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도 데모
何度でも
몇 번이라도
이 문장은 '何度'와 'でも'로 구성된 구문입니다. '何度'는 '몇 번'이라는 뜻의 명사로, 'でも'는 '~이라도'라는 뜻의 조사로, 어떤 행동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전체적으로 '몇 번이라도'라는 의미로, 반복적인 행동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횟수를 나타내는 명사로, '몇 번'이라는 뜻입니다. 何 어찌 하,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난도 何度 몇 번 何 어찌 하,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
난도 모 키이타
何度も聞いた
몇 번이나 들었다
|
조사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이라도'라는 뜻입니다. 데모 でも ~이라도 |
이츠데모 이이
いつでもいい
언제라도 좋아
|
난도 데모 사케부
何度でも叫ぶ
몇 번이라도 외쳐
이 문장은 '何度でも'와 '叫ぶ'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何度でも'는 '몇 번이라도'라는 의미로, 반복을 강조하는 부사구입니다. '叫ぶ'는 '외치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문장의 서술어 역할을 합니다. 전체적으로 강한 의지나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횟수를 나타내는 명사로, '몇 번'이라는 의미입니다. 何 어찌 하,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난도 何度 몇 번 何 어찌 하,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
난도 모 십파이 시타
何度も失敗した。
몇 번이나 실패했다.
|
조건이나 한계를 나타내는 조사로, '~이라도'라는 의미입니다. 데모 でも 이라도 |
이츠 데모 키테 쿠다사이
いつでも来てください。
언제라도 오세요.
|
큰 소리로 부르짖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叫 부르짖을 규 사케부 叫ぶ 외치다 叫 부르짖을 규 |
카레 와 타스케 오 사켄다
彼は助けを叫んだ。
그는 도움을 외쳤다.
|
코노 쿠라이 요루 노 카이쥬우 니 낫테 모
この暗い夜の怪獣になっても
이 어두운 밤의 괴물이 되어도
이 문장은 'この暗い夜の怪獣になっても'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この'는 지시사로 '이'를 의미하며, '暗い'는 형용사로 '어두운', '夜'는 명사로 '밤', 'の'는 소유격 조사로 '의', '怪獣'은 명사로 '괴물', 'に'는 목적격 조사로 '~에게/에게로', 'なって'는 동사 'なる(되다)'의 연용형, 'も'는 조사로 '~도'를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이 어두운 밤의 괴물이 되어도'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지시사로,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키며 '이'라는 뜻입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와 오모시로이
この本は面白い。
이 책은 재미있다.
|
형용사로, 빛이 없거나 밝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暗 어두울 암 쿠라이 暗い 어두운 暗 어두울 암 |
쿠라이 헤야 가 코와이
暗い部屋が怖い。
어두운 방이 무섭다.
|
명사로, 해가 진 후부터 해가 뜨기 전까지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夜 밤 야 요루 夜 밤 夜 밤 야 |
요루 와 시즈카 다
夜は静かだ。
밤은 조용하다.
|
소유격 조사로, 앞의 명사가 뒤의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명사로, 보통 상상 속의 거대하고 무서운 생물을 의미합니다. 怪 괴이할 괴, 獣 짐승 수 카이쥬우 怪獣 괴물 怪 괴이할 괴, 獣 짐승 수 |
카이쥬우 가 마치 오 하카이 시타
怪獣が街を破壊した。
괴물이 도시를 파괴했다.
|
목적격 조사로, 변화의 결과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니 に 에게/에게로 |
센세이 니 나루
先生になる。
선생님이 되다.
|
동사 'なる(되다)'의 연용형으로, 상태 변화를 나타냅니다. 낫테 なって 되어 |
나루 なる 되다 오토나 니 낫테 와캇타
大人になってわかった。
어른이 되어서 알았다.
|
조사로, '~도'라는 뜻을 나타내며, 앞의 내용을 강조합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쿠
私も行く。
나도 간다.
|
코코 니 노코시테 오키타인 다 요
ここに残しておきたいんだよ
여기에 남겨두고 싶어
이 문장은 'ここに' (여기에) + '残しておきたい' (남겨두고 싶다) + 'んだよ' (강조 표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残しておきたい'는 '残す' (남기다)의 연용형에 'おく' (두다)의 연결형과 'たい' (하고 싶다)가 결합된 형태로, '남겨두고 싶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んだよ'는 설명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장소를 나타내는 지시대명사 'ここ' (여기)와 위치를 나타내는 조사 'に' (에)가 결합된 형태로, '여기에'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코코 니 ここに 여기에 |
코코 ここ 여기 코코 니 키테 쿠다사이
ここに来てください。
여기에 오세요.
|
동사 '残す' (남기다)의 연용형으로, '남겨서'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残 남을 잔 노코시테 残して 남겨서 残 남을 잔 |
노코스 残す 남기다 메모 오 노코시테 쿠다사이
メモを残してください。
메모를 남겨주세요.
|
'おく' (두다)의 연결형에 'たい' (하고 싶다)가 결합된 형태로, '두고 싶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오키타이 おきたい 두고 싶다 |
오쿠 おく 두다 코코 니 오이테 오키타이
ここに置いておきたい。
여기에 두고 싶어.
|
설명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んだ'는 'のだ'의 구어체이며, 'よ'는 청자에게 알리는 말투를 나타냅니다. 은 다 요 んだよ ~야 |
노 다 のだ ~이다 소레 가 스키 난 다 요
それが好きなんだよ。
그게 좋아하는 거야.
|
코노 히미츠 오
この秘密を
이 비밀을
이 문장은 목적어를 나타내는 일본어 문장입니다. 'この'는 지시사로 '이'를 의미하며, '秘密'는 '비밀'을 뜻하는 명사입니다. 'を'는 목적격 조사로, 앞의 명사가 동사의 목적어임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이 비밀을'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지시사로, 화자와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와 오모시로이
この本は面白い。
이 책은 재미있다.
|
다른 사람에게 알려지지 않은 사적인 정보나 사실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秘 숨길 비, 密 빽빽할 밀 히미츠 秘密 비밀 秘 숨길 비, 密 빽빽할 밀 |
카레 와 히미츠 오 마못타
彼は秘密を守った。
그는 비밀을 지켰다.
|
목적격 조사로, 동사의 목적어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오 を 을 |
링고 오 타베루
りんごを食べる。
사과를 먹다.
|
단단 타베루
だんだん食べる
점점 먹어가
이 문장은 부사 'だんだん'과 동사 '食べる'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だんだん'은 '점점', '서서히'라는 의미로 상태나 행동이 점진적으로 변화함을 나타냅니다. '食べる'는 '먹다'라는 동사로, 여기서는 비밀을 점점 소화해간다는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비밀을 점차적으로 받아들이거나 이해해가는 과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점진적으로, 서서히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단단 だんだん 점점 |
단단 사무쿠 낫테 키타
だんだん寒くなってきた。
점점 추워져 왔다.
|
음식을 섭취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로, 여기서는 비유적으로 '이해하다' 또는 '받아들이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食 밥/먹을 식 타베루 食べる 먹다 食 밥/먹을 식 |
마이니치 야사이 오 타베루
毎日野菜を食べる。
매일 야채를 먹는다.
|
아카 토 아오 노 호시보시
赤と青の星々
빨간색과 파란색의 별들
이 문장은 명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赤と青の'는 형용사구로 '빨간색과 파란색의'를 의미하며, '星々'는 '별들'을 의미하는 복수형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빨간색과 파란색의 별들'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색상을 나타내는 명사로 '빨간색'을 의미합니다. 赤 붉을 적 아카 赤 빨간색 赤 붉을 적 |
아카이 링고
赤いリンゴ
빨간 사과
|
접속사로 두 대상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토 と 와 |
네코 토 이누
猫と犬
고양이와 개
|
색상을 나타내는 명사로 '파란색'을 의미합니다. 青 푸를 청 아오 青 파란색 青 푸를 청 |
아오이 소라
青い空
파란 하늘
|
소유격 조사로 앞에 오는 단어가 뒤에 오는 단어를 수식하도록 합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명사 '星(별)'의 복수형으로 '별들'을 의미합니다. 星 별 성 호시보시 星々 별들 星 별 성 |
호시 星 별 호시보시 가 카가야쿠
星々が輝く
별들이 빛난다
|
미라이 카라 카코
未来から過去
미래에서 과거로
이 문장은 '미래에서 과거로'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일본어 구문입니다. '未来(미래)'와 '過去(과거)'라는 명사가 'から(에서)'라는 조사로 연결되어 방향성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시간의 흐름을 역행하는 개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아직 오지 않은 시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未 아닐 미, 来 올 래 미라이 未来 미래 未 아닐 미, 来 올 래 |
미라이 오 요소쿠 스루
未来を予測する
미래를 예측하다
|
출발점이나 기점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카라 から 에서 |
토오쿄오 카라 오오사카 마데
東京から大阪まで
도쿄에서 오사카까지
|
이미 지나간 시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過 지날 과, 去 갈 거 카코 過去 과거 過 지날 과, 去 갈 거 |
카코 오 후리카에루
過去を振り返る
과거를 돌아보다
|
쥰쥰 니 타베루
順々に食べる
순서대로 먹는다
이 문장은 부사 '順々に'와 동사 '食べる'로 구성된 간단한 문장입니다. '順々に'는 '순서대로', '차례차례'라는 의미의 부사로,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냅니다. '食べる'는 '먹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여기서는 기본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순서대로 먹는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순서대로', '차례차례'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때 사용합니다. 順 순할 순 쥰쥰 順々 순서대로 順 순할 순 |
쥰쥰 니 나란데 쿠다사이
順々に並んでください。
순서대로 줄을 서 주세요.
|
부사적 용법을 만드는 조사로, 동작의 방식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니 に ~하게 |
시즈카 니 시테 쿠다사이
静かにしてください。
조용히 해 주세요.
|
'먹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음식을 섭취하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食 밥/먹을 식 타베루 食べる 먹다 食 밥/먹을 식 |
마이아사 판 오 타베마스
毎朝パンを食べます。
매일 아침 빵을 먹습니다.
|
난쥿카이 모 카미츠부시
何十回も噛み潰し
수십 번 씹어 부수고
이 문장은 '何十回も'와 '噛み潰し'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何十回も'는 '수십 번'이라는 의미로, '何'는 '몇', '十'은 '십', '回'은 '번'을 의미합니다. 'も'는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噛み潰し'는 '씹어 부수다'라는 의미로, '噛み'는 '씹다', '潰し'는 '부수다'를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수십 번 씹어 부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몇 십 번'이라는 의미로, '何'는 '몇', '十'은 '십', '回'은 '번'을 의미합니다. 何 어찌 하, 十 열 십, 回 돌아올 회 난쥿카이 何十回 수십 번 何 어찌 하, 十 열 십, 回 돌아올 회 |
난쥿카이 모 렌슈 시타
何十回も練習した。
수십 번 연습했다.
|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로, '~도'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키마스
私も行きます。
나도 갑니다.
|
'씹어 부수다'라는 의미로, '噛み'는 '씹다', '潰し'는 '부수다'를 의미합니다. 噛 깨물 교, 潰 무너질 궤 카미츠부시 噛み潰し 씹어 부수고 噛 깨물 교, 潰 무너질 궤 |
카미츠부스 噛み潰す 씹어 부수다 카타이 모노 오 카미츠부스
固いものを噛み潰す。
단단한 것을 씹어 부순다.
|
토케타 나라 노모우
溶けたなら飲もう
녹았다면 마시자
이 문장은 조건절과 주절로 구성된 복합문입니다. '溶けたなら'는 '녹았다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조사 'なら'가 붙은 절이며, '飲もう'는 '마시자'라는 권유의 의미를 가진 주절입니다. 전체적으로 무언가를 인내하며 기다린 후, 적절한 시점에서 행동을 취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녹다'라는 동사의 과거형으로, 물질이 액체 상태로 변했음을 나타냅니다. 溶 녹을 용 토케타 溶けた 녹았다 溶 녹을 용 |
토케루 溶ける 녹다 코오리 가 토케타
氷が溶けた。
얼음이 녹았다.
|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조사로, '만약 ~하다면'이라는 가정의 의미를 가집니다. 나라 なら ~라면 |
지칸 가 아루 나라, 이코우
時間があるなら、行こう。
시간이 있다면 가자.
|
'마시다'라는 동사의 권유형으로, 함께 행동할 것을 제안하는 표현입니다. 飲 마실 음 노모우 飲もう 마시자 飲 마실 음 |
노무 飲む 마시다 잇쇼 니 오차 오 노모우
一緒にお茶を飲もう。
같이 차 마시자.
|
탄 탄 토 시루
淡々と知る
담담히 알아차려
이 문장은 일본어로 '담담히 알다'라는 의미를 가진 구문입니다. '淡々と'는 '담담히', '淡々と'는 부사구로 상태를 나타내며, '知る'는 동사로 '알다'를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무언가를 담담하게 인지하거나 받아들이는 태도를 표현합니다.
무엇에 대해 감정을 크게 드러내지 않고 차분하게 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淡 맑을 담 탄 탄 淡々 담담히 淡 맑을 담 |
카레 와 탄 탄 토 시고토 오 코나스
彼は淡々と仕事をこなす。
그는 담담히 일을 해낸다.
|
부사와 동사를 연결하는 접속조사로, 앞의 부사가 뒤의 동사를 수식하는 관계를 만듭니다. 토 と ~하게 |
시즈카 니 토 아루쿠
静かにと歩く。
조용히 걷다.
|
무언가를 인지하거나 이해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知 알 지 시루 知る 알다 知 알 지 |
카레 노 코토 오 싯테 이마스 카?
彼のことを知っていますか?
그에 대해 알고 있나요?
|
시레바 마타 아후레오치루
知ればまた溢れ落ちる
알면 또 넘쳐 흘러
이 문장은 조건문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知れば'는 '알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또 넘쳐 흘러'라는 결과를 이끌어냅니다. '溢れ落ちる'은 '넘쳐 흐르다'라는 복합동사로, 강렬한 감정이나 상황을 표현합니다. 전체적으로 어떤 진실을 알게 되면 감정이 넘쳐흐르는 상황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알다'라는 동사 '知る'의 가정형(ば形) 어간입니다. 조건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知 알 지 시레 知れ 알 知 알 지 |
시루 知る 알다 신소 오 시레바 오도로쿠 다로우
真相を知れば驚くだろう。
진실을 알면 놀랄 거야.
|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조사입니다. '~하면'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바 ば 면 |
하야쿠 이케바 마니아우
早く行けば間に合う。
빨리 가면 늦지 않아.
|
다시 한 번, 또는 또 다시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마타 また 또 |
마타 아이마셔우
また会いましょう。
또 만나요.
|
'넘치다'라는 동사 '溢れる'의 연용형(ます形 어간)입니다. 溢 넘칠 일 아후레 溢れ 넘쳐 溢 넘칠 일 |
아후레루 溢れる 넘치다 나미다 가 아후레테 키타
涙が溢れてきた。
눈물이 넘쳐 흘렀다.
|
'떨어지다', '흐르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여기서는 '溢れ落ちる'로 복합동사를 이루어 '넘쳐 흐르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落 떨어질 락 오치루 落ちる 흘러 落 떨어질 락 |
링고 가 키 카라 오치타
リンゴが木から落ちた。
사과가 나무에서 떨어졌다.
|
키노우 마데 노 혼토우
昨日までの本当
어제까지의 진실
이 문장은 '昨日までの'와 '本当'으로 구성된 명사구입니다. '昨日までの'는 '어제까지의'라는 의미로 시간의 범위를 나타내는 수식어구이며, '本当'은 '진실'이라는 의미의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어제까지의 진실'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과거의 특정 날짜를 가리키는 명사로, '어제'를 의미합니다. 昨 어제 작, 日 날 일 키노우 昨日 어제 昨 어제 작, 日 날 일 |
키노우 와 아메 데시타
昨日は雨でした。
어제는 비가 왔습니다.
|
시간이나 공간의 한계점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마데 まで 까지 |
코코 마데 키테 쿠다사이
ここまで来てください。
여기까지 오세요.
|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데스
私の本です。
제 책입니다.
|
사실이나 진실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本 근본 본, 当 마땅 당 혼토우 本当 진실 本 근본 본, 当 마땅 당 |
소레 와 혼토우 데스 카?
それは本当ですか?
그건 진실인가요?
|
쥰쥰 토 시루
順々と知る
순서대로 알아가
이 문장은 '順々と'와 '知る'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順々と'는 '순서대로', '차례차례'라는 의미의 부사구이며, '知る'는 '알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순서대로 알아가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순서대로', '차례차례'라는 의미를 가진 부사입니다. 같은 한자를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의미를 강조합니다. 順 순할 순 쥰쥰 順々 순서대로 順 순할 순 |
준 順 순서 쥰쥰 니 나란데 쿠다사이
順々に並んでください。
순서대로 줄을 서세요.
|
부사와 동사를 연결하는 접속조사로, '~처럼', '~와 같이'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토 と ~와, ~처럼 |
시즈카 니 토 아루쿠
静かにと歩く。
조용히 걷다.
|
'알다', '이해하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知 알 지 시루 知る 알다 知 알 지 |
카레 노 코토 오 싯테 이마스 카?
彼のことを知っていますか?
그 사람을 알고 있나요?
|
난쥬 라센 노 치에 노 와
何十螺旋の知恵の輪
수십 나선의 지혜의 고리
이 문장은 '何十螺旋の知恵の輪'이라는 명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何十'은 '수십 개의', '螺旋'은 '나선형', '知恵の輪'은 '지혜의 고리'를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수십 개의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지혜의 고리를 의미하는 문장입니다.
'몇 십'이라는 의미로, 정확한 수를 모르지만 대략 수십 개를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何 어찌 하, 十 열 십 난쥬 何十 수십 何 어찌 하, 十 열 십 |
난쥬 닌 모 노 히토 가 아츠맛타
何十人もの人が集まった。
수십 명의 사람들이 모였다.
|
나선형의 형태를 가리키는 명사로, 소용돌이 모양을 의미합니다. 螺 소라 라, 旋 돌 선 라센 螺旋 나선 螺 소라 라, 旋 돌 선 |
라센 카이단 오 노보루
螺旋階段を上る。
나선형 계단을 올라가다.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지식과 경험에서 나오는 현명한 판단력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知 알 지, 恵 은혜 혜 치에 知恵 지혜 知 알 지, 恵 은혜 혜 |
치에 오 시보루
知恵を絞る。
지혜를 짜내다.
|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코도모 노 코로
子供の頃
어린 시절
|
동그란 형태의 물건이나 연결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輪 바퀴 륜 와 輪 고리 輪 바퀴 륜 |
와 니 낫테 스와루
輪になって座る。
고리 모양으로 앉다.
|
토케루 마데 유코우
解けるまで行こう
풀릴 때까지 가자
이 문장은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解ける'는 '풀리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まで'는 '~까지'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行こう'는 '가자'라는 의미의 권유형 동사입니다. 전체적으로 '풀릴 때까지 가자'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제나 매듭 등이 풀리다, 해결되다를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解 풀 해 토케루 解ける 풀리다 解 풀 해 |
코노 몬다이 와 칸탄 니 토케루
この問題は簡単に解ける。
이 문제는 쉽게 풀린다.
|
시간이나 공간의 한계점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마데 まで ~까지 |
에키 마데 아루이테 이코우
駅まで歩いて行こう。
역까지 걸어가자.
|
동사 '行く(가다)'의 권유형으로, 함께 가자고 제안할 때 사용합니다. 行 다닐 행 | 항렬 항 유코우 行こう 가자 行 다닐 행 | 항렬 항 |
유쿠 行く 가다 잇쇼 니 코우엔 니 유코우
一緒に公園に行こう。
함께 공원에 가자.
|
오카 노 우에 데 호시 오 미루 토 칸지루 코노 사비시사 모
丘の上で星を見ると感じるこの寂しさも
언덕 위에서 별을 보면 느껴지는 이 외로움도
이 문장은 일본어의 전형적인 문장 구조를 따르고 있습니다. '丘の上で'는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로 '언덕 위에서'라는 의미입니다. '星を見ると'는 '별을 보면'이라는 조건절을 형성하며, '感じる'는 주어가 생략된 동사로 '느끼다'를 의미합니다. 'この寂しさも'는 '이 외로움도'라는 명사구로, 앞서 언급한 조건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언덕 위에서 별을 보면 느껴지는 이 외로움도'라는 의미의 문장입니다.
자연 지형 중 하나로, 주변보다 약간 높은 곳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丘 언덕 구 오카 丘 언덕 丘 언덕 구 |
오카 니 노보루
丘に登る
언덕에 오르다
|
소유나 속격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위치를 나타내는 명사로, 어떤 것의 상부를 의미합니다. 上 윗 상 우에 上 위 上 윗 상 |
츠쿠에 노 우에
机の上
책상 위
|
장소나 수단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 で 에서 |
코우엔 데 아소부
公園で遊ぶ
공원에서 놀다
|
밤하늘에 보이는 천체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星 별 성 호시 星 별 星 별 성 |
호시 가 키레이 다
星がきれいだ
별이 아름답다
|
목적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오 を ~을/를 |
미즈 오 노무
水を飲む
물을 마시다
|
눈으로 무언가를 인지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見 볼 견 | 뵈올 현 미루 見る 보다 見 볼 견 | 뵈올 현 |
에이가 오 미루
映画を見る
영화를 보다
|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조사입니다. 토 と ~하면 |
하루 니 나루 토 아타타카이
春になると暖かい
봄이 되면 따뜻해진다
|
감정이나 감각을 인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感 느낄 감 칸지루 感じる 느끼는 感 느낄 감 |
시아와세 오 칸지루
幸せを感じる
행복을 느끼다
|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사입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この本
이 책
|
외롭다는 감정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寂 고요할 적 사비시사 寂しさ 외로움 寂 고요할 적 |
사비시이 寂しい 외롭다 사비시사 니 타에루
寂しさに耐える
외로움을 견디다
|
추가나 포함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쿠
私も行く
나도 간다
|
아사야케 데 테 가 소마루 코로 니 와 모우 와스레테룬 다
朝焼けで手が染まる頃にはもう忘れてるんだ
아침 노을에 손이 물들 때쯤이면 이미 잊어버렸지
이 문장은 일본어로, '朝焼けで' (아침 노을에) + '手が染まる' (손이 물들다) + '頃には' (때쯤이면) + 'もう忘れてるんだ' (이미 잊어버렸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아침 노을이 질 때쯤이면 이미 잊어버린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아침 하늘의 붉은 노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朝 아침 조, 焼 사를 소 아사야케 朝焼け 아침 노을 朝 아침 조, 焼 사를 소 |
아사야케 가 키레이 다
朝焼けがきれいだ。
아침 노을이 아름답다.
|
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 で 에서 |
코우엔 데 아소부
公園で遊ぶ。
공원에서 놀다.
|
사람의 손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手 손 수 테 手 손 手 손 수 |
테 오 아라우
手を洗う。
손을 씻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가 が 이/가 |
아메 가 후루
雨が降る。
비가 내린다.
|
색깔이 배어들거나 물들다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染 물들 염 소마루 染まる 물드는 染 물들 염 |
유우히 데 소라 가 소마루
夕日で空が染まる。
석양에 하늘이 물들다.
|
특정 시점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頃 이랑/잠깐 경 코로 頃 때 頃 이랑/잠깐 경 |
코도모 노 코로 노 오모이데
子供の頃の思い出。
어린 시절의 추억.
|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산지 니 아이마셔우
3時に会いましょう。
3시에 만납시다.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이미 또는 더 이상이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모우 もう 이미 |
모우 오왓타
もう終わった。
이미 끝났다.
|
잊어버렸다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忘 잊을 망 와스레테루 忘れてる 잊어버렸다 忘 잊을 망 |
와스레루 忘れる 잊다 야쿠소쿠 오 와스레테타
約束を忘れてた。
약속을 잊어버렸다.
|
설명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은 다 んだ ~이다 |
노다 のだ ~이다 츠카레테룬 다
疲れてるんだ。
피곤하다.
|
코노 세카이 와 코오츠고오 니 미칸세이
この世界は好都合に未完成
이 세계는 편리하게도 미완성이야
이 문장은 주어(この世界は) + 서술어(好都合に未完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この世界は'는 '이 세계는'을 의미하며, '好都合に'는 '편리하게도', '未完成'은 '미완성'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이 세계가 편리하게도 미완성 상태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지시 대명사로, 화자와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킵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와 오모시로이
この本は面白い。
이 책은 재미있다.
|
세상 또는 세계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世 인간 세, 界 지경 계 세카이 世界 세계 世 인간 세, 界 지경 계 |
세카이 와 히로이
世界は広い。
세계는 넓다.
|
주격 조사로, 문장의 주제를 나타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편리함이나 적합함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안성맞춤) 好 좋을 호, 都 도읍 도, 合 합할 합 코오츠고오 好都合 편리 好 좋을 호, 都 도읍 도, 合 합할 합 |
코오츠고오 나 지칸
好都合な時間。
편리한 시간.
|
부사형 어미로, 상태를 나타냅니다. 니 に ~하게 |
시즈카 니 하나스
静かに話す。
조용히 말하다.
|
완성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未 아닐 미, 完 완전할 완, 成 이룰 성 미칸세이 未完成 미완성 未 아닐 미, 完 완전할 완, 成 이룰 성 |
코노 사쿠힌 와 미칸세이 다
この作品は未完成だ。
이 작품은 미완성이야.
|
다카라 시리타인다
だから知りたいんだ
그래서 알고 싶어
이 문장은 접속사 'だから'(그래서)로 시작하여 이유를 나타내고, '知りたい'(알고 싶다)라는 주된 동사구와 'んだ'(강조를 위한 종조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강한 욕구를 표현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앞서 말한 내용의 결과나 이유를 이어주는 접속사입니다. 다카라 だから 그래서 |
츠카레타. 다카라 야스무.
疲れた。だから休む。
피곤해. 그래서 쉰다.
|
'알다'라는 동사 '知る'의 연용형(ます형 어간)입니다. 知 알 지 시리 知り 알고 知 알 지 |
시루 知る 알다 신소오 오 시리타이.
真相を知りたい。
진상을 알고 싶다.
|
욕구를 나타내는 보조형용사로, 동사의 연용형에 붙어 '~하고 싶다'는 의미를 만듭니다. 타이 たい 싶다 |
미즈 가 노미타이.
水が飲みたい。
물이 마시고 싶다.
|
문장을 강조하거나 설명하는 어조를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인 ん (강조) |
노 の 의 소레 가 호시인다.
それが欲しいんだ。
그게 갖고 싶어.
|
단정적인 어조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다 だ 이다 |
카레 와 가쿠세이 다.
彼は学生だ。
그는 학생이다.
|
데모 카이쥬우 미타이니 토오쿠 토오쿠 사켄데모
でも怪獣みたいに遠く遠く叫んでも
하지만 괴물처럼 멀리 멀리 외쳐도
이 문장은 접속사 'でも'로 시작하여 앞선 문장과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갑니다. '怪獣みたいに'는 '괴물처럼'이라는 의미의 부사구로, '遠く遠く'는 '멀리 멀리'라는 부사가 반복되어 강조되었습니다. '叫んでも'는 동사 '叫ぶ(외치다)'의 연용형 '叫ん'에 접속조사 'でも'가 붙은 형태로, '외쳐도'라는 양보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괴물처럼 멀리 멀리 외쳐도'라는 의미의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앞선 내용과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갈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데모 でも 하지만 |
데모, 소레 와 치가이마스
でも、それは違います。
하지만, 그것은 틀렸어요.
|
거대한 괴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怪 괴이할 괴, 獣 짐승 수 카이쥬우 怪獣 괴물 怪 괴이할 괴, 獣 짐승 수 |
카이쥬우 가 마치 오 하카이 시타
怪獣が街を破壊した。
괴물이 도시를 파괴했다.
|
비유를 나타내는 조사로, '~처럼'이라는 의미입니다. 미타이니 みたいに 처럼 |
미타이 みたい 같은 카레 와 코도모 미타이니 와랏타
彼は子供みたいに笑った。
그는 아이처럼 웃었다.
|
거리가 먼 상태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遠 멀 원 토오쿠 遠く 멀리 遠 멀 원 |
토오이 遠い 먼 토오쿠 니 야마 가 미에루
遠くに山が見える。
멀리 산이 보인다.
|
동사 '叫ぶ(외치다)'의 연용형입니다. 叫 부르짖을 규 사켄 叫ん 외쳐 叫 부르짖을 규 |
사케부 叫ぶ 외치다 카레 와 오오고에 데 사켄다
彼は大声で叫んだ。
그는 큰 소리로 외쳤다.
|
동사에 붙어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속조사입니다. 데모 でも ~해도 |
간밧테모 데키나캇타
頑張ってもできなかった。
열심히 해도 할 수 없었다.
|
마타 키에테 시마운 다
また消えてしまうんだ
또 사라져 버리네
이 문장은 '또 사라져 버리네'라는 의미로, 'また'는 '또', '消えてしまう'는 '사라져 버리다', 'んだ'는 설명이나 감정을 강조하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어떤 것이 반복적으로 사라지는 상황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다시 한 번, 또는 이전과 같은 상태가 반복됨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마타 また 또 |
마타 아이마셔우
また会いましょう。
또 만나요.
|
'사라지다'라는 의미의 동사 '消える'의 연용형(て형)입니다. 消 사라질 소 키에테 消えて 사라져 消 사라질 소 |
키에루 消える 사라지다 키리 가 키에테 이쿠
霧が消えて行く。
안개가 사라져 간다.
|
어떤 동작이 완료되거나, 원치 않는 결과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보조동사입니다. 시마우 しまう 버리다 |
카기 오 나쿠시테 시맛타
鍵をなくしてしまった。
열쇠를 잃어버렸다.
|
설명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종조사 'の'의 구어체 형태입니다. 응 ん ~이다 |
노 の ~이다 츠카레탄 다
疲れたんだ。
피곤해.
|
단정적인 말투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다 だ 이다 |
카레 와 가쿠세이 다
彼は学生だ。
그는 학생이다.
|
다카라 킷토
だからきっと
그래서 분명히
이 문장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だから'는 접속사로 '그래서'라는 의미를 가지며, 'きっと'는 부사로 '분명히'라는 뜻을 가집니다. 전체적으로 앞서 언급된 상황의 결과를 강조하며 확신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앞의 내용을 받아서 결과나 결론을 이끌어낼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다카라 だから 그래서 |
츠카레타. 다카라 야스무.
疲れた。だから休む。
피곤해. 그래서 쉴 거야.
|
강한 확신을 나타내는 부사로, '틀림없이', '반드시'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킷토 きっと 분명히 |
킷토 세이코우 스루.
きっと成功する。
분명히 성공할 거야.
|
난도 데모 미루
何度でも見る
몇 번이고 다시 볼 거야
이 문장은 '何度でも'와 '見る'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何度でも'는 '몇 번이고'라는 의미로 반복을 강조하는 부사구이며, '見る'는 '보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전체적으로 '몇 번이고 다시 볼 거야'라는 의지를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몇 번'이라는 의미로, 횟수를 물을 때 사용하는 명사입니다. 何 어찌 하,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난도 何度 몇 번 何 어찌 하,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
난도 모 십파이 시타
何度も失敗した。
몇 번이고 실패했다.
|
조건이나 제한 없이 어떤 경우에도 해당함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모 でも ~이라도 |
이츠데모 키테 쿠다사이
いつでも来てください。
언제든지 오세요.
|
눈으로 무엇인가를 인식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見 볼 견 | 뵈올 현 미루 見る 보다 見 볼 견 | 뵈올 현 |
에이가 오 미루
映画を見る。
영화를 보다.
|
코노 쿠라이 요루 노 소라 오
この暗い夜の空を
이 어두운 밤하늘을
이 문장은 'この'(이) + '暗い'(어두운) + '夜の空を'(밤하늘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この'는 지시사로 '이'를 의미하며, '暗い'는 형용사로 '어두운'을, '夜の空を'는 '밤하늘을'이라는 의미의 명사구입니다. 전체적으로 '이 어두운 밤하늘을'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지시사로,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와 오모시로이 데스
この本は面白いです。
이 책은 재미있어요.
|
형용사로, 빛이 없거나 밝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暗 어두울 암 쿠라이 暗い 어두운 暗 어두울 암 |
헤야 가 쿠라이 데스
部屋が暗いです。
방이 어두워요.
|
'夜'는 '밤'을 의미하는 명사이고, 'の'는 소유격 조사로 '의'를 나타냅니다. 夜 밤 야 요루 노 夜の 밤의 夜 밤 야 |
요루 夜 밤 요루 노 호시 가 키레이 데스
夜の星がきれいです。
밤의 별이 예뻐요.
|
'空'은 '하늘'을 의미하는 명사이고, 'を'는 목적격 조사로 '을/를'을 나타냅니다. 空 빌 공 소라 오 空を 하늘을 空 빌 공 |
소라 空 하늘 소라 오 미아게마시타
空を見上げました。
하늘을 올려다봤어요.
|
난젠카이 모
何千回も
수천 번이라도
이 문구는 '何千回も'로 구성되어 있으며, '何千回'는 '수천 번'을 의미하고, 'も'는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수천 번이라도'라는 의미로, 반복이나 강조를 표현합니다.
'수천 번'을 의미하는 명사구로, '何'는 '얼마나 많은', '千'은 '천', '回'는 '번'을 나타냅니다. 何 어찌 하, 千 일천 천, 回 돌아올 회 난젠카이 何千回 수천 번 何 어찌 하, 千 일천 천, 回 돌아올 회 |
난젠카이 모 렌슈우 시타
何千回も練習した。
수천 번도 연습했다.
|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로, '~도'라는 의미를 추가합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키마스
私も行きます。
나도 갑니다.
|
키미 니 하나시테 오키타인 다 요
君に話しておきたいんだよ
너에게 말해두고 싶어
이 문장은 일본어로, '君に'는 '너에게', '話しておきたい'는 '말해두고 싶다', 'んだよ'는 설명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너에게 말해두고 싶어'라는 의미를 강조하는 문장 구조입니다.
2인칭 대명사로, 친구나 동료 등 친근한 사이에서 사용하는 '너'를 의미합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君 임금 군 |
키미 와 도오 오모우?
君はどう思う?
너는 어떻게 생각해?
|
조사로, 대상이나 방향을 나타내는 '에게'를 의미합니다. 니 に 에게 |
토모다치 니 푸레젠토 오 아게타
友達にプレゼントをあげた。
친구에게 선물을 주었다.
|
'말하다'라는 동사의 명사형으로, '말'을 의미합니다. 話 말씀 화 하나시 話し 말 話 말씀 화 |
하나스 話す 말하다 카레 와 오모시로이 하나시 오 시타
彼は面白い話をした。
그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했다.
|
'~해두다'라는 의미의 보조동사로, 미리 어떤 행동을 해두는 것을 나타냅니다. 테 오키 ておき 해두다 |
테 오쿠 ておく 해두다 준비 시테 오키마스
準備しておきます。
준비해두겠습니다.
|
희망을 나타내는 보조형용사로, '~하고 싶다'를 의미합니다. 타이 たい 싶다 |
타베타이
食べたい。
먹고 싶다.
|
설명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인 ん ~이다 |
노 の ~의 소오 난 데스
そうなんです。
그렇습니다.
|
단정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이다'를 의미합니다. 다 だ 이다 |
카레 와 가쿠세이 다
彼は学生だ。
그는 학생이다.
|
강조나 주의를 환기시키는 종조사로, 문장 끝에 붙어 사용됩니다. 요 よ ~야 |
다이조부 다 요
大丈夫だよ。
괜찮아.
|
코노 치시키 오
この知識を
이 지식을
이 문장은 목적어를 나타내는 일본어 구문입니다. 'この'는 지시사로 '이'를 의미하며, '知識'은 '지식'을, 'を'는 목적격 조사로 앞의 명사를 목적어로 만듭니다. 전체적으로 '이 지식을'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지시사로, 화자와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와 오모시로이
この本は面白い。
이 책은 재미있다.
|
알고 있는 사실이나 정보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知 알 지, 識 알 식 치시키 知識 지식 知 알 지, 識 알 식 |
치시키 오 후카메루
知識を深める。
지식을 깊게 하다.
|
목적격 조사로, 동사의 목적어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오 を ~을/~를 |
링고 오 타베루
りんごを食べる。
사과를 먹다.
|
탄 탄 토 치루
淡々と散る
담담히 흩날리네
이 문장은 '淡々と'와 '散る'로 구성된 간결한 표현입니다. '淡々と'는 부사로 '담담히', '무덤덤하게'라는 의미를 가지며, '散る'는 동사로 '흩날리다', '떨어지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전체적으로 담담하게 흩날리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담담하다', '무덤덤하다'라는 의미의 부사적 표현입니다. 같은 말을 반복하여 의미를 강조합니다. 淡 맑을 담 탄 탄 淡々 담담히 淡 맑을 담 |
카레 와 탄 탄 토 시고토 오 코나스
彼は淡々と仕事をこなす。
그는 담담히 일을 해낸다.
|
부사와 동사를 연결하는 조사로, '~하게'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토 と ~하게 |
시즈카 니 토 아루쿠
静かにと歩く。
조용히 걷다.
|
꽃잎이나 잎사귀 등이 흩날리거나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散 흩을 산 치루 散る 흩날리다 散 흩을 산 |
사쿠라 노 하나 가 치루
桜の花が散る。
벚꽃이 흩날리다.
|
치레바 마타 츠기 노 미
散ればまた次の実
흩어지면 또 다음 열매
이 문장은 조건절을 나타내는 '散れば'와 주절 'また次の実'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散れば'는 '흩어지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내며, 'また次の実'은 '또 다음 열매'라는 주절입니다. 전체적으로 꽃이 지면 새로운 열매가 맺힌다는 자연의 순환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흩어지다'라는 의미의 동사 '散る'의 가정형(ば형) 어간입니다. 散 흩을 산 치레 散れ 흩어지다 散 흩을 산 |
치루 散る 흩어지다 하나 가 치루
花が散る
꽃이 흩어지다
|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조사입니다. 바 ば ~면 |
이케바 와카루
行けば分かる
가면 알게 될 거야
|
다시 한 번, 또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마타 また 또 |
마타 아이마셔우
また会いましょう
또 만나요
|
'다음의'라는 의미의 연체사입니다. 次 버금 차 츠기 노 次の 다음의 次 버금 차 |
츠기 次 다음 츠기 노 에키
次の駅
다음 역
|
식물의 열매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実 열매 실 미 実 열매 実 열매 실 |
키 노 미
木の実
나무 열매
|
하나비라 와 카코
花びらは過去
꽃잎은 과거
이 문장은 주어(花びら) + 조사(は) + 술어(過去)로 구성된 명사문입니다. '花びら'는 '꽃잎', 'は'는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 '過去'는 '과거'를 의미하는 명사로, 전체적으로 '꽃잎은 과거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는 꽃잎이 지는 것이 과거의 일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문장입니다.
꽃의 잎을 의미하는 명사로, 꽃을 구성하는 부드러운 부분을 가리킵니다. 花 꽃 화 하나비라 花びら 꽃잎 花 꽃 화 |
사쿠라 노 하나비라 가 치루
桜の花びらが散る。
벚꽃잎이 흩날린다.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에서 화제가 되는 대상을 지정합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지나간 시간이나 사건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過 지날 과, 去 갈 거 카코 過去 과거 過 지날 과, 去 갈 거 |
카코 오 후리카에루
過去を振り返る。
과거를 돌아보다.
|
탄쥰 니 이키루
単純に生きる
단순하게 살아
이 문장은 '単純に'라는 부사구와 '生きる'라는 동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単純に'는 '단순하게'라는 의미로, '生きる'는 '살다'라는 동사의 기본형입니다. 전체적으로 '단순하게 살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単 홑 단, 純 순수할 순 탄쥰 単純 단순 単 홑 단, 純 순수할 순 |
탄쥰 나 몬다이
単純な問題
단순한 문제
|
부사적으로 사용되는 조사로, 상태나 방식을 나타냅니다. 니 に ~하게 |
시즈카 니 하나스
静かに話す
조용히 말하다
|
생명을 유지하며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生 날 생 이키루 生きる 살다 生 날 생 |
카레 와 이나카 데 이키루
彼は田舎で生きる
그는 시골에서 산다
|
카이쥬우 사레타 츠치 토 키
懐柔された土と木
회유된 흙과 나무
이 문장은 일본어로 '회유된 흙과 나무'를 의미합니다. '懐柔された'는 '회유된', '土'는 '흙', '木'은 '나무'를 의미하며, 'と'는 접속사 '와/과'에 해당합니다. 전체적으로 수동형 표현을 사용하여 흙과 나무가 회유되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상대방을 달래거나 회유하는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懐 품을 회, 柔 부드러울 유 카이쥬우 懐柔 회유 懐 품을 회, 柔 부드러울 유 |
카레 와 카이쥬사쿠 오 톳타
彼は懐柔策を取った。
그는 회유책을 썼다.
|
수동형을 나타내는 조동사 'される'의 과거형입니다. 사레타 された 되었다 |
스루 する 하다 카레 와 호메라레타
彼は褒められた。
그는 칭찬받았다.
|
흙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土 흙 토 츠치 土 흙 土 흙 토 |
츠치 오 타가야스
土を耕す。
흙을 갈다.
|
접속사로, 두 대상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토 と 와 |
링고 토 바나나
りんごとバナナ
사과와 바나나
|
나무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木 나무 목 키 木 나무 木 나무 목 |
키 오 우에루
木を植える。
나무를 심다.
|
히소 히소 토 사코오
ひそひそと咲こう
살며시 피어나자
이 문장은 감탄사 'ひそひそと'로 시작하여 조용히 피어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咲こう'는 '피우자'라는 의미의 동사로, 문장의 주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조용히 꽃을 피우자는 제안을 담고 있는 문장입니다.
조용히 속삭이듯이, 은밀하게 행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히소 히소 토 ひそひそと 살며시 |
히소 히소 ひそひそ 살며시 히소 히소 토 하나스
ひそひそと話す
살며시 말하다
|
'피다'라는 의미의 동사 '咲く'의 권유형으로, 함께 꽃을 피우자는 제안을 나타냅니다. 咲 웃을/필 소 사코오 咲こう 피우자 咲 웃을/필 소 |
사쿠 咲く 피다 하나 가 사쿠
花が咲く
꽃이 피다
|
텐 토 센 노 엔쵸오 센죠오 오 타도루 코노 사비시사 모
点と線の延長線上を辿るこの淋しさも
점과 선의 연장선을 따라가는 이 외로움도
이 문장은 일본어로 작성된 문장으로, 주어가 생략된 형태입니다. '点と線の延長線上を辿る'는 '점과 선의 연장선을 따라가는'이라는 의미의 수식어구이며, 'この淋しさも'는 '이 외로움도'라는 의미의 명사구입니다. 전체적으로 '점과 선의 연장선을 따라가는 이 외로움도'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점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点 점 점 텐 点 점 点 점 점 |
텐 오 우츠
点を打つ
점을 찍다
|
접속사로, 두 명사를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토 と 와 |
링고 토 미칸
りんごとみかん
사과와 귤
|
선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線 줄 선 센 線 선 線 줄 선 |
센 오 히쿠
線を引く
선을 긋다
|
소유격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와타시 노 혼
私の本
나의 책
|
연장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延 늘일 연, 長 긴 장 엔쵸오 延長 연장 延 늘일 연, 長 긴 장 |
엔쵸오센
延長戦
연장전
|
선상, 선 위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線 줄 선, 上 윗 상 센죠오 線上 선상 線 줄 선, 上 윗 상 |
센죠오 오 아루쿠
線上を歩く
선상을 걷다
|
목적격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오 を 를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따라가다, 추적하다를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辿 천천히 걸을 천 타도루 辿る 따라가는 辿 천천히 걸을 천 |
미치 오 타도루
道を辿る
길을 따라가다
|
지시사로,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킵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この本
이 책
|
외로움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淋 임질 림 사비시사 淋しさ 외로움 淋 임질 림 |
사비시이 淋しい 외로운 사비시사 오 칸지루
淋しさを感じる
외로움을 느끼다
|
부사로, '또한'이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쿠
私も行く
나도 간다
|
쿠라가리 데 메 가 나레루 코로 니 와 모오 와스레테룬 다
暗がりで目が慣れる頃にはもう忘れてるんだ
어둠 속에서 눈이 익숙해질 때쯤이면 이미 잊어버리고 말아
이 문장은 '暗がりで(어둠 속에서)'라는 부사구로 시작하여 상황을 설정하고, '目が慣れる頃には(눈이 익숙해질 때쯤이면)'라는 시간적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이 이어집니다. 'もう忘れてるんだ(이미 잊어버리고 말아)'가 주절로서 결과를 나타내며, 전체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표현하는 구조입니다. 문장 끝의 'んだ'는 설명이나 강조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어둠'을 의미하는 명사로, '暗い(어두운)'의 명사형입니다. 暗 어두울 암 쿠라가리 暗がり 어둠 暗 어두울 암 |
쿠라이 暗い 어두운 쿠라가리 노 나카 오 아루쿠
暗がりの中を歩く
어둠 속을 걷다
|
장소나 수단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데 で 에서 |
갓코오 데 벤쿄오 스루
学校で勉強する
학교에서 공부하다
|
신체 부위인 '눈'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目 눈 목 메 目 눈 目 눈 목 |
메 가 이타이
目が痛い
눈이 아프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가 が 이/가 |
아메 가 후루
雨が降る
비가 내리다
|
익숙해지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慣 익숙할 관 나레루 慣れる 익숙해지는 慣 익숙할 관 |
아타라시이 칸쿄오 니 나레루
新しい環境に慣れる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지다
|
시점을 나타내는 명사로 '때'를 의미합니다. 頃 이랑/잠깐 경 코로 頃 때 頃 이랑/잠깐 경 |
코도모 노 코로
子供の頃
어린 시절
|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산지 니 아이마셔우
3時に会いましょう
3시에 만납시다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이미'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모오 もう 이미 |
모오 오왓타
もう終わった
이미 끝났다
|
'잊어버리고 있다'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忘 잊을 망 와스레테루 忘れてる 잊어버리고 있다 忘 잊을 망 |
와스레루 忘れる 잊다 야쿠소쿠 오 와스레테루
約束を忘れてる
약속을 잊어버리고 있다
|
설명이나 강조의 의미를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은 다 んだ ~이다 |
노다 のだ ~이다 츠카레테 이룬 다
疲れているんだ
피곤하다
|
코노 세카이 와 코오츠고오 니 미칸세이
この世界は好都合に未完成
이 세계는 편리하게도 미완성이야
이 문장은 주어(この世界は) + 서술어(好都合に未完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この世界は'는 '이 세계는'을 의미하며, '好都合に'는 '편리하게도', '未完成'은 '미완성'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이 세계가 편리하게도 미완성 상태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지시 대명사로, 화자와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킵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와 오모시로이
この本は面白い。
이 책은 재미있다.
|
세상 또는 세계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世 인간 세, 界 지경 계 세카이 世界 세계 世 인간 세, 界 지경 계 |
세카이 와 히로이
世界は広い。
세계는 넓다.
|
주격 조사로, 문장의 주제를 나타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편리함이나 적합함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안성맞춤) 好 좋을 호, 都 도읍 도, 合 합할 합 코오츠고오 好都合 편리 好 좋을 호, 都 도읍 도, 合 합할 합 |
코오츠고오 나 지칸
好都合な時間。
편리한 시간.
|
부사형 어미로, 상태를 나타냅니다. 니 に ~하게 |
시즈카 니 하나스
静かに話す。
조용히 말하다.
|
완성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未 아닐 미, 完 완전할 완, 成 이룰 성 미칸세이 未完成 미완성 未 아닐 미, 完 완전할 완, 成 이룰 성 |
코노 사쿠힌 와 미칸세이 다
この作品は未完成だ。
이 작품은 미완성이야.
|
보쿠 와 시리타인다
僕は知りたいんだ
나는 알고 싶어
이 문장은 주어(僕) + 목적어(知りたい) + 종조사(ん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僕'는 '나'를 의미하는 1인칭 대명사이며, '知りたい'는 '알고 싶다'는 뜻의 동사 '知る'의 희망형입니다. 'んだ'는 설명이나 강조의 의미를 가지는 종조사로, 문장 끝에 붙어 화자의 강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화자가 무엇인가를 알고 싶어하는 강한 욕망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1인칭 대명사로, 주로 남성이 사용하는 비격식적인 표현입니다. 僕 종 복 보쿠 僕 나 僕 종 복 |
보쿠 와 가쿠세이 데스
僕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주격 조사로, 문장의 주제를 나타냅니다. 와 は 는 |
코레 와 혼 데스
これは本です。
이것은 책입니다.
|
동사 '知る(알다)'의 희망형으로, '~하고 싶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知 알 지 시리타이 知りたい 알고 싶다 知 알 지 |
시루 知る 알다 카레 노 나마에 오 시리타이
彼の名前を知りたい。
그의 이름을 알고 싶어.
|
설명이나 강조의 의미를 가지는 종조사입니다.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인 다 んだ ~이다 |
노 다 のだ ~이다 츠카레탄 다
疲れたんだ。
피곤해.
|
다카라 카이쥬우 미타이 니 토오쿠 에 토오쿠 에 사켄데
だから怪獣みたいに遠くへ遠くへ叫んで
그래서 괴수처럼 멀리 멀리 외치고
이 문장은 접속사 'だから'(그래서)로 시작하여 앞 문장과의 인과 관계를 나타냅니다. '怪獣みたいに'(괴수처럼)은 비유적 표현으로, '遠くへ遠くへ'(멀리 멀리)는 방향과 거리를 강조하는 부사적 표현이 반복되어 사용되었습니다. '叫んで'(외치고)는 동사 '叫ぶ'(외치다)의 연용형(て형)으로, 문장의 주요 동작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강한 감정을 담아 멀리까지 외치고 싶다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앞의 내용을 이유로 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접속사입니다. 다카라 だから 그래서 |
츠카레타. 다카라 야스무.
疲れた。だから休む。
피곤해. 그래서 쉴 거야.
|
이상한 생물이나 거대한 생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怪 괴이할 괴, 獣 짐승 수 카이쥬우 怪獣 괴수 怪 괴이할 괴, 獣 짐승 수 |
카이쥬우 가 마치 오 하카이 시타.
怪獣が街を破壊した。
괴수가 도시를 파괴했다.
|
비유를 나타내는 조사로, '~와 같은'이라는 의미입니다. 미타이 니 みたいに 처럼 |
미타이 みたい 같은 카레 와 코도모 미타이 니 와랏타.
彼は子供みたいに笑った。
그는 아이처럼 웃었다.
|
'遠く'(멀리)에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 'へ'(로)가 결합된 표현입니다. 遠 멀 원 토오쿠 에 遠くへ 멀리로 遠 멀 원 |
토오쿠 遠く 멀리 토리 와 토오쿠 에 톤데 잇타.
鳥は遠くへ飛んでいった。
새는 멀리로 날아갔다.
|
동사 '叫ぶ'(외치다)의 연용형(て형)으로, 동작의 연속이나 방법을 나타냅니다. 叫 부르짖을 규 사켄데 叫んで 외치고 叫 부르짖을 규 |
사케부 叫ぶ 외치다 카레 와 오오고에 데 사켄데 하싯타.
彼は大声で叫んで走った。
그는 큰 소리로 외치며 달렸다.
|
타다 키에 테 이쿤 다
ただ消えていくんだ
그냥 사라져 버리는 거야
이 문장은 'ただ' (그냥) + '消えていく' (사라져 가다) + 'んだ' (설명, 강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ただ'는 '그냥', '단지'의 의미로 상황을 단순화하여 표현합니다. '消えていく'는 '사라져 가다'라는 의미의 동사구로, 진행 중인 변화를 나타냅니다. 'んだ'는 문장 끝에 오는 종조사로, 설명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전체적으로 무언가가 단순히 사라져 가는 상황을 설명하고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무언가를 단순히, 특별한 이유 없이 행할 때 사용하는 부사입니다. 타다 ただ 그냥 |
타다 미테 이루 다케 다
ただ見ているだけだ。
그냥 보고 있을 뿐이야.
|
'消える' (사라지다)와 'いく' (가다)가 결합된 표현으로, 점점 사라져 가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消 사라질 소 키에 테 이쿠 消えていく 사라져 가다 消 사라질 소 |
키에루 消える 사라지다 키리 가 키에 테 이쿠
霧が消えていく。
안개가 사라져 간다.
|
문장 끝에 오는 종조사로, 설명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은 다 んだ ~하는 거야 |
노 다 のだ ~하는 것이다 츠카레 탄 다
疲れたんだ。
피곤한 거야.
|
데모 코노 미라이 와 코오츠고오 니 히캇테루
でもこの未来は好都合に光ってる
하지만 이 미래는 편리하게 빛나고 있어
이 문장은 접속사 'でも'로 시작하여 앞 문장과 대조를 이루며, 주어 'この未来は'와 서술어 '光ってる'로 구성된 주술 구조입니다. '好都合に'는 '편리하게'라는 의미의 부사구로, '光ってる'를 수식합니다. '光ってる'는 '빛나고 있다'는 의미의 동사로, 현재 진행형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미래가 유리하게 빛나고 있음을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앞의 내용과 대조되는 내용을 이어갈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데모 でも 하지만 |
데모, 와타시 와 이케나이
でも、私は行けない。
하지만, 나는 갈 수 없어.
|
화자가 가까이 있는 대상을 지시하는 지시사입니다. 코노 この 이 |
코노 혼 와 오모시로이
この本は面白い。
이 책은 재미있어.
|
아직 오지 않은 시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未 아닐 미, 来 올 래 미라이 未来 미래 未 아닐 미, 来 올 래 |
미라이 오 캉가에루
未来を考える。
미래를 생각하다.
|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와 は 는 |
와타시 와 가쿠세이 데스
私は学生です。
나는 학생입니다.
|
무엇을 하기에 알맞고 편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안성맞춤) 好 좋을 호, 都 도읍 도, 合 합할 합 코오츠고오 好都合 편리 好 좋을 호, 都 도읍 도, 合 합할 합 |
코오츠고오 나 지칸
好都合な時間。
편리한 시간.
|
부사적으로 사용되는 조사로, 상태를 나타냅니다. 니 に 하게 |
시즈카 니 하나스
静かに話す。
조용히 말하다.
|
'빛나다'의 진행형으로, 현재 빛나고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光 빛 광 히캇테루 光ってる 빛나고 있다 光 빛 광 |
히카루 光る 빛나다 호시 가 히캇테루
星が光ってる。
별이 빛나고 있어.
|
다카라 스스문다
だから進むんだ
그래서 나아가는 거야
이 문장은 접속사 'だから'로 시작하여 이유를 나타내고, '進むんだ'는 '나아가는 거야'라는 의미로, 의지나 결심을 표현합니다. 전체적으로 앞서 언급된 상황에 대한 화자의 결심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앞서 말한 내용의 이유나 결과를 이어주는 접속사입니다. 다카라 だから 그래서 |
츠카레타 카라, 카에루
疲れたから、帰る。
피곤하니까, 집에 갈래.
|
앞으로 전진하거나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進 나아갈 진 스스무 進む 나아가다 進 나아갈 진 |
마에 니 스스무
前に進む。
앞으로 나아가다.
|
설명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해주는 종조사입니다. 은 다 んだ ~거야 |
노다 のだ ~것이다 소우 난다
そうなんだ。
그런 거야.
|
이마 난 코오넨 모 토오쿠 토오쿠 토오쿠 사켄데
今何光年も遠く 遠く 遠く叫んで
지금 몇 광년이나 떨어진 곳에서, 멀리 멀리 멀리 외치며
이 문장은 일본어로 쓰여 있으며, 시적인 표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今何光年も遠く'는 '지금 몇 광년이나 떨어진 곳에서'라는 의미로, 시간과 공간의 거리를 강조합니다. '遠く 遠く 遠く叫んで'는 '멀리 멀리 멀리 외치며'라는 의미로, '遠く'가 세 번 반복되어 감정을 강조합니다. '叫んで'는 '외치며'라는 의미의 동사로, 문장의 마지막에 위치하여 강한 감정을 나타냅니다.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로, '현재' 또는 '지금'을 의미합니다. 今 이제 금 이마 今 지금 今 이제 금 |
이마 난지 데스 카
今何時ですか。
지금 몇 시입니까?
|
의문사를 나타내는 단어로, '무엇' 또는 '몇'을 의미합니다. 何 어찌 하 난 何 몇 何 어찌 하 |
나니 오 타베마스 카
何を食べますか。
무엇을 먹을까요?
|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거리 단위로, 빛이 1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합니다. 光 빛 광, 年 해 년 코오넨 光年 광년 光 빛 광, 年 해 년 |
코오넨 와 쿄리 노 타니 데스
光年は距離の単位です。
광년은 거리의 단위입니다.
|
조사로, '또한' 또는 '도'라는 의미를 추가합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키마스
私も行きます。
나도 갑니다.
|
거리가 먼 상태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遠 멀 원 토오쿠 遠く 멀리 遠 멀 원 |
토오이 遠い 멀다 토오쿠 니 야마 가 미에루
遠くに山が見える。
멀리 산이 보인다.
|
동사 '叫ぶ(외치다)'의 연용형으로, '~하며'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叫 부르짖을 규 사켄데 叫んで 외치며 叫 부르짖을 규 |
사케부 叫ぶ 외치다 오오고에 데 사켄데 미타
大声で叫んでみた。
큰 소리로 외쳐 보았다.
|
마타 카이쥬우 니 나룬다
また怪獣になるんだ
또 괴물이 되어 버리는 거야
이 문장은 일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また'는 '또', '怪獣'는 '괴물', 'になる'는 '~이 되다', 'んだ'는 설명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전체적으로 '또 괴물이 되어 버리는 거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시 한 번, 또는 반복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마타 また 또 |
마타 아이마쇼
また会いましょう。
또 만나요.
|
이상한 생물이나 괴물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怪 괴이할 괴, 獣 짐승 수 카이쥬우 怪獣 괴물 怪 괴이할 괴, 獣 짐승 수 |
카이쥬우 가 마치 오 하카이 시타
怪獣が街を破壊した。
괴물이 도시를 파괴했다.
|
조사로, 상태 변화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니 に ~이 |
센세이 니 나루
先生になる。
선생님이 되다.
|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나루 なる 되다 |
하루 니 나루
春になる。
봄이 되다.
|
설명이나 강조를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은 다 んだ ~이다 |
노다 のだ ~이다 츠카레탄 다
疲れたんだ。
피곤한 거야.
|
'JPOP 단어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オトノケ(Otonoke, 오토노케) - Creepy Nuts [Dandadan OP] | 가사, 해석, 한글발음, 모든 단어 완벽 정리! (4) | 2024.12.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