.
|
시간이나 시기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時 때 시 토키 時 때 時 때 시 |
타노시이 토키 오 스고시타.
楽しい時を過ごした。
즐거운 때를 보냈다.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남성이 자신을 낮추어 부를 때 사용하는 1인칭 대명사입니다. 僕 종 복 보쿠 僕 나 僕 종 복 |
보쿠 와 이쿠 요.
僕は行くよ。
나는 갈게.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가 が 가 |
보쿠 가 야리마스.
僕がやります。
제가 하겠습니다.
|
말을 부드럽게 이어가거나 강조할 때 사용하는 감탄사입니다. 사 さ 말이야 |
소레 와 사, 무즈카시인 다 요.
それはさ、難しいんだよ。
그건 말이야, 어려운 거야.
|
요리 소이 아이 오 우타우 요
寄より添そい愛あいを歌うたうよ
서로 의지하는 사랑을 노래할게
이 문장은 '寄り添い愛を歌うよ'로, 일본어의 기본적인 문장 구조인 '주어 + 목적어 + 동사' 형태를 따르고 있습니다. '寄り添い愛'은 '서로 의지하는 사랑'이라는 복합명사구이며, 'を'는 목적격 조사, '歌う'는 동사, 'よ'는 종조사로 감정을 강조합니다. 전체적으로 서로 의지하는 사랑을 노래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寄り添い'는 '서로 의지하다', '가까이 붙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여기서는 '서로 의지하는'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寄 부칠 기, 添 더할 첨 요리 소이 寄り添い 서로 의지하는 寄 부칠 기, 添 더할 첨 |
요리 소우 寄り添う 서로 의지하다 요리 소이 아루쿠
寄り添い歩く
서로 의지하며 걷다
|
'사랑'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愛 사랑 애 아이 愛 사랑 愛 사랑 애 |
아이 오 츠타에루
愛を伝える
사랑을 전하다
|
목적격 조사로, 동사의 대상이 되는 대상을 나타냅니다. 오 を ~을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노래하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歌 노래 가 우타우 歌う 노래하다 歌 노래 가 |
우타 오 우타우
歌を歌う
노래를 부르다
|
종조사로, 말하는 사람의 감정을 강조하거나 상대방에게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요 よ ~야 |
다이죠부 다 요
大丈夫だよ
괜찮아
|
소레 가 보쿠 니 톳테 노
それが僕ぼくにとっての
그게 나에게 있어서의
이 문장은 주어(それ) + 조사(が) + 명사(僕) + 조사(にとって) + 조사(の)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それ'는 '그것'을 의미하며, '僕'은 '나'를 의미합니다. 'にとって'는 '~에게 있어서'라는 의미를 가지며, 'の'는 '~의'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그것이 나에게 있어서의'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멀리 있는 사물이나 상황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입니다. 소레 それ 그것 |
소레 와 난 데스 카?
それは何ですか?
그것은 무엇입니까?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가 が 이/가 |
와타시 가 이키마스
私が行きます。
제가 갑니다.
|
남성이 자신을 낮추어 부를 때 사용하는 1인칭 대명사입니다. 僕 종 복 보쿠 僕 나 僕 종 복 |
보쿠 와 가쿠세이 데스
僕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어떤 관점이나 기준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니 톳테 にとって ~에게 있어서 |
코레 와 와타시 니 톳테 타이세츠 데스
これは私にとって大切です。
이것은 나에게 소중합니다.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코레 와 와타시 노 혼 데스
これは私の本です。
이것은 나의 책입니다.
|
이키루 이미 다카라
生いきる意味いみだから
살아가는 의미이니까
이 문장은 '生きる'라는 동사구와 '意味'라는 명사, 그리고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だから'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生きる'는 '살다'라는 의미의 동사이며, '意味'는 '의미'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だから'는 앞서 말한 내용이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이니까'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전체적으로 '살아가는 의미이니까'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살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생명을 유지하며 존재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生 날 생 이키루 生きる 살아가다 生 날 생 |
카레 와 켄메이 니 이키테 이루
彼は懸命に生きている。
그는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
어떤 것의 뜻이나 가치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意 뜻 의, 味 맛 미 이미 意味 의미 意 뜻 의, 味 맛 미 |
코노 코토바 노 이미 와 난 데스 카
この言葉の意味は何ですか?
이 단어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
앞의 내용이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접속사입니다. 다카라 だから ~이니까 |
츠카레타 카라 야스무
疲れたから休む。
피곤하니까 쉰다.
|
아노 토키 아지왓타 코오카이 모
あの時とき味あじわった後悔こうかいも
그때 맛본 후회도
이 문장은 'あの時(그때)' + '味わった(맛본)' + '後悔(후회)' + 'も(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あの時'는 과거의 특정 시점을 가리키며, '味わった'는 '맛보다'라는 동사의 과거형으로 여기서는 '경험하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後悔'는 '후회'를 의미하는 명사이며, 'も'는 '~도'라는 의미의 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그때 경험한 후회도'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지시대명사로, 화자와 청자 모두가 알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아노 あの 그 |
아노 히토 와 다레 데스 카?
あの人は誰ですか?
그 사람은 누구입니까?
|
시간이나 시점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時 때 시 토키 時 때 時 때 시 |
코도모 노 토키, 코코 니 순데 이마시타
子供の時、ここに住んでいました。
어렸을 때 여기에 살았습니다.
|
동사 '味わう(맛보다)'의 과거형으로, 여기서는 문자 그대로의 맛보다보다는 '경험하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味 맛 미 아지왓타 味わった 맛본 味 맛 미 |
아지와우 味わう 맛보다 진세이 노 쿠루시미 오 아지왓타
人生の苦しみを味わった。
인생의 고통을 맛보았다.
|
과거의 행동이나 결정에 대해 후회하는 감정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後 뒤 후, 悔 뉘우칠 회 코오카이 後悔 후회 後 뒤 후, 悔 뉘우칠 회 |
코오카이 시나이 센타쿠 오 시요우
後悔しない選択をしよう。
후회하지 않는 선택을 하자.
|
조사로, '~도'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앞의 명사에 추가적인 의미를 부여합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키마스
私も行きます。
저도 갑니다.
|
진세이 노 스파이스 니 나루 다로오
人生じんせいのスパイスになるだろう
인생의 향신료가 될 거야
이 문장은 '人生のスパイスになるだろう'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人生'은 '인생', 'の'는 소유격 조사, 'スパイス'는 '향신료', 'に'는 변화의 결과를 나타내는 조사, 'なる'는 '되다', 'だろう'는 추측을 나타내는 보조동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인생의 향신료가 될 거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인생'을 의미하는 명사로, 사람의 일생을 나타냅니다. 人 사람 인, 生 날 생 진세이 人生 인생 人 사람 인, 生 날 생 |
진세이 와 나가이 타비 다
人生は長い旅だ。
인생은 긴 여행이다.
|
소유격 조사로, 앞에 오는 명사가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향신료'를 의미하는 명사로, 음식에 맛을 내는 재료를 가리키며 여기서는 인생의 맛을 내는 요소로 비유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스파이스 スパイス 향신료 |
카레에 스파이스 오 쿠와에루
カレーにスパイスを加える。
카레에 향신료를 넣다.
|
조사로, 여기서는 변화의 결과를 나타내며 '~로'로 해석됩니다. 니 に ~에게, ~로 |
미즈 가 코오리 니 나루
水が氷になる。
물이 얼음이 되다.
|
'되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나루 なる 되다 |
오토나 니 나루
大人になる。
어른이 되다.
|
추측을 나타내는 보조동사로, 말하는 사람의 추측이나 확신을 표현합니다. 다로오 だろう ~일 거야 |
아시타 와 하레루 다로오
明日は晴れるだろう。
내일은 날씨가 좋을 거야.
|
아노 토키 아지왓타 요로코비 가
あの時とき味あじわった喜よろこびが
그때 맛본 기쁨이
이 문장은 'あの時' (그때) + '味わった' (맛본, 경험한) + '喜び' (기쁨) + 'が' (주격 조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그때 경험한 기쁨이'라는 의미를 전달하며, 주어 역할을 하는 명사구입니다. 'あの時'는 과거의 특정 시점을 가리키고, '味わった'는 과거에 경험한 감정을 나타내며, '喜び'는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명사입니다.
지시대명사로, 화자와 청자 모두 알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여기서는 과거의 특정 시점을 가리킵니다. 아노 あの 그 |
아노 히토 와 다레 데스 카?
あの人は誰ですか?
그 사람은 누구입니까?
|
시간이나 시점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여기서는 과거의 특정한 순간을 의미합니다. 時 때 시 토키 時 때 時 때 시 |
타노시이 토키 오 스고시마시타
楽しい時を過ごしました。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
동사 '味わう'의 과거형으로, '경험하다', '체험하다', '맛보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는 과거에 어떤 감정을 경험했음을 나타냅니다. 味 맛 미 아지왓타 味わった 맛본 味 맛 미 |
아지와우 味わう 맛보다 진세이 노 쿠루시미 오 아지왓타
人生の苦しみを味わった。
인생의 고통을 맛보았다.
|
기쁨, 즐거움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喜 기쁠 희 요로코비 喜び 기쁨 喜 기쁠 희 |
코도모 노 세이초우 와 오야 노 요로코비 데스
子供の成長は親の喜びです。
아이의 성장은 부모의 기쁨입니다.
|
주격 조사로, 문장에서 주어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앞에 오는 명사가 문장의 주어임을 나타냅니다. 가 が ~이 |
사쿠라 가 사키마시타
桜が咲きました。
벚꽃이 피었습니다.
|
이마 아루쿠 미치 노 무코우 테라시테 이루
今いま歩あるく道みちの向むこう照てらしている
지금 걷고 있는 길의 저편을 비추고 있어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문장으로, '今歩く道の向こう'가 목적어, '照らしている'이 서술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今歩く道'는 '지금 걷고 있는 길'을 의미하며, 'の向こう'는 '저편'을 나타냅니다. '照らしている'은 '비추고 있다'는 의미의 동사로, 현재 진행형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과거의 기쁨이 현재의 길을 비추고 있다는 은유적인 표현입니다.
현재의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今 이제 금 이마 今 지금 今 이제 금 |
이마 난지 데스 카
今何時ですか。
지금 몇 시입니까?
|
발로 걸어다니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歩 걸음 보 아루쿠 歩く 걷다 歩 걸음 보 |
코우엔 오 아루쿠
公園を歩く。
공원을 걷다.
|
사람이나 차량이 다니는 길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道 길 도 미치 道 길 道 길 도 |
코노 미치 오 맛스구 잇테 쿠다사이
この道をまっすぐ行ってください。
이 길을 똑바로 가세요.
|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데스
私の本です。
제 책입니다.
|
어떤 장소의 반대쪽이나 먼 곳을 가리키는 명사입니다. 向 향할 향 무코우 向こう 저편 向 향할 향 |
무코우 니 미에루 야마
向こうに見える山
저편에 보이는 산
|
빛을 내어 어떤 것을 밝히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현재 진행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照 비칠 조 테라시테 이루 照らしている 비추고 있다 照 비칠 조 |
테라스 照らす 비추다 츠키 가 니와 오 테라시테 이루
月が庭を照らしている。
달이 정원을 비추고 있다.
|
히카리 사스 미치 노 무코오 메자시테 이코오
光ひかり差さす道みちの向むこう目指めざして行いこう
빛이 비치는 길의 저편을 향해 가자
이 문장은 일본어의 전형적인 서술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光差す'는 '빛이 비치는'이라는 수식어구로 '道'를 꾸미고 있습니다. '道の向こう'는 '길의 저편'이라는 명사구이며, '目指して'는 '향해서'라는 의미의 부사적 표현입니다. 마지막 '行こう'는 '가자'라는 권유형 동사로 문장을 마무리합니다. 전체적으로 빛이 비치는 길의 저쪽을 향해 나아가자는 권유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빛'을 의미하는 명사로, 물리적인 빛뿐만 아니라 희망이나 미래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光 빛 광 히카리 光 빛 光 빛 광 |
히카리 가 사시코무
光が差し込む
빛이 비치다
|
빛이나 물건이 특정 방향으로 퍼지거나 들어오는 것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差 다를 차 사스 差す 비치다 差 다를 차 |
아사히 가 사스
朝日が差す
아침 해가 비치다
|
물리적인 길뿐만 아니라 인생의 길, 방법 등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道 길 도 미치 道 길 道 길 도 |
미치 오 아루쿠
道を歩く
길을 걷다
|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로, '~의'라는 의미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어떤 장소의 반대쪽이나 먼 곳을 가리키는 명사입니다. 向 향할 향 무코오 向こう 저편 向 향할 향 |
카와 노 무코오
川の向こう
강 건너편
|
'목표로 하다', '향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目指す'의 테형(연용형)입니다. 目 눈 목, 指 가리킬 지 메자시테 目指して 향해서 目 눈 목, 指 가리킬 지 |
메자스 目指す 목표로 하다 쵸우조우 오 메자스
頂上を目指す
정상을 목표로 하다
|
'가다'라는 의미의 동사 '行く'의 권유형으로, 함께 가자고 제안할 때 사용합니다. 行 다닐 행 | 항렬 항 이코오 行こう 가자 行 다닐 행 | 항렬 항 |
이쿠 行く 가다 잇쇼 니 이코오
一緒に行こう
함께 가자
|
'JPOP 단어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TWILIGHT!!!(트와일라잇) - King Gnu | 가사, 해석, 한글 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0) | 2025.04.20 |
---|---|
Habit - SEKAI NO OWARI | 가사, 해석, 한글 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0) | 2025.04.17 |
[약사의 혼잣말 2기 OP] 百花繚乱(백화요란) - 幾田りら | 가사, 해석, 한글 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1) | 2025.04.14 |
UNDEAD(언데드) - YOASOBI | 가사, 해석, 한글 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0) | 2025.04.14 |
[지. -지구의 운동에 대하여 OP] 怪獣(괴수, kaiju) - サカナクション | 가사, 해석, 한글 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