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미타치 따라 난데모 칸데모
君きみたちったら何なんでもかんでも
너희들은 뭐든지
이 문장은 일본어로, '君たちったら'는 '너희들은'이라는 의미로, '何でもかんでも'는 '뭐든지'라는 의미입니다. 전체적으로 '너희들은 뭐든지 분류하려고 한다'는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2인칭 단수 또는 복수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친근감을 담아 상대방을 부를 때 사용합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君 임금 군 |
키미 와 도오 오모우?
君はどう思う?
너는 어떻게 생각해?
|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たち'와 강조를 위한 접미사 'ったら'가 결합된 형태로, '너희들은'이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타치 따라 たちったら ~들은 |
타치 たち ~들 키미타치 와 도코 니 이쿠 노?
君たちはどこに行くの?
너희들은 어디 가는 거야?
|
의문사로 '무엇'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何 어찌 하 난 何 무엇 何 어찌 하 |
나니 오 시테이루 노?
何をしているの?
뭐 하고 있어?
|
조사로 '~든지', '~라도'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데모 でも ~든지 |
이츠 데모 키테 쿠다사이.
いつでも来てください。
언제든지 오세요.
|
'何でも'의 강조형으로 '뭐든지'라는 의미를 더욱 강조합니다. 칸데모 かんでも 뭐든지 |
난데모 칸데모 타베루.
何でもかんでも食べる。
뭐든지 먹는다.
|
분루이, 구베츠, 쟝루와케 시타가루
分類ぶんるい、区別くべつ、ジャンル分わけしたがる
분류하고, 구별하고, 장르를 나누려고 해
이 문장은 세 개의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分類'는 '분류', 두 번째 '区別'는 '구별', 세 번째 'ジャンル分け'는 '장르 나누기'를 의미하며, 'したがる'는 '~하기를 좋아한다'는 뜻의 조동사로 각 동사구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분류, 구별, 장르 나누기를 좋아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사물이나 현상을 체계적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분루이 分類 분류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
혼 오 분루이 스루
本を分類する
책을 분류하다
|
차이를 두어 나누는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区 구분할/지경 구, 別 다를/나눌 별 구베츠 区別 구별 区 구분할/지경 구, 別 다를/나눌 별 |
젠아쿠 오 구베츠 스루
善悪を区別する
선악을 구별하다
|
예술, 문학 등의 분야나 유형을 의미하는 외래어 명사입니다. 쟝루 ジャンル 장르 |
온가쿠 노 쟝루
音楽のジャンル
음악의 장르
|
나누다의 명사형으로, 분류나 구분을 의미합니다. 分 나눌 분 와케 分け 나누기 分 나눌 분 |
와케루 分ける 나누다 구루푸 니 와케루
グループに分ける
그룹으로 나누다
|
타인의 성향이나 습관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시타가루 したがる ~하기를 좋아한다 |
코도모 와 아마이 모노 오 타베타가루
子供は甘いものを食べたがる
아이들은 단 것을 먹고 싶어한다
|
히토 와 나제 카 분루이 시타가루 슈세이 가 아루 토카 나이 토카
ヒトはなぜか分類ぶんるいしたがる習性しゅうせいがあるとかないとか
사람은 왠지 분류하려는 습성이 있다거나 없다거나
이 문장은 일본어로, 'ヒトはなぜか'로 시작하는 주어 부분과 '分類したがる習性があるとかないとか'라는 서술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ヒトはなぜか'는 '사람은 왠지'라는 의미로, '分類したがる'는 '분류하려고 하는', '習性がある'는 '습성이 있다', 'とかないとか'는 '든가 아니든가'라는 의미입니다. 전체적으로 사람이 분류하려는 습성이 있다는 주제를 담고 있습니다.
'사람'을 의미하는 명사로, 인간 일반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히토 ヒト 사람 |
히토 와 칸가에루 아시 데 아루
ヒトは考える葦である。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내거나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이유를 모르겠지만, 무언가 이유가 있어서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나제 카 なぜか 왠지 |
나제 카 사비시이 키 가 스루
なぜか寂しい気がする。
왠지 외로운 기분이 들어.
|
무언가를 종류나 유형에 따라 나누는 행위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분루이 分類 분류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
혼 오 분루이 스루
本を分類する。
책을 분류하다.
|
동사의 연용형에 붙어 '하려고 하는'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동사입니다. 시타가루 したがる 하려고 하는 |
코도모 와 아마이 모노 오 타베타가루
子供は甘いものを食べたがる。
아이들은 단 것을 먹으려고 한다.
|
습관이나 타고난 성향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習 익힐 습, 性 성품 성 슈세이 習性 습성 習 익힐 습, 性 성품 성 |
네코 노 슈세이 오 켄큐우 스루
猫の習性を研究する。
고양이의 습성을 연구하다.
|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내거나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가 が 이/가 |
아메 가 후루
雨が降る。
비가 내린다.
|
존재함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아루 ある 있다 |
츠쿠에 노 우에 니 혼 가 아루
机の上に本がある。
책상 위에 책이 있다.
|
예시를 들거나 불확실한 정보를 전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토카 とか 든가 |
카레 와 센세이 토카 잇테 이타
彼は先生とか言っていた。
그는 선생님이든가 말했어.
|
부정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나이 ない 없다 |
오카네 가 나이
お金がない。
돈이 없다.
|
예시를 들거나 불확실한 정보를 전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토카 とか 든가 |
에이가 토카 미 니 이카나이?
映画とか見に行かない?
영화든가 보러 가지 않을래?
|
코노 요 노 나카 니 슈루이 노 닌겐 가 이루 토카 이우 키미타치 가 효오테키
この世よの中なか2種類しゅるいの人間にんげんがいるとか言いう君きみたちが標的ひょうてき
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고 말하는 너희들이 표적
이 문장은 일본어로 작성되었으며, 복합적인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어는 '君たち(너희들)'이며, 서술어는 '標的(표적)'입니다. 'この世の中2種類の人間がいるとか言う'는 '君たち'를 수식하는 관계절 역할을 합니다. 'この世の中'은 '이 세상에서', '2種類の人間'은 '두 종류의 사람', 'がいるとか言う'는 '있다고 말하는'으로 해석됩니다. 전체적으로 '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고 말하는 너희들이 표적이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지시 대명사로,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와 오모시로이
この本は面白い。
이 책은 재미있다.
|
'세상' 또는 '세계'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世 인간 세 요 世 세상 世 인간 세 |
요 노 나카 와 히로이
世の中は広い。
세상은 넓다.
|
소유나 속격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안' 또는 '속'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中 가운데 중 나카 中 안 中 가운데 중 |
하코 노 나카
箱の中
상자 안
|
숫자 '2'를 의미합니다. 二 두 이 니 2 2 二 두 이 |
니 二 2 후타츠 노 센타쿠시
2つの選択肢
두 가지 선택지
|
'종류' 또는 '유형'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種 씨 종, 類 무리 류 슈루이 種類 종류 種 씨 종, 類 무리 류 |
슈루이 가 오오이
種類が多い。
종류가 많다.
|
소유나 속격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이누 노 슈루이
犬の種類
개 종류
|
'사람' 또는 '인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人 사람 인, 間 사이 간 닌겐 人間 사람 人 사람 인, 間 사이 간 |
닌겐 칸케이
人間関係
인간 관계
|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냅니다. 가 が 가 |
아메 가 후루
雨が降る。
비가 온다.
|
'있다' 또는 '존재하다'를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이루 いる 있다 |
네코 가 이루
猫がいる。
고양이가 있다.
|
예시를 들거나 불확실한 정보를 전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토카 とか 라던가 |
에이가 토카 미 니 이쿠
映画とか見に行く?
영화라던가 보러 갈래?
|
'말하다' 또는 '이야기하다'를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言 말씀 언 이우 言う 말하다 言 말씀 언 |
혼토오 노 코토 오 이우
本当のことを言う。
진실을 말하다.
|
'너희들' 또는 '당신들'을 의미하는 대명사입니다. 君 임금 군 키미타치 君たち 너희들 君 임금 군 |
키미타치 와 도오 오모우
君たちはどう思う?
너희들은 어떻게 생각해?
|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냅니다. 가 が 가 |
카레 가 쿠루
彼が来る。
그가 온다.
|
'표적' 또는 '타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標 표할 표, 的 과녁 적 효오테키 標的 표적 標 표할 표, 的 과녁 적 |
카레 와 효오테키 니 낫타
彼は標的になった。
그는 표적이 되었다.
|
못테 루 야츠 토 모테나이 야츠 토카
持もってるヤツとモテないやつとか
가지고 있는 녀석과 인기 없는 녀석이라든가
이 문장은 일본어의 구어체 표현으로, '持ってるヤツ'와 'モテないやつ'라는 두 가지 유형의 사람을 대조적으로 나열하는 구조입니다. '持ってる'는 '가지고 있다'는 뜻의 동사로, 여기서는 '인기가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モテない'는 '인기가 없다'는 뜻의 형용사입니다. 'ヤツ'는 '녀석'이라는 뜻의 비격식 명사입니다. 'と'는 접속사로 '와', '과'에 해당하며, 'とか'는 '~라든가'라는 의미의 불확정 나열 접속사입니다. 전체적으로 두 가지 유형의 사람을 대조적으로 제시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持つ(가지다)'의 연용형 '持って'에 진행형을 나타내는 조동사 'る'가 결합된 형태로,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持 가질 지 못테 루 持ってる 가지고 있다 持 가질 지 |
못츠 持つ 가지다 카레 와 이츠모 지신 오 못테 루
彼はいつも自信を持ってる。
그는 항상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
사람을 지칭하는 비격식 명사로, 주로 남성에 대해 사용됩니다. '놈', '녀석'과 비슷한 뉘앙스를 가집니다. 奴 종 노 야츠 ヤツ 녀석 奴 종 노 |
야츠 奴 녀석 아노 야츠 와 혼토우 니 우루사이
あのヤツは本当にうるさい。
저 녀석은 정말 시끄럽다.
|
접속사로, 두 개 이상의 명사나 구를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와', '과'에 해당합니다. 토 と 와 |
링고 토 바나나 오 캇타
りんごとバナナを買った。
사과와 바나나를 샀다.
|
'モテる(인기가 있다)'의 부정형으로, '인기가 없다'는 의미의 형용사입니다. 모테나이 モテない 인기 없는 |
모테루 モテる 인기 있다 카레 와 조세이 니 모테나이
彼は女性にモテない。
그는 여자들에게 인기가 없다.
|
'ヤツ'와 동일한 의미로, '놈', '녀석'이라는 뜻의 비격식 명사입니다. 奴 종 노 야츠 やつ 녀석 奴 종 노 |
야츠 奴 녀석 코노 야츠, 나니 캉가에테룬 다로우
このやつ、何考えてるんだろう。
이 녀석,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
|
불확정 나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라든가', '~거나'라는 의미입니다. 여러 가지 예를 들 때 사용됩니다. 토카 とか 라든가 |
야스미 노 히 와 에이가 오 미루 토카, 혼 오 요무 토카 시테 스고스
休みの日は映画を見るとか、本を読むとかして過ごす。
휴일에는 영화를 보라든가, 책을 읽는다든가 하며 시간을 보낸다.
|
찬토 야루 야츠 토 얏테나이 야츠 토카
ちゃんとやるヤツとヤッてないヤツとか
제대로 하는 놈과 안 하는 놈 같은 거
이 문장은 대조적인 두 유형의 사람들을 나열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ちゃんとやるヤツ'는 '제대로 하는 사람'을, 'ヤッてないヤツ'는 '하지 않는 사람'을 의미하며, 'とか'는 예를 들거나 나열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서로 대비되는 유형의 사람들을 비교하며 말하고 있습니다.
무언가를 바르게, 규칙적으로, 성실하게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찬토 ちゃんと 제대로 |
찬토 벤쿄우 시나사이
ちゃんと勉強しなさい。
제대로 공부해라.
|
일반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로, 다양한 상황에서 '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야루 やる 하다 |
시고토 오 야루
仕事をやる。
일을 하다.
|
사람을 가리키는 비격식적인 명사로, '녀석', '놈'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야츠 ヤツ 놈 |
아노 야츠 와 신요우 데키나이
あのヤツは信用できない。
저 녀석은 믿을 수 없다.
|
대등한 관계의 명사들을 연결하는 접속사입니다. 토 と 와 |
링고 토 바나나 오 캇타
りんごとバナナを買った。
사과와 바나나를 샀다.
|
'하다'의 비격식적 표현인 'ヤる'의 부정형으로, '하지 않다'라는 의미입니다. 얏테나이 ヤッてない 하지 않는 |
야루 やる 하다 아이츠 와 젠젠 얏테나이
あいつは全然ヤッてない。
저 녀석은 전혀 안 하고 있어.
|
앞에서와 동일하게 사람을 가리키는 비격식적인 명사입니다. 야츠 ヤツ 놈 |
얏테나이 야츠 바카리 다
ヤッてないヤツばかりだ。
안 하는 놈들뿐이야.
|
예를 들거나 대표적인 사례를 나열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토카 とか 같은 거 |
에이가 토카 온가쿠 토카 가 스키 다
映画とか音楽とかが好きだ。
영화 같은 거 음악 같은 거 좋아해.
|
인캬 요우캬?
隠いんキャ陽ようキャ?
인싸? 아싸?
이 문장은 일본어의 신조어인 '隠キャ(인캬)'와 '陽キャ(요우캬)'를 대조적으로 제시하며, 의문형으로 끝나 상대방에게 '너는 인싸야, 아싸야?'라는 식으로 정체성을 묻는 구조입니다. '隠キャ'는 '숨은 캐릭터(아싸)'를, '陽キャ'는 '밝은 캐릭터(인싸)'를 의미하며, 둘 다 명사로 쓰였습니다. 문장 끝의 '?'는 의문을 나타냅니다.
隠(いん)은 '숨다', '감추다'라는 뜻의 한자입니다. 여기서는 '隠キャ'라는 신조어의 일부로 쓰여 '숨은(내성적인)'의 의미를 가집니다. 隠 숨을 은 인 隠 숨다 隠 숨을 은 |
카레 와 카쿠레테 이루.
彼は隠れている。
그는 숨어 있다.
|
カタカ나로 표기된 'キャ'는 '캐릭터'의 줄임말로, 일본 신조어에서 '성격'이나 '유형'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캬 キャ 캐릭터 |
캬라쿠타아 キャラクター 캐릭터 카레 와 오모시로이 캬 다.
彼は面白いキャだ。
그는 재미있는 캐릭터다.
|
陽(よう)은 '밝다', '양(陽)'을 의미하는 한자입니다. 여기서는 '陽キャ'라는 신조어의 일부로, '밝은(외향적인)'의 의미를 가집니다. 陽 볕 양 요우 陽 밝다 陽 볕 양 |
요우 노 히카리 가 사스.
陽の光が差す。
햇빛이 비친다.
|
앞서와 동일하게, '캐릭터'의 줄임말로, 여기서는 '밝은 성격의 사람'을 의미합니다. 캬 キャ 캐릭터 |
캬라쿠타아 キャラクター 캐릭터 카노조 와 아카루이 캬 다.
彼女は明るいキャだ。
그녀는 밝은 캐릭터다.
|
키미라 와 분루이 시나이 토 도오 니 모 오치츠카 나이
君きみらは分類ぶんるいしないとどうにも落おち着つかない
너희들은 분류하지 않으면 어떻게 해도 진정되지 않아
이 문장은 주어(君らは) + 목적어(分類) + 동사(しない) + 접속사(と) + 부사(どうにも) + 동사(落ち着かな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君らは'는 '너희들은'을 의미하며, '分類しないと'는 '분류하지 않으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냅니다. 'どうにも'는 '어떻게든'이라는 의미의 부사로, '落ち着かない'는 '진정되지 않다'라는 부정형 동사입니다. 전체적으로 분류하지 않으면 진정을 찾을 수 없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君'에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ら'가 붙은 형태로, '너희들'이라는 의미의 대명사입니다. 君 임금 군 키미라 君ら 너희들 君 임금 군 |
키미 君 너 키미라 와 도코 니 이쿠 노?
君らはどこに行くの?
너희들은 어디 가는 거야?
|
주격 조사로, 문장의 주제를 나타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사물을 체계적으로 나누는 행위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분루이 分類 분류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
코노 혼 오 분루이 시테 쿠다사이
この本を分類してください。
이 책을 분류해 주세요.
|
동사 'する(하다)'의 부정형으로, '하지 않다'라는 의미입니다. 시나이 しない 하지 않다 |
스루 する 하다 슈쿠다이 오 시나이 토 오코라레루
宿題をしないと怒られる。
숙제를 하지 않으면 혼나.
|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하면'이라는 의미입니다. 토 と 면 |
하야쿠 오키나이 토 오쿠레루 요
早く起きないと遅れるよ。
빨리 일어나지 않으면 늦어.
|
무엇을 해도, 어떻게 해도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도오 니 모 どうにも 어떻게든 |
도오 니 모 나라나이
どうにもならない。
어떻게 할 수 없다.
|
동사 '落ち着く(진정되다)'의 부정형으로, '진정되지 않다'라는 의미입니다. 落 떨어질 락, 着 붙을 착 오치츠카 나이 落ち着かない 진정되지 않다 落 떨어질 락, 着 붙을 착 |
오치츠쿠 落ち着く 진정되다 코노 헤야 와 오치츠카 나이 칸지 다
この部屋は落ち着かない感じだ。
이 방은 진정되지 않는 느낌이다.
|
키즈카 나이 혼노오 노 소토가와 오
気付きづかない本能ほんのうの外側そとがわを
알아채지 못하는 본능의 바깥쪽을
이 문장은 '気付かない'(알아채지 못하는) + '本能の'(본능의) + '外側を'(바깥쪽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気付かない'는 '알아채지 못하는'이라는 의미의 부정형 동사구이며, '本能の'는 '본능의'라는 소유격 표현, '外側を'은 '바깥쪽을'이라는 목적격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알아채지 못하는 본능의 바깥쪽을'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알아차리다'라는 의미의 동사 '気付く'의 부정형으로, '알아채지 못하는'이라는 뜻입니다. 気 기운 기, 付 부칠 부 키즈카 나이 気付かない 알아채지 못하는 気 기운 기, 付 부칠 부 |
키즈쿠 気付く 알아차리다 카레 와 와타시 노 키모치 니 키즈카 나이
彼は私の気持ちに気付かない。
그는 내 마음을 알아채지 못한다.
|
타고난 본능이나 본성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本 근본 본, 能 능할 능 혼노오 本能 본능 本 근본 본, 能 능할 능 |
도오부츠 와 혼노오 데 코오도오 스루
動物は本能で行動する。
동물은 본능적으로 행동한다.
|
소유격을 나타내는 조사로, '~의'라는 의미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어떤 것의 바깥 부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外 바깥 외, 側 곁 측 소토가와 外側 바깥쪽 外 바깥 외, 側 곁 측 |
하코 노 소토가와 니 나마에 오 카쿠
箱の外側に名前を書く。
상자의 바깥쪽에 이름을 쓴다.
|
목적격을 나타내는 조사로, 동사의 목적어를 표시합니다. 오 を 을 |
링고 오 타베루
りんごを食べる。
사과를 먹다.
|
노조이테 이카나이? 키분 가 노라나이?
覗のぞいていかない? 気分きぶんが乗のらない?
들여다보지 않을래? 기분이 내키지 않니?
이 문장은 두 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질문은 '覗いていかない?'로, '覗いて'는 '들여다보다'라는 동사의 연용형이며, 'いかない'은 권유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두 번째 질문은 '気分が乗らない?'로, '気分が乗る'는 '기분이 내키다'라는 의미의 관용구이며, 부정형 '乗らない'을 사용하여 '내키지 않니?'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권유하거나 기분을 묻는 표현입니다.
'들여다보다'라는 의미의 동사 '覗く'의 연용형 '覗いて'에 권유를 나타내는 'いかない'이 결합된 표현입니다.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권유할 때 사용합니다. 覗 엿볼 사 노조이테 이카나이 覗いていかない 들여다보지 않을래 覗 엿볼 사 |
노조쿠 覗く 들여다보다 마도 카라 소토 오 노조이테 미루
窓から外を覗いてみる。
창문 밖을 들여다보다.
|
사람의 마음 상태나 느낌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気 기운 기, 分 나눌 분 키분 気分 기분 気 기운 기, 分 나눌 분 |
쿄우 와 키분 가 이이
今日は気分がいい。
오늘은 기분이 좋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가 が ~이/가 |
아메 가 풋테 이루
雨が降っている。
비가 내리고 있다.
|
'기분이 내키다'라는 의미의 관용구 '気分が乗る'의 부정형입니다. 乗 탈 승 노라나이 乗らない 내키지 않다 乗 탈 승 |
노루 乗る 타다, 내키다 쿄우 와 시고토 니 키분 가 노라나이
今日は仕事に気分が乗らない。
오늘은 일에 기분이 내키지 않는다.
|
츠마리 소레 와 손나 신푸루 쟈 나이
つまり それは そんなシンプルじゃない
즉 그것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아
이 문장은 일본어로 '즉 그것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아'라는 의미입니다. 'つまり'는 '즉', 'それは'는 '그것은', 'そんな'은 '그런', 'シンプルじゃない'는 '간단하지 않다'를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어떤 것이 단순하지 않고 복잡함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앞서 말한 내용을 요약하거나 결론을 내릴 때 사용하는 접속부사입니다. 츠마리 つまり 즉 |
츠마리, 카레 와 우소 오 츠이테 이타
つまり、彼は嘘をついていた。
즉, 그는 거짓말을 하고 있었다.
|
앞서 언급한 사물이나 상황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입니다. 소레 それ 그것 |
소레 와 와타시 노 혼 데스
それは私の本です。
그건 제 책이에요.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와 は 은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저는 학생입니다.
|
앞서 말한 내용과 같은 종류의 것을 가리키는 지시형용사입니다. 손나 そんな 그런 |
손나 코토 와 나이 요
そんなことはないよ。
그런 일은 없어.
|
영어 'simple'에서 온 외래어로, '간단한'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입니다. 신푸루 シンプル 간단한 |
코노 데자인 와 신푸루 다
このデザインはシンプルだ。
이 디자인은 간단해.
|
부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이 아니다'라는 의미입니다. 쟈 나이 じゃない 아니다 |
데와 나이 ではない 아니다 카레 와 센세이 쟈 나이
彼は先生じゃない。
그는 선생님이 아니다.
|
못토 아이마이 데 센사이 데 후메이료오 나 나니카
もっと 曖昧あいまいで 繊細せんさいで 不明瞭ふめいりょうなナニカ
더 애매하고 섬세하며 불명료한 무언가
이 문장은 'もっと'로 시작하여 '더'라는 의미를 강조하는 부사로 시작합니다. '曖昧で', '繊細で', '不明瞭な'는 각각 '애매하고', '섬세하며', '불명료한'이라는 형용사적 표현으로, 'ナニカ(무엇)'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で'는 접속조사로 '~하고'라는 의미를 가지며, 'な'는 형용사와 명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체적으로 더 복잡하고 미묘한 무언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더'라는 의미를 가진 부사로, 정도나 양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못토 もっと 더 |
못토 간밧테 쿠다사이
もっと頑張ってください。
더 힘내 주세요.
|
뚜렷하지 않고 모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曖 희미할 애, 昧 어두울 매 아이마이 曖昧 애매한 曖 희미할 애, 昧 어두울 매 |
카레 노 헨지 와 아이마이 닷타
彼の返事は曖昧だった。
그의 대답은 애매했다.
|
접속조사로, 앞뒤 문장을 연결하며 '~하고'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데 で ~하고 |
코오엔 데 아손데, 이에 데 벤쿄오 시타
公園で遊んで、家で勉強した。
공원에서 놀고, 집에서 공부했다.
|
아주 정교하고 세심한 것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繊 가늘 섬, 細 가늘 세 센사이 繊細 섬세한 繊 가늘 섬, 細 가늘 세 |
카노조 와 센사이 나 코코로 노 모치누시 다
彼女は繊細な心の持ち主だ。
그녀는 섬세한 마음의 소유자다.
|
접속조사로, 앞뒤 문장을 연결하며 '~하며'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데 で ~하며 |
히루 와 갓코오 데, 요루 와 아루바이토 데 이소가시이
昼は学校で、夜はアルバイトで忙しい。
낮에는 학교에서, 밤에는 아르바이트로 바쁘다.
|
분명하지 않고 흐릿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不 아닐 불, 明 밝을 명, 瞭 밝을 료 후메이료오 不明瞭 불명료한 不 아닐 불, 明 밝을 명, 瞭 밝을 료 |
소노 셋스메이 와 후메이료오 닷타
その説明は不明瞭だった。
그 설명은 불명료했다.
|
형용사와 명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조사입니다. 나 な ~한 |
시즈카 나 요루 닷타
静かな夜だった。
조용한 밤이었다.
|
'무엇인가'라는 의미를 가진 대명사입니다. 나니카 ナニカ 무언가 |
나니카 가 치가우 키 가 스루
ナニカが違う気がする。
무엇인가 다르다는 느낌이 들어.
|
타토에바 못테루 노니 다세나이 야츠
例たとえば持もってるのに出だせないヤツ
예를 들어 가지고 있으면서 꺼내지 못하는 녀석
이 문장은 '예를 들어'라는 의미의 '例えば'로 시작하여, '가지고 있으면서 꺼내지 못하는 것'이라는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持ってる'는 '가지고 있다', 'のに'는 '~임에도 불구하고', '出せない'는 '꺼낼 수 없다', 'ヤツ'는 '것'을 의미하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어떤 것을 소유하고 있음에도 표현하지 못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예를 들거나 비유할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例 법식 례 타토에바 例えば 예를 들어 例 법식 례 |
타토에바, 니혼 니 와 시키 가 아리마스
例えば、日本には四季があります。
예를 들어, 일본에는 사계절이 있습니다.
|
'가지고 있다'는 의미의 동사 '持つ'의 구어체 형태입니다. 持 가질 지 못테루 持ってる 가지고 있다 持 가질 지 |
모츠 持つ 가지다 카레 와 아타라시이 쿠루마 오 못테루
彼は新しい車を持ってる。
그는 새 차를 가지고 있다.
|
앞의 내용과 반대되는 결과가 뒤에 올 때 사용하는 접속조사입니다. 노니 のに ~임에도 불구하고 |
아메 가 풋테 이루 노니 데카케타
雨が降っているのに出かけた。
비가 오는데도 외출했다.
|
'꺼내다'라는 의미의 동사 '出す'의 가능형 부정형입니다. 出 날 출 다세나이 出せない 꺼낼 수 없다 出 날 출 |
다스 出す 꺼내다 코노 히키다시 와 코와레테 다세나이
この引き出しは壊れて出せない。
이 서랍은 고장나서 열 수 없다.
|
사물이나 사람을 가리키는 비격식적인 명사입니다. 奴 종 노 야츠 ヤツ 녀석 奴 종 노 |
야츠 奴 녀석 아노 야츠 와 아부나이
あのヤツは危ない。
저 녀석은 위험해.
|
얏테루 노니 이케나이 야츠
やってるのにイケないヤツ
하고 있는데 안 되는 녀석
이 문장은 일본어로, 'やってる'는 '하고 있다'라는 의미의 동사 'やる'의 진행형입니다. 'のに'는 '~인데도 불구하고'라는 의미의 접속조사로, 앞뒤 문장의 대조를 나타냅니다. 'イケない'는 '안 된다'라는 의미의 형용사 'いけない'의 축약형이며, 'ヤツ'는 '녀석'이라는 의미의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하고 있는데도 안 되는 녀석'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やる'의 진행형으로, '하고 있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얏테루 やってる 하고 있다 |
야루 やる 하다 마이니치 벤쿄오 오 얏테 이루
毎日勉強をやっている。
매일 공부를 하고 있다.
|
접속조사로, '~인데도 불구하고'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앞뒤 문장의 대조를 강조합니다. 노니 のに ~인데도 |
간밧타 노니 싯파이 시타
頑張ったのに失敗した。
열심히 했는데도 실패했다.
|
'안 된다'라는 의미의 형용사 'いけない'의 축약형으로, 허용되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이케나이 イケない 안 된다 |
이케나이 いけない 안 된다 코코 데 아손데 와 이케나이
ここで遊んではいけない。
여기서 놀면 안 된다.
|
사람을 가리키는 비격식적인 명사로, '녀석', '놈'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야츠 ヤツ 녀석 |
야츠 やつ 녀석 아노 야츠 와 신요오 데키나이
あのやつは信用できない。
저 녀석은 믿을 수 없다.
|
못테 루노니 사톳타 후리 시테
持もってるのに悟さとったふりして
가지고 있는데 깨달은 척하고
이 문장은 두 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절은 '持ってるのに'로, '가지고 있는데'라는 의미로, 무언가를 소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 행동을 취함을 나타냅니다. 두 번째 절은 '悟ったふりして'로, '깨달은 척하고'라는 의미로, 실제로는 깨닫지 못했지만 그런 것처럼 행동함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겉과 속이 다른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구문입니다.
'가지고 있다'라는 의미의 동사 '持つ'의 연용형에 조동사 'てる'가 붙은 형태로, 현재 진행형을 나타냅니다. 持 가질 지 못테 루 持ってる 가지고 있다 持 가질 지 |
모츠 持つ 가지다 카레 와 오카네 오 못테 루
彼はお金を持ってる。
그는 돈을 가지고 있다.
|
접속조사로, 앞뒤 문장이 대조되는 관계임을 나타냅니다. 노니 のに ~인데 |
아메 가 풋테 이루 노니 데카케타
雨が降っているのに出かけた。
비가 오는데 나갔다.
|
'깨닫다'라는 의미의 동사 '悟る'의 과거형입니다. 悟 깨달을 오 사톳타 悟った 깨달았다 悟 깨달을 오 |
사토루 悟る 깨닫다 카레 와 신지츠 오 사톳타
彼は真実を悟った。
그는 진실을 깨달았다.
|
'~인 척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후리 ふり 척 |
카레 와 시라나이 후리 오 시타
彼は知らないふりをした。
그는 모르는 척했다.
|
'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する'의 연용형입니다. 시테 して 하고 |
스루 する 하다 카레 와 벤쿄 오 시테 이루
彼は勉強をしている。
그는 공부를 하고 있다.
|
스카시테루 우치니 후안니 낫챳타리 스루 야츠
スカしてるうちに不安ふあんになっちゃったりするヤツ
멋있는 척하다가 불안해지기도 하는 녀석
이 문장은 여러 동작과 상태가 연결된 복합문입니다. 'スカしてるうちに'는 '멋있는 척하는 동안에'라는 뜻으로, 동사 'スカす(멋을 부리다)'의 현재진행형에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うちに(동안에)'가 붙었습니다. '不安になっちゃったりする'는 '불안해지기도 한다'는 의미로, '不安になる(불안해지다)'의 구어체 변화형 'なっちゃう(되어버리다)'와 'たりする(~하기도 한다)'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의 'ヤツ'는 '녀석'이라는 의미의 명사로, 앞의 내용을 받는 주어 역할을 합니다.
동사 'スカす(스카스)'의 현재진행형으로, '멋있는 척하다', '시크하게 굴다'는 뜻입니다. 스카시테루 スカしてる 멋있는 척하는 |
스카스 スカす 멋있는 척하다 카레와 이츠모 스카시테루
彼はいつもスカしてる。
그는 항상 멋있는 척한다.
|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 범위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하는 사이에', '~하는 동안에'라는 뜻입니다. 우치니 うちに ~하는 동안에 |
우치 うち 동안 와카이 우치니 이로이로 케이켄 시타 호오가 이이
若いうちに色々経験したほうがいい。
젊을 때 여러 가지 경험을 하는 게 좋아.
|
마음이 편하지 않고 걱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不 아닐 불, 安 편안 안 후안 不安 불안 不 아닐 불, 安 편안 안 |
쇼오라이가 후안데스
将来が不安です。
미래가 불안합니다.
|
상태의 변화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로, 여기서는 '불안한 상태가 되다'라는 의미입니다. 니 に ~이 되어 |
센세이니 나리마시타
先生に なりました。
선생님이 되었습니다.
|
'なる(되다)'의 구어체 변화형 'なっちゃう(되어버리다)'에, '~たり(하기도 하고)'가 붙어 여러 동작 중 하나임을 나타냅니다. 낫챳타리 なっちゃったり 되어버리기도 하고 |
나루 なる 되다 츠카레테 네챳타리 스루
疲れて寝ちゃったりする。
피곤해서 자버리기도 한다.
|
동작이나 행위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동사입니다. 스루 する 하다 |
슈쿠다이오 스루
宿題をする。
숙제를 하다.
|
사람을 낮추거나 친근하게 부를 때 쓰는 말로, '녀석', '자식' 등의 의미입니다. 야츠 ヤツ 녀석 |
아이츠와 헨나 야츠다
あいつは変なヤツだ。
그 녀석은 이상한 녀석이다.
|
쇼센 안타 와 기후텟도
所詮しょせんアンタはギフテッド
결국 당신은 천재예요
이 문장은 '所詮'으로 시작하는 부사적 표현과 주어('アンタ') + 주격 조사('は') + 서술어('ギフテッド')로 구성된 간단한 명사문입니다. '所詮'은 '결국', '어차피'라는 의미로 문장 전체에 결정적인 뉘앙스를 부여합니다. 'アンタはギフテッド' 부분은 '당신은 천재다'라는 의미의 평서문입니다.
'결국', '어차피'라는 의미의 부사로, 어떤 일의 궁극적인 결과나 본질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所 바 소, 詮 갖출 전 쇼센 所詮 결국 所 바 소, 詮 갖출 전 |
쇼센, 닌겐 와 히토리 데 우마레테 히토리 데 시누
所詮、人間は一人で生まれて一人で死ぬ。
결국 인간은 혼자 태어나 혼자 죽는다.
|
2인칭 대명사로 '당신'을 의미합니다. 비격식적이고 친근감 있는 호칭으로 사용됩니다. 안타 アンタ 당신 |
안타, 도코 이쿠 노?
アンタ、どこ行くの?
당신, 어디 가는 거야?
|
주격 조사로, 문장의 주제를 나타내거나 대조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영어 'gifted'에서 온 외래어로,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을 의미합니다. 기후텟도 ギフテッド 천재 |
카레 와 혼토우 니 기후텟도 다
彼は本当にギフテッドだ。
그는 정말 천재야.
|
아타시 와 후츠노 슈후 데스 토
アタシは普通ふつうの主婦しゅふですと
나는 평범한 주부라고요
이 문장은 주어(アタシ) + 조사(は) + 명사구(普通の主婦) + 서술어(です) + 종조사(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アタシ'는 1인칭 대명사 '나'를 의미하며, 'は'는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普通の主婦'는 '평범한 주부'라는 명사구로, '普通'이 '평범한'을, 'の'가 소유격 조사, '主婦'가 '주부'를 의미합니다. 'です'는 서술어로 '~이다'를 나타내며, 'と'는 인용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화자가 자신을 평범한 주부라고 소개하는 문장입니다.
1인칭 대명사로, 주로 여성이 사용하는 비격식적인 표현입니다. 아타시 アタシ 나 |
아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アタシ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이야.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의 주제를 표시합니다. 와 は 는 |
코레 와 혼 데스
これは本です。
이것은 책이야.
|
평범함을 나타내는 명사 또는 형용동사입니다. 普 넓을 보, 通 통할 통 후츠 普通 평범한 普 넓을 보, 通 통할 통 |
후츠 노 세이카츠 가 스키 데스
普通の生活が好きです。
평범한 삶이 좋아요.
|
소유격 조사로, 앞의 단어가 뒤의 단어를 수식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데스
私の本です。
나의 책이야.
|
가정을 주로 관리하는 여성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主 임금/주인 주, 婦 며느리 부 슈후 主婦 주부 主 임금/주인 주, 婦 며느리 부 |
하하 와 센교 슈후 데시타
母は専業主婦でした。
어머니는 전업주부였어요.
|
정중한 서술어로, '~이다'를 의미합니다. 데스 です 입니다 |
쿄 와 하레 데스
今日は晴れです。
오늘은 맑아요.
|
인용을 나타내는 조사로, 말을 인용할 때 사용됩니다. 토 と 라고 |
"아리가토" 토 이이마시타
「ありがとう」と言いました。
"감사합니다"라고 말했어요.
|
소레 와 이이 데쇼오? 스바라시이 데쇼오?
それは良いいでしょう?素晴すばらしいでしょう?
그것은 좋은 거죠? 훌륭한 거죠?
이 문장은 두 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질문은 'それはいいでしょう?'로, 'それは'는 주어, 'いい'는 형용사, 'でしょう'는 추측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두 번째 질문은 'すばらしいでしょう?'로, 'すばらしい'는 형용사, 'でしょう'는 추측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전체적으로 화자가 자신의 상태나 행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는 표현입니다.
지시 대명사로, 화자와 청자로부터 떨어진 사물이나 상황을 가리킵니다. 소레 それ 그것 |
소레 오 미세테 쿠다사이
それを見せてください。
그것을 보여주세요.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형용사로 '좋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이 いい 좋은 |
텐키 가 이이 데스 네
天気がいいですね。
날씨가 좋네요.
|
추측이나 확인을 구할 때 사용하는 조동사입니다. 데쇼오 でしょう ~겠죠 |
아시타 와 하레루 데쇼오
明日は晴れるでしょう。
내일은 맑겠죠.
|
형용사로 '훌륭하다', '멋지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스바라시이 すばらしい 훌륭한 |
스바라시이 케시키 데스 네
すばらしい景色ですね。
훌륭한 경치네요.
|
추측이나 확인을 구할 때 사용하는 조동사입니다. 데쇼오 でしょう ~겠죠 |
카레 모 쿠루 데쇼오
彼も来るでしょう。
그도 오겠죠.
|
후카노오 노 쇼오메이 노 칸세이 난 쟈나이?
不可能ふかのうの証明しょうめいの完成かんせいなんじゃない?
불가능 증명의 완성 아니야?
이 문장은 '불가능의 증명의 완성이 아니야?'라는 의미로, '不可能の'는 '불가능의', '証明の'는 '증명의', '完成'은 '완성', 'なんじゃない?'는 '아니야?'를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불가능한 것을 증명하는 것이 완성되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불가능하다는 의미의 명사입니다. 不 아닐 불, 可 옳을 가, 能 능할 능 후카노오 不可能 불가능 不 아닐 불, 可 옳을 가, 能 능할 능 |
후카노오 오 카노오 니 스루.
不可能を可能にする。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다.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어떤 사실이나 진술을 증명하는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証 증거 증, 明 밝을 명 쇼오메이 証明 증명 証 증거 증, 明 밝을 명 |
쇼오메이쇼 가 히츠요오 다.
証明書が必要だ。
증명서가 필요해.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토모다치 노 이에
友達の家
친구의 집
|
무언가가 완성되었다는 의미의 명사입니다. 完 완전할 완, 成 이룰 성 칸세이 完成 완성 完 완전할 완, 成 이룰 성 |
사쿠힌 가 칸세이 시타.
作品が完成した。
작품이 완성되었어.
|
의문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난 쟈나이 なんじゃない 아니야 |
소레 데 이이 난 쟈나이?
それでいいんじゃない?
그걸로 괜찮지 않아?
|
유메 오 모테 난테 잇테나이
夢ゆめを持もてなんて言いってない
꿈을 가져라고 말하지 않아
이 문장은 '夢を' + '持てなんて' + '言ってな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夢を'는 '꿈을'이라는 목적어 역할을 하며, '持てなんて'는 '가져라고'라는 의미로 권유 또는 명령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言ってない'는 '말하지 않아'라는 부정형 현재 시제로, 말하지 않는다는 의도를 강조합니다. 전체적으로 '꿈을 가져라고 말하지 않아'라는 의미로, 누군가에게 꿈을 가지라고 말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꿈을 의미하는 명사로, 희망이나 이상을 나타냅니다. 夢 꿈 몽 유메 夢 꿈 夢 꿈 몽 |
유메 와 카나우
夢は叶う。
꿈은 이루어진다.
|
목적격 조사로, 동사의 목적어를 나타냅니다. 오 を 을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동사 '持つ(가지다)'의 명령형으로, '가지라'라는 의미입니다. 持 가질 지 모테 持て 가지라 持 가질 지 |
모츠 持つ 가지다 키보우 오 모테
希望を持て。
희망을 가져라.
|
감탄이나 놀람을 나타내는 조사로, '~라니'로 해석됩니다. 난테 なんて 라니 |
카레 가 쿠루 난테
彼が来るなんて。
그가 온다라니.
|
동사 '言う(말하다)'의 부정형 현재 시제로, '말하지 않아'라는 의미입니다. 言 말씀 언 잇테나이 言ってない 말하지 않아 言 말씀 언 |
이우 言う 말하다 카레 와 나니 모 잇테나이
彼は何も言ってない。
그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아.
|
손나 무세키닌 니 나리 와 시나이
そんな無責任むせきにんになりはしない
그렇게 무책임한 사람이 되지는 않을 거야
이 문장은 'そんな'으로 시작하여 앞 문장을 받는 형식입니다. '無責任'은 '무책임'을 의미하는 명사로, 'に'는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なりはしない'는 '되지는 않을 거야'라는 강한 부정의 의미를 가진 동사구입니다. 전체적으로 '그렇게 무책임한 사람이 되지는 않을 거야'라는 강한 의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된 내용을 받아 '그런'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지시사입니다. 손나 そんな 그런 |
손나 코토 나이 요
そんなことないよ。
그런 건 아니야.
|
'무책임'을 의미하는 명사로, 책임감이 없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無 없을 무, 責 꾸짖을 책, 任 맡길 임 무세키닌 無責任 무책임 無 없을 무, 責 꾸짖을 책, 任 맡길 임 |
무세키닌 나 코오도오 와 야메요오
無責任な行動はやめよう。
무책임한 행동은 그만두자.
|
상태 변화의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이/가 |
초오칸 니 나루
長官になる
장관이 되다
|
'되다'라는 의미의 동사 'なる'의 연용형입니다. 나리 なり 되다 |
나루 なる 되다 오토나 니 나리타이
大人になりたい。
어른이 되고 싶어.
|
주제를 강조하는 조사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する'의 부정형입니다. 시나이 しない 하지 않다 |
스루 する 하다 슈쿠다이 오 시나이
宿題をしない。
숙제를 하지 않는다.
|
타다 소노 슈우세이 니 쿠와레 나이데
ただその習性しゅうせいに喰くわれないで
그저 그 습성에 먹히지 마
이 문장은 부정의 의미를 가진 부사 'ただ'로 시작하여, '그저', '단지'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その習性に'는 '그 습성에'를 의미하며, '喰われないで'는 '먹히지 말아'라는 부정의 명령형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특정한 습성이나 관습에 휩쓸리지 말 것을 당부하는 내용입니다.
무언가를 강조하거나 단순히 그렇다는 것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타다 ただ 그저 |
타다 미테이루 다케 다
ただ見ているだけだ。
그저 보고 있을 뿐이야.
|
지시 대명사로, 특정한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소노 その 그 |
소노 혼 오 쿠다사이
その本をください。
그 책 주세요.
|
개인이나 집단이 오랫동안 반복하여 자연스럽게 가지게 된 행동 방식이나 버릇을 의미합니다. 習 익힐 습, 性 성품 성 슈우세이 習性 습성 習 익힐 습, 性 성품 성 |
카레 노 슈우세이 와 카와라 나이
彼の習性は変わらない。
그의 습성은 변하지 않아.
|
조사로, 대상이나 방향, 시간 등을 나타냅니다. 니 に ~에 |
갓코오 니 이쿠
学校に行く。
학교에 가다.
|
'먹다'의 수동형 '喰われる'의 부정형에 명령의 의미를 더한 표현으로, '먹히지 말아'라는 뜻입니다. 喰 먹을 식 쿠와레 나이데 喰われないで 먹히지 말아 喰 먹을 식 |
쿠우 喰う 먹다 지칸 니 쿠와레루 나
時間に喰われるな。
시간에 먹히지 마.
|
손나 하빗 스테루 타비 미에테 쿠루 키미 노 카치
そんなHabit捨すてる度たび 見みえてくる君きみの価値かち
그런 습관을 버릴 때마다 보이는 너의 가치
이 문장은 두 개의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부분 'そんなHabit捨てる度'는 '그런 습관을 버릴 때마다'라는 의미로, 'そんなHabit'이 목적어, '捨てる'이 동사, '度'가 때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두 번째 부분 '見えてくる君の価値'는 '보이는 너의 가치'라는 의미로, '見えてくる'이 동사구, '君の'가 소유격 명사구, '価値'가 주된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반복되는 행동을 버릴 때마다 상대방의 진정한 가치가 보인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지시 대명사로, 앞서 언급된 내용이나 상황을 가리키며 '그런', '그와 같은'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손나 そんな 그런 |
손나 코토 와 나이 요
そんなことはないよ。
그런 건 아니야.
|
영어에서 유래한 외래어로,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행동 패턴이나 습관을 의미합니다. 하빗 Habit 습관 |
하야오키 와 요이 하빗 다
早起きは良いHabitだ。
일찍 일어나는 것은 좋은 습관이다.
|
어떤 물건이나 습관 등을 포기하거나 없애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捨 버릴 사 스테루 捨てる 버리다 捨 버릴 사 |
후루이 슈칸 오 스테루
古い習慣を捨てる。
오래된 습관을 버리다.
|
어떤 일이 일어날 때마다를 나타내는 명사로, '~할 때마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타비 度 때마다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
아우 타비 니 세이초오 시테 이루
会う度に成長している。
만날 때마다 성장하고 있어.
|
'보이다'라는 의미의 동사 '見える'에 '~해 오다'라는 의미의 보조동사 'くる'가 결합된 형태로, 점점 보이게 된다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見 볼 견 | 뵈올 현 미에테 쿠루 見えてくる 보이다 見 볼 견 | 뵈올 현 |
미에루 見える 보이다 신지츠 가 미에테 쿠루
真実が見えてくる。
진실이 보이기 시작한다.
|
2인칭 대명사로, 친구나 연인 등 친밀한 관계에서 상대방을 부를 때 사용합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君 임금 군 |
키미 노 코토 가 스키 다
君のことが好きだ。
네가 좋아.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격조사로, 명사와 명사를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어떤 것의 중요성이나 유용성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価 값 가, 値 값 치 카치 価値 가치 価 값 가, 値 값 치 |
코노 케이켄 니 와 오오키나 카치 가 아루
この経験には大きな価値がある。
이 경험에는 큰 가치가 있다.
|
오레타치 닷테 도오부츠
俺おれたちだって動物どうぶつ
우리들도 동물이야
이 문장은 주어(俺たち) + 조사(だって) + 명사(動物)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俺たち'는 '우리들'을 의미하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이며, 'だって'는 '~도'라는 의미의 조사로, '動物'은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우리들도 동물이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1인칭 복수 대명사로, '나'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비격식적인 표현이며, 주로 남성이 사용합니다. 俺 나 엄 오레타치 俺たち 우리들 俺 나 엄 |
오레타치 와 나카마 다
俺たちは仲間だ。
우리들은 친구야.
|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로, '~도', '~라고 해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닷테 だって ~도 |
와타시 닷테 데키루
私だってできる。
나도 할 수 있어.
|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도오부츠 動物 동물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
도오부츠엔 니 이키타이
動物園に行きたい。
동물원에 가고 싶어.
|
코오유우 노 테 코오부츠
こーゆーのって好物こうぶつ
이런 거 좋아해
이 문장은 감탄사로 시작하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こーゆーのって'는 '이런 거는'이라는 의미로, '好物'은 '좋아하는 것'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이런 거 좋아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런'이라는 의미를 가진 구어체 표현입니다. 'こういう(koo iu)'가 변형된 형태로,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코오유우 こーゆー 이런 |
코오 이우 こういう 이런 코오유우 노와 스키 쟈 나이
こーゆーのは好きじゃない
이런 건 싫어
|
명사화 접속사로, 앞의 내용을 '것'으로 받아 명사구를 만듭니다. 노 の 거 |
타베루 노가 스키
食べるのが好き
먹는 게 좋아
|
화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는/이라는 것은'이라는 의미입니다. 테 って 는 |
토 と 라고 소레 테 혼토오?
それって本当?
그거 진짜야?
|
'좋아하는 것', '특히 좋아하는 음식'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好 좋을 호, 物 물건 물 코오부츠 好物 좋아하는 것 好 좋을 호, 物 물건 물 |
아마이 모노가 코오부츠 데스
甘いものが好物です
단 게 좋아요
|
코코 마데 이와레타라 도오?
ここまで言いわれたらどう?
여기까지 말하면 어떨까?
이 문장은 'ここまで' (여기까지) + '言われたら' (말하면) + 'どう?' (어떨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ここまで言われたら'는 조건절을 형성하며, 'どう?'는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의 반응을 묻는 문장 구조입니다.
장소를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로, 말하는 사람과 가까운 곳을 나타냅니다. 코코 ここ 여기 |
코코 니 키테 쿠다사이
ここに来てください。
여기로 오세요.
|
한계나 범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마데 まで 까지 |
쿠지 마데 하타라키마스
9時まで働きます。
9시까지 일합니다.
|
'言う' (말하다)의 수동형 '言われる'의 가정형으로, '만약 말을 들으면'이라는 의미입니다. 言 말씀 언 이와레타라 言われたら 말하면 言 말씀 언 |
이우 言う 말하다 소오 이와레타라 우레시이 데스
そう言われたら嬉しいです。
그렇게 말해주시면 기쁩니다.
|
의문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상대방의 의견이나 반응을 묻는 데 사용됩니다. 도오 どう 어떻게 |
코레 데 도오 데스 카?
これでどうですか?
이렇게 하면 어때요?
|
후츠우 하라 노 소코 카라 코오 후츠 후츠 토
普通ふつう 腹はらの底そこからこうふつふつと
보통 배 속에서부터 이렇게 부글부글 끓어
이 문장은 일본어로 작성되었으며, 감정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普通'는 '보통'을 의미하며, '腹の底から'는 '배 속에서부터'를 나타냅니다. 'こうふつふつと'는 '부글부글 끓는 모습'을 묘사하는 의태어입니다. 전체적으로 평소와는 다른 강한 감정이나 상태가 내부에서부터 솟아나는 것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평소와 다름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普 넓을 보, 通 통할 통 후츠우 普通 보통 普 넓을 보, 通 통할 통 |
후츠우 노 세이카츠 오 오쿠루
普通の生活を送る。
보통의 생활을 보낸다.
|
신체 부위 중 배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腹 배 복 하라 腹 배 腹 배 복 |
하라 가 헷타
腹が減った。
배가 고프다.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무언가의 가장 아래 부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底 밑 저 소코 底 바닥 底 밑 저 |
콧푸 노 소코
コップの底
컵의 바닥
|
시점이나 출발점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카라 から 부터 |
코코 카라 하지메루
ここから始める。
여기부터 시작한다.
|
방식이나 상태를 지시하는 부사입니다. 코오 こう 이렇게 |
코오 얏테 야룬다
こうやってやるんだ。
이렇게 하는 거야.
|
액체가 끓거나 감정이 솟아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의태어입니다. 후츠 후츠 ふつふつ 부글부글 |
오유 가 후츠 후츠 토 와쿠
お湯がふつふつと沸く。
물이 부글부글 끓는다.
|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토 と ~하고 |
와랏테 토 잇타
笑ってと言った。
웃어라고 말했다.
|
오레타치 닷테 도오부츠
俺おれたちだって動物どうぶつ
우리들도 동물이야
이 문장은 주어(俺たち) + 조사(だって) + 명사(動物)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俺たち'는 '우리들'을 의미하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이며, 'だって'는 '~도'라는 의미의 조사로, '動物'은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우리들도 동물이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1인칭 복수 대명사로, '나'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비격식적인 표현이며, 주로 남성이 사용합니다. 俺 나 엄 오레타치 俺たち 우리들 俺 나 엄 |
오레타치 와 나카마 다
俺たちは仲間だ。
우리들은 친구야.
|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로, '~도', '~라고 해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닷테 だって ~도 |
와타시 닷테 데키루
私だってできる。
나도 할 수 있어.
|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도오부츠 動物 동물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
도오부츠엔 니 이키타이
動物園に行きたい。
동물원에 가고 싶어.
|
유에 니 모치 우루 오리지날 나 슈우세이
故ゆえに持もち得うるOriginalな習性しゅうせい
그래서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습성
이 문장은 일본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故に'는 '그래서, 그러므로'라는 의미의 접속사로 문장의 원인을 나타냅니다. '持ち得る'는 '가지다'와 '할 수 있다'의 의미가 합쳐진 표현으로 '가질 수 있는'을 의미합니다. 'Originalな'는 영어 차용어로 '독창적인'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입니다. '習性'은 '습성, 습관'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그래서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습성'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그래서, 그러므로'라는 의미의 접속사로, 앞서 말한 내용의 결과를 이끌어낼 때 사용합니다. 故 연고 고 유에 니 故に 그래서 故 연고 고 |
유에 니 코노 케츠론 니 이탓타
故にこの結論に至った。
그래서 이 결론에 이르렀다.
|
'가지다'와 '할 수 있다'의 의미가 합쳐진 표현으로, '가질 수 있는'이라는 가능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持 가질 지, 得 얻을 득 모치 우루 持ち得る 가질 수 있는 持 가질 지, 得 얻을 득 |
카레 와 조오닌 니 와 모치 우루 나이 사이노오 오 못테 이루
彼は常人には持ち得ない才能を持っている。
그는 보통 사람들이 가질 수 없는 재능을 가지고 있다.
|
영어 차용어로 '독창적인, 원래의'라는 의미를 가진 형용사입니다. 오리지날 Original 독창적인 |
카레 노 아이디어 와 토테모 오리지날 다
彼のアイデアはとてもOriginalだ。
그의 아이디어는 매우 독창적이다.
|
형용사를 수식하는 조사로, 명사를 꾸밀 때 사용합니다. 나 な ~한 |
시즈카 나 바쇼
静かな場所
조용한 장소
|
'습성, 습관'을 의미하는 명사로, 사람이나 동물의 본능적인 행동 방식을 나타냅니다. 習 익힐 습, 性 성품 성 슈우세이 習性 습성 習 익힐 습, 性 성품 성 |
네코 노 슈우세이 오 켄큐우 스루
猫の習性を研究する。
고양이의 습성을 연구하다.
|
지분 데 지분 오 분루이 스루 나 요
自分じぶんで自分じぶんを分類ぶんるいするなよ
스스로 자신을 분류하지 마
이 문장은 명령형 문장으로, '自分で自分を分類するなよ'는 '스스로를 분류하지 마라'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自分で'는 '스스로', '自分を'은 '자신을', '分類する'는 '분류하다', 'なよ'는 금지를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스스로를 어떤 범주에 가두지 말라는 강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자신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말하는 사람 본인을 지칭합니다.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지분 自分 자신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
지분 데 칸가에나사이
自分で考えなさい.
스스로 생각하세요.
|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 で ~로 |
펜 데 카쿠
ペンで書く。
펜으로 쓰다.
|
앞에서와 동일하게 자신을 가리키는 대명사입니다.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지분 自分 자신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
지분 노 코토 와 지분 데 키메루
自分のことは自分で決める。
자신의 일은 스스로 결정한다.
|
목적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오 を ~을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사물이나 사람을 어떤 기준에 따라 나누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분루이 分類 분류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
데타 오 분루이 스루
データを分類する。
데이터를 분류하다.
|
동사를 만드는 보조동사로, 앞의 명사와 결합하여 동사구를 형성합니다. 스루 する 하다 |
벤쿄 스루
勉強する。
공부하다.
|
동사의 기본형에 붙어 금지의 명령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나 な ~하지 마라 |
이쿠 나
行くな。
가지 마라.
|
문장 끝에 붙어 강조나 주의를 환기하는 종조사입니다. 요 よ ~이다 |
다이조부 다 요
大丈夫だよ。
괜찮아.
|
코와시테 미세로 요 소노 배드 해빗
壊こわして見みせろよ そのBad Habit
부숴버려, 그 나쁜 습관
이 문장은 두 개의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壊して見せろよ'는 '부수어서 보여 줘'라는 의미로, '壊して'는 동사 '부수다'의 연용형에 접속조사 'て'가 붙은 형태이고, '見せろ'는 동사 '보여주다'의 명령형입니다. 'そのBad Habit'은 '그 나쁜 습관'을 의미하는 명사구로, 앞서 언급한 행동의 대상이 됩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나쁜 습관을 과감히 보여달라고 요구하는 명령문입니다.
동사 '부수다'의 연용형에 접속조사 'て'가 붙은 형태로, '~해서'라는 연결의 의미를 가집니다. 壊 무너질 괴 코와시테 壊して 부숴서 壊 무너질 괴 |
코와스 壊す 부수다 마도 오 코와시테 시맛타
窓を壊してしまった。
창문을 부숴 버렸다.
|
동사 '보여주다'의 명령형으로,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보여달라고 요구할 때 사용합니다. 見 볼 견 | 뵈올 현 미세로 見せろ 보여 줘 見 볼 견 | 뵈올 현 |
미세루 見せる 보여주다 샤신 오 미세테
写真を見せて。
사진 보여 줘.
|
문장 끝에 붙어 명령이나 권유의 느낌을 강조하는 종조사입니다. 요 よ ~해 줘 |
하야쿠 코이 요
早く来いよ。
빨리 와 줘.
|
지시대명사로, 화자와 청자 모두가 알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소노 その 그 |
소노 혼 오 톳테
その本を取って。
그 책 좀 줘.
|
영어에서 차용한 단어로, '나쁜'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배드 Bad 나쁜 |
댓츠 어 배드 아이디어
That's a bad idea.
그건 나쁜 생각이야.
|
영어에서 차용한 단어로, '습관'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해빗 Habit 습관 |
스모킹 이즈 어 배드 해빗
Smoking is a bad habit.
흡연은 나쁜 습관이다.
|
오토나 노 오레 가 잇챠 이케나이 코토 잇차우 케도
大人おとなの俺おれが言いっちゃいけない事こと言いっちゃうけど
어른인 내가 말해서는 안 될 말을 하지만
이 문장은 일본어의 복합문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大人の俺が'는 주어 부분으로 '어른인 내가'를 의미합니다. '言っちゃいけない事'는 '말해서는 안 될 것'이라는 명사구이며, '言っちゃうけど'는 '말해버리지만'이라는 종속절입니다. 전체적으로 '어른인 내가 말해서는 안 될 말을 하지만'이라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인을 의미하는 명사로, '어른'이라는 뜻입니다. 大 큰 대, 人 사람 인 오토나 大人 어른 大 큰 대, 人 사람 인 |
오토나 나 나루
大人になる
어른이 되다
|
소유격 조사로, 앞의 명사와 뒤의 명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남성이 자신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1인칭 대명사로, '나'라는 뜻입니다. 俺 나 엄 오레 俺 나 俺 나 엄 |
오레 와 가쿠세이 다
俺は学生だ
나는 학생이다
|
주격 조사로, 문장에서 주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 が ~이/가 |
아메 가 후루
雨が降る
비가 내리다
|
'言ってはいけない'의 축약형으로, '말해서는 안 된다'는 금지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言 말씀 언 잇챠 이케나이 言っちゃいけない 말해서는 안 된다 言 말씀 언 |
잇테 와 이케나이 言ってはいけない 말해서는 안 된다 코코 데 타바코 오 슷챠 이케나이
ここでタバコを吸っちゃいけない
여기서 담배 피워서는 안 된다
|
사물이나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로, '일' 또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事 일 사 코토 事 일 事 일 사 |
타이세츠 나 코토
大切な事
중요한 일
|
'言ってしまう'의 축약형으로, '말해버리다'라는 뜻입니다. 言 말씀 언 잇차우 言っちゃう 말해버리다 言 말씀 언 |
잇테 시마우 言ってしまう 말해버리다 히미츠 오 잇챳타
秘密を言っちゃった
비밀을 말해버렸다
|
접속조사로, '하지만'이라는 뜻이며 앞뒤 문장을 대조적으로 연결합니다. 케도 けど 하지만 |
이키타이 케도, 지칸 가 나이
行きたいけど、時間がない
가고 싶지만 시간이 없다
|
셋쿄오 스루 테 붓챠케 카이라쿠
説教せっきょうするってぶっちゃけ快楽かいらく
설교한다는 건 솔직히 말하면 쾌락이야
이 문장은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첫 부분 '説教するってぶっちゃけ'는 '설교한다는 건 솔직히 말하면'이라는 의미로, '説教する'(설교하다) + 'って'(라는 것은) + 'ぶっちゃけ'(솔직히 말하면)의 구조입니다. 두 번째 부분 '快楽'은 '쾌락'이라는 명사로, 앞의 내용을 요약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체적으로 설교하는 행위가 실제로는 쾌락을 준다는 역설적인 의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덕이나 종교적인 내용을 가르치거나 질책하는 말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説 말씀 설 | 달랠 세, 教 가르칠 교 셋쿄오 説教 설교 説 말씀 설 | 달랠 세, 教 가르칠 교 |
센세이 와 나가이 셋쿄오 오 시타
先生は長い説教をした。
선생님은 긴 설교를 하셨다.
|
동사 '하다'를 의미하며, 앞의 명사와 결합하여 동작을 나타냅니다. 스루 する 하다 |
벤쿄오 스루 지칸 다
勉強する時間だ。
공부할 시간이다.
|
앞의 내용을 인용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테 って 라는 것은 |
토 と 라고 타베루 테 시아와세 다
食べるって幸せだ。
먹는다는 것은 행복이다.
|
솔직하게 털어놓는다는 의미의 비격식 표현입니다. 打 칠 타, 明 밝을 명 붓챠케 ぶっちゃけ 솔직히 말하면 打 칠 타, 明 밝을 명 |
우치아케루 打ち明ける 털어놓다 붓챠케, 와타시 가 얏탄 다
ぶっちゃけ、私がやったんだ。
솔직히 말하면, 내가 한 거야.
|
즐거움과 기쁨을 주는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快 쾌할 쾌, 楽 즐길 락 | 노래 악 | 좋아할 요 카이라쿠 快楽 쾌락 快 쾌할 쾌, 楽 즐길 락 | 노래 악 | 좋아할 요 |
카이라쿠 오 모토메루
快楽を求める。
쾌락을 추구하다.
|
사케 노 사카나 니 스랴 모오 켓사쿠
酒さけの肴さかなにすりゃもう傑作けっさく
술안주로 삼으면 이미 걸작이야
이 문장은 술안주로 삼으면 이미 걸작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酒の肴に'는 '술안주로', 'すりゃ'는 '~하면'의 구어체 표현, 'もう'는 '이미', '傑作'은 '걸작'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술안주로 삼기에 이미 충분히 훌륭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술'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酒 술 주 사케 酒 술 酒 술 주 |
사케 오 노무
酒を飲む
술을 마시다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술과 함께 먹는 안주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肴 안주 효 사카나 肴 안주 肴 안주 효 |
비이루 노 사카나
ビールの肴
맥주 안주
|
목적이나 용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로 |
프레젠토 니 스루
プレゼントにする
선물로 하다
|
'する'의 구어체 축약형으로 '~하면'이라는 의미입니다. 스랴 すりゃ 하면 |
스레바 すれば 하면 벤쿄 스랴 데키루
勉強すりゃできる
공부하면 할 수 있어
|
이미, 벌써를 의미하는 부사입니다. 모오 もう 이미 |
모오 오왓타
もう終わった
이미 끝났어
|
훌륭한 작품이나 대단한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傑 뛰어날 걸, 作 지을 작 켓사쿠 傑作 걸작 傑 뛰어날 걸, 作 지을 작 |
코레 와 켓사쿠 다
これは傑作だ
이것은 걸작이야
|
데못테 키미 모 스스무 킷카케 니 나랴
でもって君きみも進すすむキッカケになりゃ
그렇게 해서 너도 나아갈 계기가 된다면
이 문장은 일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でもって'는 접속사로 '그리고' 또는 '그렇게 해서'의 의미를 가집니다. '君も'는 '너도'를 의미하며, '進む'는 '나아가다'라는 동사입니다. 'キッカケになりゃ'는 '계기가 된다면'이라는 가정의 의미를 가집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이 나아갈 계기가 되는 상황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접속사로, 앞서 말한 내용에 추가적인 정보를 이어갈 때 사용됩니다. 데못테 でもって 그리하여 |
데못테, 카레 모 쿠루.
でもって、彼も来る。
그리하여, 그도 온다.
|
2인칭 대명사로, 친근한 사이에서 사용됩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君 임금 군 |
키미 와 도오 오모우?
君はどう思う?
너는 어떻게 생각해?
|
조사로, '또한' 또는 '~도'의 의미를 가집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쿠.
私も行く。
나도 간다.
|
앞으로 나아가거나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進 나아갈 진 스스무 進む 나아가다 進 나아갈 진 |
마에 니 스스무.
前に進む。
앞으로 나아가다.
|
어떤 일이 시작되거나 변화가 일어나는 원인이나 기회를 의미합니다. 킷카케 キッカケ 계기 |
코레 가 킷카케 데 카왓타.
これがキッカケで変わった。
이것이 계기가 되어 변했다.
|
조사로,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니 に ~에게 |
카레 니 하나스.
彼に話す。
그에게 말하다.
|
'なる'의 구어체 축약형으로, '된다면'이라는 가정의 의미를 가집니다. 나랴 なりゃ 된다면 |
나레바 なれば 된다면 소오 나랴 이이 노니.
そうなりゃいいのに。
그렇게 된다면 좋을 텐데.
|
소랴 소레데 윈윈 쟝?
そりゃそれでWin-Winじゃん?
그럼 그것대로 윈윈이잖아?
이 문장은 감탄사 'そりゃ'로 시작하여 '그럼 그건'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それで'는 '그것으로' 또는 '그래서'라는 의미의 부사구입니다. 'Win-Win'은 영어 차용어로 '상호 이익'을 의미하며, 'じゃん'은 일본어의 구어체 종조사로 '~이잖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전체적으로 상호 이익이 되는 상황을 묻는 의문문입니다.
감탄사로 '그럼' 또는 '그건'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それは'의 구어체 축약형입니다. 소랴 そりゃ 그럼 |
소레 와 それは 그것은 소랴 스고이 네!
そりゃすごいね!
그거 대단하네!
|
부사로 '그것으로' 또는 '그래서'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소레데 それで 그것으로 |
소레데 도오 스루?
それでどうする?
그럼 어떻게 할 거야?
|
영어 차용어로 '상호 이익' 또는 '양측 모두에게 이로운' 상황을 의미합니다. 윈윈 Win-Win 윈윈 |
윈윈 노 칸케이 오 키즈키타이.
Win-Winの関係を築きたい。
윈윈 관계를 구축하고 싶어.
|
구어체 종조사로 '~이잖아' 또는 '~이지'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주로 동등한 관계나 친근한 사이에서 사용됩니다. 쟝 じゃん 이잖아 |
코레 데 이이 쟝!
これでいいじゃん!
이걸로 되잖아!
|
코랴 코레 데 잔넨 쟝
こりゃこれで残念ざんねんじゃん
이거 참 정말로 아쉽네
이 문장은 감탄사 'こりゃ'로 시작하여 화자의 놀람이나 실망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これで'는 '이것으로'라는 의미로, 상황을 지칭합니다. '残念じゃん'은 '아쉽잖아'라는 의미로, '残念'은 '아쉽다', 'じゃん'은 경어체가 아닌 친근한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전체적으로 화자가 현재 상황에 대해 실망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것은'이라는 의미의 'これは'가 구어체에서 변형된 형태로, 놀람이나 실망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코랴 こりゃ 이건 |
코레 와 これは 이것은 코랴 타이헨 다
こりゃ大変だ!
이건 큰일이야!
|
'이것으로'라는 의미로, 도구나 방법, 상황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코레 데 これで 이것으로 |
코레 데 오와리 다
これで終わりだ。
이것으로 끝이야.
|
실망스럽거나 아쉬운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残 남을 잔, 念 생각 념 잔넨 残念 아쉽다 残 남을 잔, 念 생각 념 |
잔넨 나 케카 닷타
残念な結果だった。
아쉬운 결과였다.
|
친근한 대화에서 사용되는 종조사로, '잖아'에 해당합니다. 주로 동년배나 친구 사이에서 사용됩니다. 쟝 じゃん 잖아 |
소레 데 이이 쟝
それでいいじゃん。
그거로 좋잖아.
|
소모소모 소렛테 키미시다이 다시
そもそもそれって君きみ次第しだいだし
원래 그건 네 마음에 달렸던 거고
이 문장은 일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そもそも'는 '원래'라는 의미로 문장을 시작합니다. 'それって'는 '그것은'이라는 의미로 주제를 나타내며, '君次第だし'는 '네 마음에 달렸던 거고'라는 의미로, '君(きみ)'는 '너', '次第(しだい)'는 '~에 달려 있다', 'だし'는 '~이고'라는 의미의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어떤 상황이 상대방의 선택에 달려 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어떤 상황의 근본적인 원인이나 본질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부사입니다. 소모소모 そもそも 원래 |
소모소모 코노 몬다이와 후쿠자츠 다
そもそもこの問題は複雑だ。
원래 이 문제는 복잡해.
|
'それ'는 '그것'을 의미하는 대명사이고, 'って'는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소렛테 それって 그것은 |
소레 それ 그것 소렛테 혼토?
それって本当?
그거 진짜야?
|
2인칭 대명사로,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너'라는 호칭입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君 임금 군 |
키미와 도 오모?
君はどう思う?
너는 어떻게 생각해?
|
어떤 결과가 다른 요인에 의해 결정됨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次 버금 차, 第 차례 제 시다이 次第 ~에 달려 있다 次 버금 차, 第 차례 제 |
세이코우 스루 카와 도료쿠 시다이 다
成功するかは努力次第だ。
성공할지는 노력하기 나름이야.
|
문장을 연결하는 종조사로, 이유나 근거를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 다시 だし ~이고 |
다 だ ~이다 지칸 모 나이 시, 쿄우와 야메요
時間もないし、今日はやめよう。
시간도 없고, 오늘은 그만 두자.
|
소노 고 난카 오레 쿄오미 나이 와케
その後ごなんか俺おれ興味きょうみないわけ
그 후에 대해선 난 관심 없어
이 문장은 일본어로, 'その後(그 후)'로 시작하여 시간적 흐름을 나타내고, 'なんか'는 '같은'이라는 의미로 경어를 생략한 비격식 표현입니다. '俺(나)'는 주어로, '興味ない(관심 없다)'는 서술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わけ'는 '~인 이유', '~인 것'이라는 의미로 문장을 마무리합니다. 전체적으로 '그 후엔 내가 관심이 없는 거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그 후'라는 의미로, 시간적 순서를 나타내는 명사구입니다. 後 뒤 후 소노 고 その後 그 후 後 뒤 후 |
소노 고, 카레 와 카엣타
その後、彼は帰った。
그 후, 그는 돌아갔다.
|
비격식 표현으로, '같은', '뭐' 등의 의미로 사용되는 조사입니다. 난카 なんか 같은 거 |
난카 헨 다
なんか変だ。
뭔가 이상해.
|
남성이 자신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비격식적인 1인칭 대명사입니다. 俺 나 엄 오레 俺 나 俺 나 엄 |
오레 와 이카나이
俺は行かない。
나는 안 갈 거야.
|
무언가에 대한 흥미나 관심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興 일 흥, 味 맛 미 쿄오미 興味 관심 興 일 흥, 味 맛 미 |
카레 와 쿄오미 가 나이
彼は興味がない。
그는 관심이 없다.
|
부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없다'라는 의미입니다. 나이 ない 없다 |
오카네 가 나이
お金がない。
돈이 없다.
|
'이유', '~인 것'이라는 의미로, 주로 문장 끝에서 사용되는 명사입니다. 와케 わけ ~인 거야 |
소오 이우 와케 다
そういうわけだ。
그런 이유야.
|
코노 사키 키미 와 도오 시타이
この先君さききみはどうしたい?
앞으로 너는 어떻게 하고 싶어?
이 문장은 의문문으로, 'この'는 '이', '先'는 '앞', '君'는 '너', 'は'는 주제 표시 조사, 'どうしたい'는 '어떻게 하고 싶어'라는 의미입니다. 즉, '이 다음에 너는 어떻게 하고 싶어?'라는 뜻으로, 상대방의 의사를 묻는 문장입니다.
화자와 가까운 사물이나 상황을 가리키는 지시사입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와 오모시로이
この本は面白い。
이 책은 재미있어.
|
시간이나 공간적으로 앞에 있는 것, 미래, 앞으로의 일을 의미합니다. 先 먼저 선 사키 先 앞 先 먼저 선 |
사키 노 코토 와 와카라나이
先のことは分からない。
앞일은 알 수 없어.
|
친근하게 상대를 부를 때 쓰는 2인칭 대명사입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君 임금 군 |
키미 와 겐키 데스 카
君は元気ですか?
너는 잘 지내?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에서 주어 또는 화제임을 표시합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상태나 방법을 물을 때 사용하는 의문사입니다. 도오 どう 어떻게 |
쿄오 와 도오 데시타 카
今日はどうでしたか?
오늘은 어땠어?
|
동사 'する(하다)'의 희망형으로, '~하고 싶다'라는 의미입니다. 시타이 したい 하고 싶다 |
스루 する 하다 료코오 가 시타이
旅行がしたい。
여행을 하고 싶어.
|
떼 히토 니 토와레루 코토 지타이
ってヒトに問とわれる事こと自体じたい
라고 사람들이 묻는 것 자체가
이 문장은 'って'로 시작하는 인용구와 'ヒトに問われる事自体'로 구성된 주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って'는 앞서 언급된 내용을 인용하는 구어적 표현이며, 'ヒトに問われる'는 수동형으로 '사람에게 물어지다'라는 의미입니다. '事自体'는 '그 자체'라는 뜻으로, 전체적으로 '사람에게 물어지는 것 자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앞의 말을 인용할 때 사용하는 구어적 표현입니다. '라고'에 해당합니다. 떼 って 라고 |
이쿠 떼 잇타 요
行くって言ったよ。
간다고 말했어.
|
'사람'을 의미하는 명사로, 여기서는 '에게'의 조사 'に'와 함께 사용되어 '사람에게'라는 의미가 됩니다. 히토 ヒト 사람 |
히토 와 칸가에루 아시 다
ヒトは考える葦だ。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
|
대상이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로, 여기서는 동작의 대상인 '사람'을 나타냅니다. 니 に 에게 |
토모다치 니 아우
友達に会う。
친구를 만나다.
|
'물어보다'의 수동형으로, '물어지다'라는 의미입니다. '問う'의 수동형 '問われる' 형태입니다. 問 물을 문 토와레루 問われる 물어지는 問 물을 문 |
토우 問う 물어보다 나마에 오 토와레루
名前を問われる。
이름을 물어지다.
|
사물이나 상황을 가리키는 명사로, '것'에 해당합니다. 事 일 사 코토 事 것 事 일 사 |
타이세츠 나 코토 다
大切な事だ。
중요한 거야.
|
그 자체를 강조하는 명사로, '자체'라는 의미입니다. 自 스스로 자, 体 몸 체 지타이 自体 자체 自 스스로 자, 体 몸 체 |
몬다이 지타이 가 무즈카시이
問題自体が難しい。
문제 자체가 어렵다.
|
오와리 쟈 나이 토 신지타이 케도
終おわりじゃないと信しんじたいけど
끝이 아니라고 믿고 싶지만
이 문장은 두 개의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부분 '終わりじゃないと'는 '끝이 아니라고'라는 의미로, '終わり'(끝) + 'じゃない'(아니다) + 'と'(라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두 번째 부분 '信じたいけど'는 '믿고 싶지만'이라는 의미로, '信じたい'(믿고 싶다) + 'けど'(하지만)로 구성됩니다. 전체적으로 화자가 어떤 상황이 끝나지 않았다고 믿고 싶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심각한 상황이 될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어떤 일이나 사물의 마지막 부분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終 마칠 종 오와리 終わり 끝 終 마칠 종 |
오와루 終わる 끝나다 에이가 가 오왓타
映画が終わった。
영화가 끝났다.
|
부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이 아니다'라는 의미입니다. 쟈 나이 じゃない 아니다 |
데 와 나이 ではない 아니다 코레 와 와타시 노 혼 쟈 나이
これは私の本じゃない。
이건 내 책이 아니다.
|
인용이나 내용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토 と 라고 |
카레 와 이쿠 토 야쿠소쿠 시타
彼は行くと約束した。
그는 간다고 약속했다.
|
'믿다'의 희망형으로 '믿고 싶다'라는 의미입니다. 信 믿을 신 신지타이 信じたい 믿고 싶다 信 믿을 신 |
신지루 信じる 믿다 카레 노 코토바 오 신지타이
彼の言葉を信じたい。
그의 말을 믿고 싶다.
|
접속사로 앞뒤 문장을 대조적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케도 けど 하지만 |
케레도 けれど 하지만 이키타이 케도, 지칸 가 나이
行きたいけど、時間がない。
가고 싶지만 시간이 없다.
|
소오 쟈 나캬 카나리 히죠우 지타이
そーじゃなきゃかなり非常事態ひじょうじたい
그렇지 않다면 상당히 심각한 사태야
이 문장은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そーじゃなきゃ'와 그 결과를 나타내는 'かなり非常事態'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そーじゃなきゃ'는 '그렇지 않다면'이라는 가정의 의미를 가지며, 'かなり'는 '상당히', '非常事態'는 '비상 사태'를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그렇지 않다면 상당히 심각한 상황이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그렇지 않다면'이라는 가정의 의미를 가집니다. 소오 쟈 나캬 そーじゃなきゃ 그렇지 않다면 |
소우 자 나캬 そうじゃなきゃ 그렇지 않다면 소오 쟈 나캬 이카나이
そーじゃなきゃ行かない。
그렇지 않다면 가지 않아.
|
정도가 큰 것을 나타내는 부사로, '상당히', '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카나리 かなり 상당히 |
카나리 무즈카시이 몬다이다
かなり難しい問題だ。
상당히 어려운 문제야.
|
비상 사태를 의미하는 명사로, 일반적인 상황을 벗어난 긴급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非 아닐 비, 常 떳떳할 상, 事 일 사, 態 모습 태 히죠우 지타이 非常事態 비상 사태 非 아닐 비, 常 떳떳할 상, 事 일 사, 態 모습 태 |
히죠우 지타이 센겐 가 다사레타
非常事態宣言が出された。
비상 사태 선언이 발표되었다.
|
키미타치 가 소노 분루이 사레타
君きみたちがその分類ぶんるいされた
너희들이 그 분류되어 버린
이 문장은 일본어의 기본적인 문장 구조를 따르고 있습니다. '君たちが'는 주어로 '너희들이'를 의미하며, 'その分類された'는 '그 분류되었다'라는 수동형 동사구입니다. 전체적으로 '너희들이 그 분류되었다'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수동문 구조입니다.
2인칭 대명사로,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너'라는 의미입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君 임금 군 |
키미 노 나마에 와
君の名前は?
너의 이름은?
|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로, '너희들'이라는 의미를 만듭니다. 타치 たち 들 |
코도모타치 가 아손데 이루
子供たちが遊んでいる。
아이들이 놀고 있다.
|
주격 조사로, 문장의 주어를 나타냅니다. 가 が ~이/가 |
네코 가 네테 이루
猫が寝ている。
고양이가 자고 있다.
|
지시 형용사로, '그'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소노 その 그 |
소노 혼 오 쿠다사이
その本をください。
그 책 주세요.
|
무엇을 종류나 범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분루이 分類 분류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
혼 오 분루이 스루
本を分類する。
책을 분류하다.
|
동사 'する(하다)'의 수동형 과거 형태로, '~되었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사레타 された 되었다 |
스루 する 하다 도아 가 아케라레타
ドアが開けられた。
문이 열렸다.
|
후츠우 노 하코 데 쿠스붓테루 카라 사
普通ふつうの箱はこで燻くすぶってるからさ
평범한 상자에서 타들어 가고 있잖아
이 문장은 일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普通の箱で燻ってるからさ'라는 주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普通の箱で'는 '평범한 상자에서'라는 의미의 부사구이며, '燻ってる'은 '타들어 가고 있다'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からさ'는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조사 'から'와 감탄을 나타내는 종조사 'さ'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전체적으로 평범한 환경에서 소외되거나 고통받는 상황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평범한', '보통의'라는 의미를 가진 형용사적 명사입니다. 普 넓을 보, 通 통할 통 후츠우 普通 평범한 普 넓을 보, 通 통할 통 |
후츠우 노 세이카츠 가 스키 다
普通の生活が好きだ。
평범한 생활이 좋아.
|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격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데스
私の本です。
내 책입니다.
|
'상자', '박스'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箱 상자 상 하코 箱 상자 箱 상자 상 |
하코 오 아케테 쿠다사이
箱を開けてください。
상자를 열어 주세요.
|
장소나 수단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 で 에서 |
갓코오 데 벤쿄오 스루
学校で勉強する。
학교에서 공부한다.
|
'燻る(くすぶる)'의 진행형으로, '타들어 가다', '서서히 타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燻 연기치밀 훈 쿠스붓테루 燻ってる 타들어 가고 있다 燻 연기치밀 훈 |
쿠스부루 燻る 타들어 가다 마키 가 쿠스붓테 이루
薪が燻っている。
장작이 타들어 가고 있다.
|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조사입니다. 카라 から 때문에 |
츠카레타 카라 야스무
疲れたから休む。
피곤하니까 쉰다.
|
강조나 감탄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사 さ ~잖아 |
소레 와 치가우 사
それは違うさ。
그건 틀렸잖아.
|
오레 와 진세이 이이지이 모오도
俺おれは人生じんせいイージーモード
나는 인생 이지 모드야
이 문장은 주어(俺) + 조사(は) + 목적어(人生) + 술어(イージーモード)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俺'는 '나'를 의미하는 비격식적인 1인칭 대명사이며, 'は'는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人生'은 '인생'을 의미하는 명사이고, 'イージーモード'는 '쉬운 모드'를 의미하는 외래어입니다. 전체적으로 화자가 자신의 인생이 쉽게 흘러간다고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비격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1인칭 대명사로, 주로 남성이 사용합니다. 俺 나 엄 오레 俺 나 俺 나 엄 |
오레 가 야루
俺がやる。
내가 할게.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의 주제를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 와 は 는 |
코레 와 혼 데스
これは本です。
이것은 책입니다.
|
사람의 일생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人 사람 인, 生 날 생 진세이 人生 인생 人 사람 인, 生 날 생 |
진세이 와 나가이
人生は長い。
인생은 길다.
|
게임 등에서 난이도가 쉬운 모드를 의미하는 외래어입니다. 여기서는 인생이 쉽게 흘러간다는 비유적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이지이 모오도 イージーモード 이지 모드 |
코노 게에무 와 이이지이 모오도 카라 하지메타
このゲームはイージーモードから始めた。
이 게임은 이지 모드부터 시작했다.
|
즛토 소코 데 네뭇테테 아라사아
ずっとそこで眠ねむっててアラサー
계속 거기서 자고 있는 서른 즈음
이 문장은 'ずっとそこで'라는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로 시작하며, '眠ってて'는 '자고 있어'라는 의미의 동사구입니다. 'アラサー'는 '서른 즈음'을 의미하는 명사로 문장의 끝에 위치합니다. 전체적으로 '계속 거기서 자고 있는 서른 즈음'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시간의 지속을 나타내는 부사로, '계속', '줄곧'이라는 의미입니다. 즛토 ずっと 계속 |
즛토 맛테 이타
ずっと待っていた。
계속 기다렸다.
|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로, '그곳에서', '거기서'라는 의미입니다. 소코 데 そこで 거기서 |
소코 そこ 거기 소코 데 나니 오 시테 이루 노
そこで何をしているの?
거기서 뭐 하고 있어?
|
'자다'라는 동사의 연용형으로, '자고 있어'라는 진행 상태를 나타냅니다. 眠 잘 면 네뭇테테 眠ってて 자고 있어 眠 잘 면 |
네무루 眠る 자다 카레 와 마다 네뭇테루
彼はまだ眠ってる。
그는 아직 자고 있어.
|
'around thirty'의 줄임말로, 서른 살 전후의 연령대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아라사아 アラサー 30세 전후 |
카노조 와 아라사아 다
彼女はアラサーだ。
그녀는 서른 즈음이다.
|
오레 와 소모소모 스펙쿠 가 히쿠이
俺おれはそもそもスペックが低ひくい
나는 원래부터 스펙이 낮아
이 문장은 주어(俺) + 부사(そもそも) + 목적어(スペック) + 형용사(低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俺'는 '나'를 의미하는 비격식적인 1인칭 대명사이며, 'そもそも'는 '원래부터'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スペック'은 '스펙'을 의미하는 외래어 명사이고, '低い'는 '낮다'는 의미의 형용사입니다. 전체적으로 화자가 자신의 능력이 원래부터 낮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1인칭 대명사로, 주로 남성이 비격식적인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격식 있는 자리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俺 나 엄 오레 俺 나 俺 나 엄 |
오레 와 가쿠세이 다
俺は学生だ。
나는 학생이다.
|
주격 조사로, 문장의 주제를 나타냅니다. 와 は 는 |
코레 와 혼 다
これは本だ。
이것은 책이다.
|
어떤 일의 근본적인 원인이나 본질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부사입니다. 소모소모 そもそも 원래부터 |
소모소모 코노 몬다이 와 후쿠자츠 다
そもそもこの問題は複雑だ。
원래부터 이 문제는 복잡하다.
|
능력, 자격, 성능 등을 의미하는 외래어 명사입니다. 스펙쿠 スペック 스펙 |
카레 노 스펙쿠 와 타카이
彼のスペックは高い。
그의 스펙은 높다.
|
주격 조사로, 문장의 주어를 나타냅니다. 가 が 이 |
아메 가 후루
雨が降る。
비가 내린다.
|
높이가 낮거나 수준이 떨어짐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低 낮을 저 히쿠이 低い 낮다 低 낮을 저 |
코노 츠쿠에 와 히쿠이
この机は低い。
이 책상은 낮다.
|
다카라 아가이테 모가이테 미니쿠쿠 호에타
だから足掻あがいて踠もがいて醜みにくく吠ほえた
그래서 발버둥치고 몸부림치고 추하게 울부짖었어
이 문장은 접속사 'だから'(그래서)로 시작하여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구조입니다. '足掻いて'는 '발버둥치고', '踠いて'는 '몸부림치고', '醜く吠えた'는 '추하게 울부짖었다'라는 의미로, 각각 동사와 형용사가 연결되어 행동의 연속성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 낮은 스펙으로 인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접속사로, 앞서 말한 내용의 결과를 이끌어낼 때 사용합니다. 다카라 だから 그래서 |
츠카레타 카라, 야스무.
疲れたから、休む。
피곤하니까 쉰다.
|
어려운 상황에서 필사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足 발 족, 掻 긁을 소 아가이테 足掻いて 발버둥치고 足 발 족, 掻 긁을 소 |
아가쿠 足掻く 발버둥치다 카레 와 유메 노 타메 니 아가이테 이루.
彼は夢のために足掻いている。
그는 꿈을 위해 발버둥치고 있다.
|
고통이나 어려움 속에서 몸을 비비며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踠 구부릴 원 모가이테 踠いて 몸부림치고 踠 구부릴 원 |
모가쿠 踠く 몸부림치다 이타미 데 모가이테 이루.
痛みで踠いている。
아파서 몸부림치고 있다.
|
아름답지 못하거나 보기 흉한 모습을 나타내는 형용사의 부사형입니다. 醜 추할 추 미니쿠쿠 醜く 추하게 醜 추할 추 |
미니쿠이 醜い 추하다 미니쿠쿠 코론다.
醜く転んだ。
추하게 넘어졌다.
|
강한 감정을 담아 큰 소리로 외치거나 울부짖는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吠 짖을 폐 호에타 吠えた 울부짖었다 吠 짖을 폐 |
호에루 吠える 울부짖다 이누 가 호에타.
犬が吠えた。
개가 울부짖었다.
|
오레 노 아노 코로 오 분루이 시타라
俺おれのあの頃ころを分類ぶんるいしたら
내 그 시절을 분류해보면
이 문장은 주어(俺) + 목적어(あの頃) + 동사(分類したら)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俺'는 '나'를 의미하는 1인칭 대명사로, 비격식적인 표현입니다. 'あの頃'은 '그 시절'을 의미하며, 'を'는 목적격 조사입니다. '分類したら'는 동사 '分類する'(분류하다)의 가정형(~하면)으로, '분류해 보면'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전체적으로 화자가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며 객관적으로 분류하려는 태도를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1인칭 대명사로, 주로 남성이 사용하는 비격식적인 표현입니다. 친한 사이에서나 일상 대화에서 사용됩니다. 俺 나 엄 오레 俺 나 俺 나 엄 |
오레 와 이카나이
俺は行かない。
나는 안 갈 거야.
|
소유격 조사로, 앞에 오는 명사가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지시사로, 화자와 청자 모두 알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시간적으로도 과거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노 あの 그 |
아노 토키
あの時
그 때
|
특정한 시기나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주로 과거의 어느 시점을 회상할 때 사용됩니다. 頃 이랑/잠깐 경 코로 頃 시절 頃 이랑/잠깐 경 |
가쿠세이 노 코로
学生の頃
학생 시절
|
목적격 조사로, 동사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는 명사 뒤에 붙습니다. 오 を 을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여러 항목을 체계적으로 나누는 행위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분루이 分類 분류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
데타 오 분루이 스루
データを分類する
데이터를 분류하다
|
동사 'する'(하다)의 가정형으로, '~하면', '~했다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냅니다. 시타라 したら 했다면 |
스루 する 하다 벤쿄 시타라 고카쿠 스루
勉強したら合格する
공부하면 합격한다
|
다레 노 메 카라 미테 모 아키라카
誰だれの目めから見みても明あきらか
누구의 눈으로 봐도 분명해
이 문장은 '누구의 눈으로 봐도 분명해'라는 의미로, '誰の'는 '누구의', '目から'는 '눈으로부터', '見ても'는 '봐도', '明らか'는 '분명한'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누구의 관점에서 보아도 명백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의문대명사로 '누구'를 의미합니다. 誰 누구 수 다레 誰 누구 誰 누구 수 |
다레 가 키타 노
誰が来たの?
누가 왔어?
|
소유격 조사로 '~의'를 의미합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신체 부위인 '눈'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目 눈 목 메 目 눈 目 눈 목 |
메 가 이타이
目が痛い
눈이 아파
|
출발점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조사로 '~부터'를 의미합니다. 카라 から 부터 |
이에 카라 갓코오 마데
家から学校まで
집부터 학교까지
|
동사 '보다'의 어간입니다. 見 볼 견 | 뵈올 현 미 見 보다 見 볼 견 | 뵈올 현 |
미루 見る 보다 테레비 오 미루
テレビを見る
TV를 보다
|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조사로 '~해도'를 의미합니다. 테모 ても ~해도 |
아메 가 풋테 모 이쿠
雨が降っても行く
비가 와도 간다
|
형용사로 '분명한', '명백한'을 의미합니다. 明 밝을 명 아키라카 明らか 분명한 明 밝을 명 |
지지츠 와 아키라카 다
事実は明らかだ
사실은 분명하다
|
스구 요 노 나카, 카네 다 토카, 아이 다 토카, 운 다 토카, 엔 다 토카
すぐ世よの中なか、金かねだとか、愛あいだとか、運うんだとか、縁えんだとか
곧바로 세상에서, 돈이라든가, 사랑이라든가, 운이라든가, 인연이라든가
이 문장은 일본어로 작성된 문장으로, 세상의 다양한 요소들을 열거하는 표현입니다. 'すぐ'는 '바로', '곧'이라는 의미의 부사로 문장의 시작을 강조합니다. '世の中'은 '세상'을 의미하며, 그 뒤로 '金だとか', '愛だとか', '運だとか', '縁だとか'와 같이 '~だとか' 구문을 반복하여 다양한 요소를 나열하고 있습니다. '~だとか'는 '~라든가', '~같은 것'이라는 의미로 불확실하거나 예시를 들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세상의 중요한 것들을 열거하면서도 그것들을 단순화하는 것에 대한 의문을 담고 있는 문장입니다.
시간적으로 가깝거나 즉시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스구 すぐ 바로 |
스구 이키마스
すぐ行きます。
바로 갑니다.
|
'세상'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世 인간 세 요 世 세상 世 인간 세 |
요 노 나카 와 히로이
世の中は広い。
세상은 넓다.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안', '내부'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中 가운데 중 나카 中 안 中 가운데 중 |
하코 노 나카
箱の中
상자 안
|
'돈', '금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金 쇠 금 | 성 김 카네 金 돈 金 쇠 금 | 성 김 |
카네 가 호시이
金が欲しい。
돈이 필요해.
|
명사와 결합하여 '~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다 だ ~이다 |
코레 와 혼 다
これは本だ。
이것은 책이다.
|
예시를 들거나 불확실한 내용을 나열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토카 とか ~라든가 |
린고 토카 바나나 토카
りんごとかバナナとか
사과라든가 바나나라든가
|
'사랑'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愛 사랑 애 아이 愛 사랑 愛 사랑 애 |
아이 와 타이세츠 다
愛は大切だ。
사랑은 중요하다.
|
명사와 결합하여 '~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다 だ ~이다 |
코레 와 혼 다
これは本だ。
이것은 책이다.
|
예시를 들거나 불확실한 내용을 나열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토카 とか ~라든가 |
린고 토카 바나나 토카
りんごとかバナナとか
사과라든가 바나나라든가
|
'운', '운명'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運 옮길 운 운 運 운 運 옮길 운 |
운 가 이이
運がいい。
운이 좋다.
|
명사와 결합하여 '~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다 だ ~이다 |
코레 와 혼 다
これは本だ。
이것은 책이다.
|
예시를 들거나 불확실한 내용을 나열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토카 とか ~라든가 |
린고 토카 바나나 토카
りんごとかバナナとか
사과라든가 바나나라든가
|
'인연', '연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縁 인연 연 엔 縁 인연 縁 인연 연 |
엔 가 아루
縁がある。
인연이 있다.
|
명사와 결합하여 '~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다 だ ~이다 |
코레 와 혼 다
これは本だ。
이것은 책이다.
|
예시를 들거나 불확실한 내용을 나열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토카 とか ~라든가 |
린고 토카 바나나 토카
りんごとかバナナとか
사과라든가 바나나라든가
|
나제 니 모지 데 카타즈케 차우 노
なぜ2文字もじで片付かたづけちゃうの
왜 2글자로 정리해 버리는 거야?
이 문장은 의문문으로, 'なぜ'로 시작하여 이유를 묻고 있습니다. '2文字で'는 '2글자로'를 의미하며, '片付けちゃうの'는 '정리해 버리는 거야'라는 의미로, '片付ける'의 구어체 표현인 '片付けちゃう'와 의문을 나타내는 종조사 'の'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무언가를 단순화시켜 2글자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의문을 나타내는 부사로, 이유나 원인을 묻는 데 사용됩니다. 나제 なぜ 왜 |
나제 코나캇타 노
なぜ来なかったの?
왜 안 왔어?
|
숫자 2를 의미합니다. 二 두 이 니 2 2 二 두 이 |
니 二 2 후타리 데 이키마스
2人で行きます。
2명이 갑니다.
|
글자 또는 문자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文 글월 문, 字 글자 자 모지 文字 글자 文 글월 문, 字 글자 자 |
코노 모지 와 난 토 요미마스 카
この文字は何と読みますか?
이 글자는 뭐라고 읽나요?
|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 で ~로 |
펜 데 카키마스
ペンで書きます。
펜으로 씁니다.
|
정리하거나 처리한다는 의미의 명사 또는 동사입니다. 片 조각 편, 付 부칠 부 카타즈케 片付け 정리 片 조각 편, 付 부칠 부 |
카타즈케루 片付ける 정리하다 헤야 오 카타즈케테 쿠다사이
部屋を片付けてください。
방을 정리해 주세요.
|
동사의 구어체 표현으로, '해 버리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차우 ちゃう 해 버리다 |
테시마우 てしまう 해 버리다 타베챗타
食べちゃった。
먹어 버렸어.
|
의문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노 の ~인가 |
도코 니 이쿠 노
どこに行くの?
어디 가는 거야?
|
오레타치 와 못토 아이마이 데
俺おれたちはもっと曖昧あいまいで
우리는 더 모호하고
이 문장은 주어(俺たち) + 조사(は) + 부사(もっと) + 형용사(曖昧) + 조사(で)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俺たち'는 '우리'를 의미하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이며, 'もっと'는 '더'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曖昧'는 '모호한'이라는 뜻의 형용사이고, 'で'는 상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우리는 더 모호하고'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1인칭 복수 대명사로, '나'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킵니다. 남성이 사용하는 비격식 표현입니다. 俺 나 엄 오레타치 俺たち 우리 俺 나 엄 |
오레 俺 나 오레타치 와 나카마 다
俺たちは仲間だ。
우리는 친구야.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의 주어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와 は 는 |
코레 와 혼 다
これは本だ。
이것은 책이야.
|
정도나 양이 더 많음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못토 もっと 더 |
못토 타베타이
もっと食べたい。
더 먹고 싶어.
|
명확하지 않거나 흐릿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曖 희미할 애, 昧 어두울 매 아이마이 曖昧 모호한 曖 희미할 애, 昧 어두울 매 |
카레 노 헨지 와 아이마이 닷타
彼の返事は曖昧だった。
그의 대답은 모호했다.
|
상태를 나타내거나 접속사로 사용되는 조사입니다. 여기서는 '모호하고'라는 연결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데 で 이고 |
카레 와 센세이 데, 삿카 다
彼は先生で、作家だ。
그는 선생이고 작가야.
|
후쿠자츠 데 후메이료오 나 나니카
複雑ふくざつで不明瞭ふめいりょうなナニカ
복잡하고 불명확한 무언가
이 문장은 일본어로, '複雑で'는 형용사 '복잡한'의 연용형에 접속사 'で'가 붙은 형태이며, '不明瞭な'는 형용사 '불명확한'의 연체형, 'ナニカ'는 '무엇인가'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복잡하고 불명확한 무엇인가'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여러 요소가 얽혀 있어 이해하거나 처리하기 어려운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複 겹칠 복, 雑 섞일 잡 후쿠자츠 複雑 복잡한 複 겹칠 복, 雑 섞일 잡 |
코노 몬다이 와 후쿠자츠 다
この問題は複雑だ。
이 문제는 복잡하다.
|
접속사로, 앞뒤의 단어나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 で 그리고 |
카레 와 야사시쿠테 카시코이
彼は優しくて賢い。
그는 친절하고 똑똑하다.
|
명확하지 않거나 분명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不 아닐 불, 明 밝을 명, 瞭 밝을 료 후메이료오 不明瞭 불명확한 不 아닐 불, 明 밝을 명, 瞭 밝을 료 |
소노 세츠메이 와 후메이료오 다
その説明は不明瞭だ。
그 설명은 불명확하다.
|
형용사와 명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조사입니다. 나 な ~한 |
시즈카 나 바쇼
静かな場所
조용한 장소
|
'무엇인가'를 의미하는 명사로, 불특정한 대상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나니카 ナニカ 무엇인가 |
나니카 가 오카시이
ナニカがおかしい。
무엇인가 이상하다.
|
사톳타 후리시테 오고루 나 요
悟さとったふりして驕おごるなよ
깨달은 척하며 거만해지지 마
이 문장은 두 개의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悟ったふりして'는 '깨달은 척하며'라는 의미로, '悟った'는 '깨달았다', 'ふりして'는 '척하며'를 나타냅니다. '驕るなよ'는 '거만해지지 마'라는 의미로, 금지 명령형입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에게 거만해지지 말라고 경고하는 내용입니다.
'깨닫다'라는 의미의 동사 '悟る'의 과거형입니다. 悟 깨달을 오 사톳타 悟った 깨달았다 悟 깨달을 오 |
사토루 悟る 깨닫다 카레 와 신리 오 사톳타
彼は真理を悟った。
그는 진리를 깨달았다.
|
'~인 척하다'라는 의미의 표현입니다. 후리시테 ふりして 척하며 |
후리 스루 ふりする 척하다 카레 와 시라나이 후리 오 시타
彼は知らないふりをした。
그는 모르는 척했다.
|
'거만해지다', '오만해지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驕 교만할 교 오고루 驕る 거만해지다 驕 교만할 교 |
세이코오 시테 오곳테 와 이케나이
成功して驕ってはいけない。
성공해서 거만해져서는 안 된다.
|
금지 명령형으로, '~하지 마'라는 의미입니다. 나 요 なよ ~하지 마 |
나이 ない ~하지 않다 손나 코토 오 스루 나 요
そんなことをするなよ。
그런 일 하지 마.
|
키미 니 키미 오 분루이 스루 노오료쿠 난테 나이
君きみに君きみを分類ぶんるいする能力のうりょくなんてない
너에게 너를 분류할 능력 같은 건 없어
이 문장은 일본어의 전형적인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어는 생략되었으며, '君に'는 간접 목적어, '君を'는 직접 목적어, '分類する能力'는 명사 수식구, 'なんてない'는 부정 표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너에게 너를 분류할 능력 같은 건 없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2인칭 대명사로,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너'라는 의미입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君 임금 군 |
키미 와 다이조오부?
君は大丈夫?
너 괜찮아?
|
조사로, 동작의 방향이나 대상, 목적을 나타냅니다. 니 に 에게 |
토모다치 니 푸레젠토 오 아게타
友達にプレゼントをあげた。
친구에게 선물을 줬다.
|
2인칭 대명사로,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너'라는 의미입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君 임금 군 |
키미 노 코토 가 스키 다
君のことが好きだ。
네가 좋아.
|
조사로, 동작의 직접적인 대상을 나타냅니다. 오 を 를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여러 가지를 종류별로 나누는 행위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분루이 分類 분류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
고미 오 분루이 스루
ゴミを分類する。
쓰레기를 분류하다.
|
동사로, '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다양한 명사와 결합하여 동사 역할을 합니다. 스루 する 하다 |
벤쿄오 스루
勉強する。
공부하다.
|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이나 재능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能 능할 능, 力 힘 력 노오료쿠 能力 능력 能 능할 능, 力 힘 력 |
고가쿠 노 노오료쿠 가 아루
語学の能力がある。
어학 능력이 있다.
|
어떤 것을 경시하거나 하찮게 여길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난테 なんて 같은 건 |
오카네 난테 이라나이
お金なんていらない。
돈 같은 건 필요 없어.
|
부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없다'라는 의미입니다. 나이 ない 없다 |
지칸 가 나이
時間がない。
시간이 없다.
|
오레타치 닷테 도오부츠
俺おれたちだって動物どうぶつ
우리들도 동물이야
이 문장은 주어(俺たち) + 조사(だって) + 명사(動物)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俺たち'는 '우리들'을 의미하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이며, 'だって'는 '~도'라는 의미의 조사로, '動物'은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우리들도 동물이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1인칭 복수 대명사로, '나'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비격식적인 표현이며, 주로 남성이 사용합니다. 俺 나 엄 오레타치 俺たち 우리들 俺 나 엄 |
오레타치 와 나카마 다
俺たちは仲間だ。
우리들은 친구야.
|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로, '~도', '~라고 해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닷테 だって ~도 |
와타시 닷테 데키루
私だってできる。
나도 할 수 있어.
|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도오부츠 動物 동물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
도오부츠엔 니 이키타이
動物園に行きたい。
동물원에 가고 싶어.
|
코오유우 노 테 코오부츠
こーゆーのって好物こうぶつ
이런 거 좋아해
이 문장은 감탄사로 시작하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こーゆーのって'는 '이런 거는'이라는 의미로, '好物'은 '좋아하는 것'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이런 거 좋아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런'이라는 의미를 가진 구어체 표현입니다. 'こういう(koo iu)'가 변형된 형태로,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코오유우 こーゆー 이런 |
코오 이우 こういう 이런 코오유우 노와 스키 쟈 나이
こーゆーのは好きじゃない
이런 건 싫어
|
명사화 접속사로, 앞의 내용을 '것'으로 받아 명사구를 만듭니다. 노 の 거 |
타베루 노가 스키
食べるのが好き
먹는 게 좋아
|
화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는/이라는 것은'이라는 의미입니다. 테 って 는 |
토 と 라고 소레 테 혼토오?
それって本当?
그거 진짜야?
|
'좋아하는 것', '특히 좋아하는 음식'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好 좋을 호, 物 물건 물 코오부츠 好物 좋아하는 것 好 좋을 호, 物 물건 물 |
아마이 모노가 코오부츠 데스
甘いものが好物です
단 게 좋아요
|
코코 마데 이와레타라 도오?
ここまで言いわれたらどう?
여기까지 말하면 어떨까?
이 문장은 'ここまで' (여기까지) + '言われたら' (말하면) + 'どう?' (어떨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ここまで言われたら'는 조건절을 형성하며, 'どう?'는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의 반응을 묻는 문장 구조입니다.
장소를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로, 말하는 사람과 가까운 곳을 나타냅니다. 코코 ここ 여기 |
코코 니 키테 쿠다사이
ここに来てください。
여기로 오세요.
|
한계나 범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마데 まで 까지 |
쿠지 마데 하타라키마스
9時まで働きます。
9시까지 일합니다.
|
'言う' (말하다)의 수동형 '言われる'의 가정형으로, '만약 말을 들으면'이라는 의미입니다. 言 말씀 언 이와레타라 言われたら 말하면 言 말씀 언 |
이우 言う 말하다 소오 이와레타라 우레시이 데스
そう言われたら嬉しいです。
그렇게 말해주시면 기쁩니다.
|
의문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상대방의 의견이나 반응을 묻는 데 사용됩니다. 도오 どう 어떻게 |
코레 데 도오 데스 카?
これでどうですか?
이렇게 하면 어때요?
|
후츠우 하라 노 소코 카라 코오 후츠 후츠 토
普通ふつう 腹はらの底そこからこうふつふつと
보통 배 속에서부터 이렇게 부글부글 끓어
이 문장은 일본어로 작성되었으며, 감정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普通'는 '보통'을 의미하며, '腹の底から'는 '배 속에서부터'를 나타냅니다. 'こうふつふつと'는 '부글부글 끓는 모습'을 묘사하는 의태어입니다. 전체적으로 평소와는 다른 강한 감정이나 상태가 내부에서부터 솟아나는 것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평소와 다름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普 넓을 보, 通 통할 통 후츠우 普通 보통 普 넓을 보, 通 통할 통 |
후츠우 노 세이카츠 오 오쿠루
普通の生活を送る。
보통의 생활을 보낸다.
|
신체 부위 중 배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腹 배 복 하라 腹 배 腹 배 복 |
하라 가 헷타
腹が減った。
배가 고프다.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무언가의 가장 아래 부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底 밑 저 소코 底 바닥 底 밑 저 |
콧푸 노 소코
コップの底
컵의 바닥
|
시점이나 출발점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카라 から 부터 |
코코 카라 하지메루
ここから始める。
여기부터 시작한다.
|
방식이나 상태를 지시하는 부사입니다. 코오 こう 이렇게 |
코오 얏테 야룬다
こうやってやるんだ。
이렇게 하는 거야.
|
액체가 끓거나 감정이 솟아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의태어입니다. 후츠 후츠 ふつふつ 부글부글 |
오유 가 후츠 후츠 토 와쿠
お湯がふつふつと沸く。
물이 부글부글 끓는다.
|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토 と ~하고 |
와랏테 토 잇타
笑ってと言った。
웃어라고 말했다.
|
오레타치 닷테 도오부츠
俺おれたちだって動物どうぶつ
우리들도 동물이야
이 문장은 주어(俺たち) + 조사(だって) + 명사(動物)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俺たち'는 '우리들'을 의미하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이며, 'だって'는 '~도'라는 의미의 조사로, '動物'은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우리들도 동물이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1인칭 복수 대명사로, '나'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비격식적인 표현이며, 주로 남성이 사용합니다. 俺 나 엄 오레타치 俺たち 우리들 俺 나 엄 |
오레타치 와 나카마 다
俺たちは仲間だ。
우리들은 친구야.
|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로, '~도', '~라고 해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닷테 だって ~도 |
와타시 닷테 데키루
私だってできる。
나도 할 수 있어.
|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도오부츠 動物 동물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
도오부츠엔 니 이키타이
動物園に行きたい。
동물원에 가고 싶어.
|
유에 니 모치 우루 오리지날 나 슈우세이
故ゆえに持もち得うるOriginalな習性しゅうせい
그래서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습성
이 문장은 일본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故に'는 '그래서, 그러므로'라는 의미의 접속사로 문장의 원인을 나타냅니다. '持ち得る'는 '가지다'와 '할 수 있다'의 의미가 합쳐진 표현으로 '가질 수 있는'을 의미합니다. 'Originalな'는 영어 차용어로 '독창적인'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입니다. '習性'은 '습성, 습관'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그래서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습성'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그래서, 그러므로'라는 의미의 접속사로, 앞서 말한 내용의 결과를 이끌어낼 때 사용합니다. 故 연고 고 유에 니 故に 그래서 故 연고 고 |
유에 니 코노 케츠론 니 이탓타
故にこの結論に至った。
그래서 이 결론에 이르렀다.
|
'가지다'와 '할 수 있다'의 의미가 합쳐진 표현으로, '가질 수 있는'이라는 가능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持 가질 지, 得 얻을 득 모치 우루 持ち得る 가질 수 있는 持 가질 지, 得 얻을 득 |
카레 와 조오닌 니 와 모치 우루 나이 사이노오 오 못테 이루
彼は常人には持ち得ない才能を持っている。
그는 보통 사람들이 가질 수 없는 재능을 가지고 있다.
|
영어 차용어로 '독창적인, 원래의'라는 의미를 가진 형용사입니다. 오리지날 Original 독창적인 |
카레 노 아이디어 와 토테모 오리지날 다
彼のアイデアはとてもOriginalだ。
그의 아이디어는 매우 독창적이다.
|
형용사를 수식하는 조사로, 명사를 꾸밀 때 사용합니다. 나 な ~한 |
시즈카 나 바쇼
静かな場所
조용한 장소
|
'습성, 습관'을 의미하는 명사로, 사람이나 동물의 본능적인 행동 방식을 나타냅니다. 習 익힐 습, 性 성품 성 슈우세이 習性 습성 習 익힐 습, 性 성품 성 |
네코 노 슈우세이 오 켄큐우 스루
猫の習性を研究する。
고양이의 습성을 연구하다.
|
지분 데 지분 오 분루이 스루 나 요
自分じぶんで自分じぶんを分類ぶんるいするなよ
스스로 자신을 분류하지 마
이 문장은 명령형 문장으로, '自分で自分を分類するなよ'는 '스스로를 분류하지 마라'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自分で'는 '스스로', '自分を'은 '자신을', '分類する'는 '분류하다', 'なよ'는 금지를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스스로를 어떤 범주에 가두지 말라는 강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자신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말하는 사람 본인을 지칭합니다.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지분 自分 자신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
지분 데 칸가에나사이
自分で考えなさい.
스스로 생각하세요.
|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 で ~로 |
펜 데 카쿠
ペンで書く。
펜으로 쓰다.
|
앞에서와 동일하게 자신을 가리키는 대명사입니다.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지분 自分 자신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
지분 노 코토 와 지분 데 키메루
自分のことは自分で決める。
자신의 일은 스스로 결정한다.
|
목적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오 を ~을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사물이나 사람을 어떤 기준에 따라 나누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분루이 分類 분류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
데타 오 분루이 스루
データを分類する。
데이터를 분류하다.
|
동사를 만드는 보조동사로, 앞의 명사와 결합하여 동사구를 형성합니다. 스루 する 하다 |
벤쿄 스루
勉強する。
공부하다.
|
동사의 기본형에 붙어 금지의 명령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나 な ~하지 마라 |
이쿠 나
行くな。
가지 마라.
|
문장 끝에 붙어 강조나 주의를 환기하는 종조사입니다. 요 よ ~이다 |
다이조부 다 요
大丈夫だよ。
괜찮아.
|
코와시테 미세로 요 소노 배드 해빗
壊こわして見みせろよ そのBad Habit
부숴버려, 그 나쁜 습관
이 문장은 두 개의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壊して見せろよ'는 '부수어서 보여 줘'라는 의미로, '壊して'는 동사 '부수다'의 연용형에 접속조사 'て'가 붙은 형태이고, '見せろ'는 동사 '보여주다'의 명령형입니다. 'そのBad Habit'은 '그 나쁜 습관'을 의미하는 명사구로, 앞서 언급한 행동의 대상이 됩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나쁜 습관을 과감히 보여달라고 요구하는 명령문입니다.
동사 '부수다'의 연용형에 접속조사 'て'가 붙은 형태로, '~해서'라는 연결의 의미를 가집니다. 壊 무너질 괴 코와시테 壊して 부숴서 壊 무너질 괴 |
코와스 壊す 부수다 마도 오 코와시테 시맛타
窓を壊してしまった。
창문을 부숴 버렸다.
|
동사 '보여주다'의 명령형으로,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보여달라고 요구할 때 사용합니다. 見 볼 견 | 뵈올 현 미세로 見せろ 보여 줘 見 볼 견 | 뵈올 현 |
미세루 見せる 보여주다 샤신 오 미세테
写真を見せて。
사진 보여 줘.
|
문장 끝에 붙어 명령이나 권유의 느낌을 강조하는 종조사입니다. 요 よ ~해 줘 |
하야쿠 코이 요
早く来いよ。
빨리 와 줘.
|
지시대명사로, 화자와 청자 모두가 알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소노 その 그 |
소노 혼 오 톳테
その本を取って。
그 책 좀 줘.
|
영어에서 차용한 단어로, '나쁜'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배드 Bad 나쁜 |
댓츠 어 배드 아이디어
That's a bad idea.
그건 나쁜 생각이야.
|
영어에서 차용한 단어로, '습관'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해빗 Habit 습관 |
스모킹 이즈 어 배드 해빗
Smoking is a bad habit.
흡연은 나쁜 습관이다.
|
오레타치 닷테 도오부츠
俺おれたちだって動物どうぶつ
우리들도 동물이야
이 문장은 주어(俺たち) + 조사(だって) + 명사(動物)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俺たち'는 '우리들'을 의미하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이며, 'だって'는 '~도'라는 의미의 조사로, '動物'은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우리들도 동물이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1인칭 복수 대명사로, '나'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비격식적인 표현이며, 주로 남성이 사용합니다. 俺 나 엄 오레타치 俺たち 우리들 俺 나 엄 |
오레타치 와 나카마 다
俺たちは仲間だ。
우리들은 친구야.
|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로, '~도', '~라고 해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닷테 だって ~도 |
와타시 닷테 데키루
私だってできる。
나도 할 수 있어.
|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도오부츠 動物 동물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
도오부츠엔 니 이키타이
動物園に行きたい。
동물원에 가고 싶어.
|
코오유우 노 테 코오부츠
こーゆーのって好物こうぶつ
이런 거 좋아해
이 문장은 감탄사로 시작하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こーゆーのって'는 '이런 거는'이라는 의미로, '好物'은 '좋아하는 것'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이런 거 좋아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런'이라는 의미를 가진 구어체 표현입니다. 'こういう(koo iu)'가 변형된 형태로,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코오유우 こーゆー 이런 |
코오 이우 こういう 이런 코오유우 노와 스키 쟈 나이
こーゆーのは好きじゃない
이런 건 싫어
|
명사화 접속사로, 앞의 내용을 '것'으로 받아 명사구를 만듭니다. 노 の 거 |
타베루 노가 스키
食べるのが好き
먹는 게 좋아
|
화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는/이라는 것은'이라는 의미입니다. 테 って 는 |
토 と 라고 소레 테 혼토오?
それって本当?
그거 진짜야?
|
'좋아하는 것', '특히 좋아하는 음식'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好 좋을 호, 物 물건 물 코오부츠 好物 좋아하는 것 好 좋을 호, 物 물건 물 |
아마이 모노가 코오부츠 데스
甘いものが好物です
단 게 좋아요
|
코코 마데 이와레타라 도오?
ここまで言いわれたらどう?
여기까지 말하면 어떨까?
이 문장은 'ここまで' (여기까지) + '言われたら' (말하면) + 'どう?' (어떨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ここまで言われたら'는 조건절을 형성하며, 'どう?'는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의 반응을 묻는 문장 구조입니다.
장소를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로, 말하는 사람과 가까운 곳을 나타냅니다. 코코 ここ 여기 |
코코 니 키테 쿠다사이
ここに来てください。
여기로 오세요.
|
한계나 범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마데 まで 까지 |
쿠지 마데 하타라키마스
9時まで働きます。
9시까지 일합니다.
|
'言う' (말하다)의 수동형 '言われる'의 가정형으로, '만약 말을 들으면'이라는 의미입니다. 言 말씀 언 이와레타라 言われたら 말하면 言 말씀 언 |
이우 言う 말하다 소오 이와레타라 우레시이 데스
そう言われたら嬉しいです。
그렇게 말해주시면 기쁩니다.
|
의문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상대방의 의견이나 반응을 묻는 데 사용됩니다. 도오 どう 어떻게 |
코레 데 도오 데스 카?
これでどうですか?
이렇게 하면 어때요?
|
후츠우 하라 노 소코 카라 코오 후츠 후츠 토
普通ふつう 腹はらの底そこからこうふつふつと
보통 배 속에서부터 이렇게 부글부글 끓어
이 문장은 일본어로 작성되었으며, 감정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普通'는 '보통'을 의미하며, '腹の底から'는 '배 속에서부터'를 나타냅니다. 'こうふつふつと'는 '부글부글 끓는 모습'을 묘사하는 의태어입니다. 전체적으로 평소와는 다른 강한 감정이나 상태가 내부에서부터 솟아나는 것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평소와 다름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普 넓을 보, 通 통할 통 후츠우 普通 보통 普 넓을 보, 通 통할 통 |
후츠우 노 세이카츠 오 오쿠루
普通の生活を送る。
보통의 생활을 보낸다.
|
신체 부위 중 배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腹 배 복 하라 腹 배 腹 배 복 |
하라 가 헷타
腹が減った。
배가 고프다.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무언가의 가장 아래 부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底 밑 저 소코 底 바닥 底 밑 저 |
콧푸 노 소코
コップの底
컵의 바닥
|
시점이나 출발점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카라 から 부터 |
코코 카라 하지메루
ここから始める。
여기부터 시작한다.
|
방식이나 상태를 지시하는 부사입니다. 코오 こう 이렇게 |
코오 얏테 야룬다
こうやってやるんだ。
이렇게 하는 거야.
|
액체가 끓거나 감정이 솟아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의태어입니다. 후츠 후츠 ふつふつ 부글부글 |
오유 가 후츠 후츠 토 와쿠
お湯がふつふつと沸く。
물이 부글부글 끓는다.
|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토 と ~하고 |
와랏테 토 잇타
笑ってと言った。
웃어라고 말했다.
|
오레타치 닷테 도오부츠
俺おれたちだって動物どうぶつ
우리들도 동물이야
이 문장은 주어(俺たち) + 조사(だって) + 명사(動物)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俺たち'는 '우리들'을 의미하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이며, 'だって'는 '~도'라는 의미의 조사로, '動物'은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우리들도 동물이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1인칭 복수 대명사로, '나'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비격식적인 표현이며, 주로 남성이 사용합니다. 俺 나 엄 오레타치 俺たち 우리들 俺 나 엄 |
오레타치 와 나카마 다
俺たちは仲間だ。
우리들은 친구야.
|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로, '~도', '~라고 해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닷테 だって ~도 |
와타시 닷테 데키루
私だってできる。
나도 할 수 있어.
|
동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도오부츠 動物 동물 動 움직일 동, 物 물건 물 |
도오부츠엔 니 이키타이
動物園に行きたい。
동물원에 가고 싶어.
|
유에 니 모치 우루 오리지날 나 슈우세이
故ゆえに持もち得うるOriginalな習性しゅうせい
그래서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습성
이 문장은 일본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故に'는 '그래서, 그러므로'라는 의미의 접속사로 문장의 원인을 나타냅니다. '持ち得る'는 '가지다'와 '할 수 있다'의 의미가 합쳐진 표현으로 '가질 수 있는'을 의미합니다. 'Originalな'는 영어 차용어로 '독창적인'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입니다. '習性'은 '습성, 습관'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그래서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습성'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그래서, 그러므로'라는 의미의 접속사로, 앞서 말한 내용의 결과를 이끌어낼 때 사용합니다. 故 연고 고 유에 니 故に 그래서 故 연고 고 |
유에 니 코노 케츠론 니 이탓타
故にこの結論に至った。
그래서 이 결론에 이르렀다.
|
'가지다'와 '할 수 있다'의 의미가 합쳐진 표현으로, '가질 수 있는'이라는 가능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持 가질 지, 得 얻을 득 모치 우루 持ち得る 가질 수 있는 持 가질 지, 得 얻을 득 |
카레 와 조오닌 니 와 모치 우루 나이 사이노오 오 못테 이루
彼は常人には持ち得ない才能を持っている。
그는 보통 사람들이 가질 수 없는 재능을 가지고 있다.
|
영어 차용어로 '독창적인, 원래의'라는 의미를 가진 형용사입니다. 오리지날 Original 독창적인 |
카레 노 아이디어 와 토테모 오리지날 다
彼のアイデアはとてもOriginalだ。
그의 아이디어는 매우 독창적이다.
|
형용사를 수식하는 조사로, 명사를 꾸밀 때 사용합니다. 나 な ~한 |
시즈카 나 바쇼
静かな場所
조용한 장소
|
'습성, 습관'을 의미하는 명사로, 사람이나 동물의 본능적인 행동 방식을 나타냅니다. 習 익힐 습, 性 성품 성 슈우세이 習性 습성 習 익힐 습, 性 성품 성 |
네코 노 슈우세이 오 켄큐우 스루
猫の習性を研究する。
고양이의 습성을 연구하다.
|
지분 데 지분 오 분루이 스루 나 요
自分じぶんで自分じぶんを分類ぶんるいするなよ
스스로 자신을 분류하지 마
이 문장은 명령형 문장으로, '自分で自分を分類するなよ'는 '스스로를 분류하지 마라'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自分で'는 '스스로', '自分を'은 '자신을', '分類する'는 '분류하다', 'なよ'는 금지를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스스로를 어떤 범주에 가두지 말라는 강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자신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말하는 사람 본인을 지칭합니다.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지분 自分 자신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
지분 데 칸가에나사이
自分で考えなさい.
스스로 생각하세요.
|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 で ~로 |
펜 데 카쿠
ペンで書く。
펜으로 쓰다.
|
앞에서와 동일하게 자신을 가리키는 대명사입니다.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지분 自分 자신 自 스스로 자, 分 나눌 분 |
지분 노 코토 와 지분 데 키메루
自分のことは自分で決める。
자신의 일은 스스로 결정한다.
|
목적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오 を ~을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사물이나 사람을 어떤 기준에 따라 나누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분루이 分類 분류 分 나눌 분, 類 무리 류 |
데타 오 분루이 스루
データを分類する。
데이터를 분류하다.
|
동사를 만드는 보조동사로, 앞의 명사와 결합하여 동사구를 형성합니다. 스루 する 하다 |
벤쿄 스루
勉強する。
공부하다.
|
동사의 기본형에 붙어 금지의 명령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나 な ~하지 마라 |
이쿠 나
行くな。
가지 마라.
|
문장 끝에 붙어 강조나 주의를 환기하는 종조사입니다. 요 よ ~이다 |
다이조부 다 요
大丈夫だよ。
괜찮아.
|
코와시테 미세로 요 소노 배드 해빗
壊こわして見みせろよ そのBad Habit
부숴버려, 그 나쁜 습관
이 문장은 두 개의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壊して見せろよ'는 '부수어서 보여 줘'라는 의미로, '壊して'는 동사 '부수다'의 연용형에 접속조사 'て'가 붙은 형태이고, '見せろ'는 동사 '보여주다'의 명령형입니다. 'そのBad Habit'은 '그 나쁜 습관'을 의미하는 명사구로, 앞서 언급한 행동의 대상이 됩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나쁜 습관을 과감히 보여달라고 요구하는 명령문입니다.
동사 '부수다'의 연용형에 접속조사 'て'가 붙은 형태로, '~해서'라는 연결의 의미를 가집니다. 壊 무너질 괴 코와시테 壊して 부숴서 壊 무너질 괴 |
코와스 壊す 부수다 마도 오 코와시테 시맛타
窓を壊してしまった。
창문을 부숴 버렸다.
|
동사 '보여주다'의 명령형으로,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보여달라고 요구할 때 사용합니다. 見 볼 견 | 뵈올 현 미세로 見せろ 보여 줘 見 볼 견 | 뵈올 현 |
미세루 見せる 보여주다 샤신 오 미세테
写真を見せて。
사진 보여 줘.
|
문장 끝에 붙어 명령이나 권유의 느낌을 강조하는 종조사입니다. 요 よ ~해 줘 |
하야쿠 코이 요
早く来いよ。
빨리 와 줘.
|
지시대명사로, 화자와 청자 모두가 알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소노 その 그 |
소노 혼 오 톳테
その本を取って。
그 책 좀 줘.
|
영어에서 차용한 단어로, '나쁜'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배드 Bad 나쁜 |
댓츠 어 배드 아이디어
That's a bad idea.
그건 나쁜 생각이야.
|
영어에서 차용한 단어로, '습관'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해빗 Habit 습관 |
스모킹 이즈 어 배드 해빗
Smoking is a bad habit.
흡연은 나쁜 습관이다.
|
'JPOP 단어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TWILIGHT!!!(트와일라잇) - King Gnu | 가사, 해석, 한글 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0) | 2025.04.20 |
---|---|
ナツメグ(너트메그, Nutmeg) - PURPLE BUBBLE | 가사, 해석, 한글 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1) | 2025.04.19 |
[약사의 혼잣말 2기 OP] 百花繚乱(백화요란) - 幾田りら | 가사, 해석, 한글 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1) | 2025.04.14 |
UNDEAD(언데드) - YOASOBI | 가사, 해석, 한글 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0) | 2025.04.14 |
[지. -지구의 운동에 대하여 OP] 怪獣(괴수, kaiju) - サカナクション | 가사, 해석, 한글 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