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과 긴장감을 강조합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 단 ダンダダン 덴덴덴 |
단다 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덴덴덴 하고 북이 울린다.
|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과 긴장감을 강조합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 단 ダンダダン 덴덴덴 |
단다 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덴덴덴 하고 북이 울린다.
|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과 긴장감을 강조합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 단 ダンダダン 덴덴덴 |
단다 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덴덴덴 하고 북이 울린다.
|
단다단 단다단 단다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단다단 단다단 단다단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특정한 리듬이나 소리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단 ダンダダン 단다단 |
단다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단다단 하고 북이 울린다.
|
아키라메노 와루이 야카라
諦めの悪い輩
포기하지 않는 녀석들
이 문장은 '諦めの悪い'라는 형용사구와 '輩'라는 명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諦めの悪い'는 '포기하지 않는'이라는 의미로, '輩'는 '녀석들'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어떤 일을 포기하거나 단념하는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諦 살필 체 아키라메 諦め 포기 |
아키라메루 諦める 포기하다 카레 와 칸탄 니 아키라메타
彼は簡単に諦めた。
그는 쉽게 포기했다.
|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여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카레 노 혼 와 오모시로이
彼の本は面白い。
그의 책은 재미있다.
|
상태나 질이 좋지 않음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悪 악할 악 | 미워할 오 와루이 悪い 나쁜 |
텐키 가 와루이
天気が悪い。
날씨가 나쁘다.
|
사람들을 가리키는 비격식적인 표현으로, 때로는 경멸적인 뉘앙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輩 무리 배 야카라 輩 녀석들 |
아이츠 라 와 혼토우 니 와루이 야카라 다
あいつらは本当に悪い輩だ。
저 녀석들은 정말 나쁜 녀석들이다.
|
안타라 난카 자 타바 낫테모 카나완
アンタらなんかじゃ束なっても敵わん
너희 같은 애들은 아무리 모여도 상대가 안 돼
이 문장은 주어(アンタら) + 부정적 표현(なんかじゃ) + 동사구(束なっても敵わん)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アンタら'는 '너희들'을 의미하며, 'なんかじゃ'는 '같은 것들은'이라는 경멸적인 표현입니다. '束なっても敵わん'은 '모여도 상대가 안 된다'는 의미로, 전체적으로 상대방을 경멸하며 그들의 힘을 과소평가하는 표현입니다.
'アンタ'는 '너'를 의미하는 비격식적인 표현이며, 'ら'는 복수를 나타내어 '너희들'을 의미합니다.
안타라 アンタら 너희들 |
안타 アンタ 너 안타라 나니 시테루 노
アンタら、何してるの?
너희들, 뭐 하고 있어?
|
'なんか'는 '같은 것'을 의미하며, 'じゃ'는 부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어 경멸적인 표현을 만듭니다.
난카 자 なんかじゃ 같은 것들은 |
난카 なんか 같은 것 손나 난카 자 무리 다
そんななんかじゃ無理だ。
그런 것들은 무리야.
|
'束なっても'는 '모여도'라는 의미로, '束なう'는 '모이다'를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束 묶을 속 타바 낫테모 束なっても 모여도 |
타바 束 다발, 뭉치 카레라 가 타바 낫테모 카테나이
彼らが束なっても勝てない。
그들이 모여도 이길 수 없다.
|
'敵う'는 '상대가 되다'를 의미하는 동사이며, 'わん'은 부정형으로 '상대가 안 된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敵 대적할 적 카나완 敵わん 상대가 안 된다 |
카나우 敵う 상대가 되다 카레 니 와 카나완
彼には敵わん。
그 사람에게는 상대가 안 돼.
|
쿠와바라 쿠와바라 쿠와바라 메 니 모 토마란 하야사
くわばらくわばらくわばら目にも止まらん速さ
비나이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눈에도 보이지 않을 정도의 빠름
이 문장은 반복적인 감탄사 'くわばら'로 시작하여 화자의 불안이나 두려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目にも止まらん速さ'는 '눈에도 보이지 않을 정도의 빠름'을 의미하며, '目に'는 '눈에', 'も'는 강조, '止まらん'은 '멈추지 않다'의 부정형, '速さ'는 '빠름'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매우 빠른 속도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일본어에서 번개나 불운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문 같은 말입니다.
쿠와바라 くわばら 비나이다 |
쿠와바라, 쿠와바라, 카미나리 가 나루
くわばら、くわばら、雷が鳴る。
쿠와바라, 쿠와바라, 천둥이 친다.
|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불운을 피하고자 하는 마음을 강조합니다.
쿠와바라 くわばら 비나이다 |
쿠와바라, 쿠와바라, 와루이 코토 가 오키마센 요 니
くわばら、くわばら、悪いことが起きませんように。
쿠와바라, 쿠와바라,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
계속해서 반복되어 불운을 피하고자 하는 마음을 더욱 강조합니다.
쿠와바라 くわばら 비나이다 |
쿠와바라, 쿠와바라, 와자와이 오 사케루 타메 니
くわばら、くわばら、災いを避けるために。
쿠와바라, 쿠와바라, 재앙을 피하기 위해서.
|
'눈에'라는 의미로, 시각적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目 눈 목 메 니 目に 눈에 |
메 目 눈 메 니 미에루 모노 다케 가 스베테 데 와 나이
目に見えるものだけが全てではない。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
강조의 의미로 사용되는 조사입니다.
모 も 도 |
카레 모 쿠루 요테이 데스
彼も来る予定です。
그도 올 예정입니다.
|
'멈추지 않다'의 부정형으로, '止まる'의 부정형입니다.
止 그칠 지 토마란 止まらん 멈추지 않다 |
토마루 止まる 멈추다 카레 노 코코로 와 토마란
彼の心は止まらん。
그의 마음은 멈추지 않는다.
|
'빠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速 빠를 속 하야사 速さ 빠름 |
하야이 速い 빠르다 카레 노 하야사 와 쿄이테키 다
彼の速さは驚異的だ。
그의 빠름은 경이롭다.
|
헤이 쿠타바란 다마란 사가란 오시 토오스 와가마마
Hey くたばらん黙らん下がらん押し通す我儘
헤이, 죽지 않고, 침묵하지 않고, 물러서지 않고, 고집을 부리며 밀어붙인다
이 문장은 감탄사 'Hey'로 시작하여 주의를 끌고, 여러 개의 부정형 동사와 '押し通す我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くたばらん'은 '죽지 않다', '黙らん'은 '침묵하지 않다', '下がらん'은 '물러서지 않다'를 의미하며, 각각 부정형으로 사용되어 강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押し通す我儘'은 '고집을 부리며 밀어붙이다'라는 의미로, 전체적으로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려는 모습을 표현합니다.
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하는 감탄사입니다.
헤이 Hey 헤이 |
헤이 리슨 투 미
Hey, listen to me!
헤이, 내 말 들어!
|
'くたばる'의 부정형으로, '죽다'라는 의미를 부정하여 '죽지 않다'를 나타냅니다.
쿠타바란 くたばらん 죽지 않다 |
쿠타바루 くたばる 죽다 카레 와 칸탄 니 쿠타바라나이
彼は簡単にくたばらない。
그는 쉽게 죽지 않는다.
|
'黙る'의 부정형으로, '침묵하다'라는 의미를 부정하여 '침묵하지 않다'를 나타냅니다.
黙 잠잠할 묵 다마란 黙らん 침묵하지 않다 |
다마루 黙る 침묵하다 카레 와 케시테 다마라나이
彼は決して黙らない。
그는 결코 침묵하지 않는다.
|
'下がる'의 부정형으로, '물러서다'라는 의미를 부정하여 '물러서지 않다'를 나타냅니다.
下 아래 하 사가란 下がらん 물러서지 않다 |
사가루 下がる 물러서다 카레 와 케시테 사가라나이
彼は決して下がらない。
그는 결코 물러서지 않는다.
|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강하게 밀어붙이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押 누를 압, 通 통할 통 오시 토오스 押し通す 밀어붙이다 |
카레 와 지분 노 이켄 오 오시토오시타
彼は自分の意見を押し通した。
그는 자신의 의견을 밀어붙였다.
|
자신의 욕망이나 필요를 우선시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我 나 아, 儘 다할 진 와가마마 我儘 고집 |
카레 와 와가마마 나 히토 다
彼は我儘な人だ。
그는 고집이 센 사람이다.
|
헤이 소코 도키나 자마다 오레와 모우 히토리노 아나타
Hey そこどきな邪魔だ 俺はもう1人の貴方
이봐, 거기 비켜, 방해돼. 나는 이미 또 다른 당신이야
이 문장은 감탄사 'Hey'로 시작하여 주의를 끌고, 'そこどきな邪魔だ'는 '거기 비켜, 방해돼'라는 의미로, 'そこ'는 '거기', 'どきな'는 '비켜', '邪魔だ'는 '방해다'를 의미합니다. '俺はもう1人の貴方'는 '나는 이미 또 다른 당신이다'라는 의미로, '俺は'는 '나는', 'もう1人の'는 '또 다른', '貴方'는 '당신'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에게 강하게 말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하는 감탄사입니다.
헤이 Hey 이봐 |
헤이 리슨 투 미
Hey, listen to me!
이봐, 내 말 좀 들어!
|
특정 장소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지시 대명사입니다.
소코 そこ 거기 |
소코 니 스왓테 쿠다사이
そこに座ってください。
거기에 앉아 주세요.
|
상대방에게 자리를 비키라고 요구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도키나 どきな 비켜 |
도쿠 どく 비키다 미치 오 도이테 쿠다사이
道をどいてください。
길을 비켜 주세요.
|
어떤 것이 방해가 된다고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邪 간사할 사, 魔 마귀 마 자마다 邪魔だ 방해다 |
자마 邪魔 방해 카레 와 자마다
彼は邪魔だ。
그는 방해가 된다.
|
남성이 자신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1인칭 대명사입니다.
俺 나 엄 오레와 俺は 나는 |
오레 俺 나 오레 와 이쿠
俺は行く。
나는 간다.
|
다른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人 사람 인 모우 히토리노 もう1人の 또 다른 |
히토리 1人 1명 모우 히토리노 토모다치 가 쿠루
もう1人の友達が来る。
또 다른 친구가 온다.
|
상대방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2인칭 대명사입니다.
貴 귀할 귀, 方 모 방 아나타 貴方 당신 |
아나타 와 다레 데스 카
貴方は誰ですか?
당신은 누구세요?
|
사다짱 카야짱 완사카 요미 노 쿠니 원더랜드
貞ちゃん伽椰ちゃんわんさか黄泉の国 wonderland
사다코짱, 카야코짱이 황천의 나라 원더랜드에 가득해
이 문장은 여러 명사와 접미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貞ちゃん'과 '伽椰ちゃん'은 각각 '사다코짱'과 '카야코짱'이라는 애칭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わんさか'는 '가득'이라는 의미의 부사로, '黄泉の国'은 '황천의 나라'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wonderland'는 영어로 '원더랜드'를 의미하며, 전체적으로 황천의 나라에 가득한 원더랜드를 묘사합니다.
'貞ちゃん'은 '사다코짱'이라는 애칭으로, 친근하게 부를 때 사용됩니다. 유명한 귀신 이름 중 하나.
貞 곧을 정 사다짱 貞ちゃん 사다코짱 |
사다코 貞子 사다코 사다짱 가 키타
貞ちゃんが来た!
사다코짱이 왔다!
|
'伽椰ちゃん'은 '카야코짱'이라는 애칭으로, 친근하게 부를 때 사용됩니다. 유명한 귀신 이름 중 하나.
伽 절 가, 椰 야자나무 야 카야짱 伽椰ちゃん 카야코짱 |
카야코 伽椰子 카야코 카야짱 가 스키
伽椰ちゃんが好き。
카야코짱이 좋아.
|
'わんさか'는 '가득'이라는 의미의 부사로, 많은 양을 나타냅니다.
완사카 わんさか 가득 |
오카시 가 완사카 아루
お菓子がわんさかある。
과자가 가득 있다.
|
'黄泉の国'은 '황천의 나라'를 의미하며, 죽은 자들이 가는 세계를 나타냅니다.
黄 누를 황, 泉 샘 천, 国 나라 국 요미 노 쿠니 黄泉の国 황천의 나라 |
요미 黄泉 황천 요미 노 쿠니 니 이쿠
黄泉の国に行く。
황천의 나라로 간다.
|
'wonderland'는 영어로 '원더랜드'를 의미하며, 환상적인 장소를 나타냅니다.
원더랜드 wonderland 원더랜드 |
디스 이즈 어 원더랜드
This is a wonderland.
여기는 원더랜드야.
|
헤이 고키토우 츄우 니 난다가 요지 욘쥬우 욘푼 마왓타라
Hey 御祈祷中に何だが4時44分まわったら
헤이, 기도 중에 미안하지만 4시 44분이 되면
이 문장은 감탄사 'Hey'로 시작하여 주의를 끌고, '御祈祷中に何だが'는 '기도 중에 미안하지만'이라는 의미로, '4時44分まわったら'는 '4시 44분이 되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기도 중에 특정 시간이 되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임을 암시하는 문장입니다.
상대방의 주의를 끌거나 말을 걸 때 사용하는 감탄사입니다.
헤이 Hey 헤이 |
헤이 리슨 투 미
Hey, listen to me!
헤이, 내 말 좀 들어!
|
'御祈祷'는 '기도'를 의미하고, '中'는 '중'을 의미하여 '기도 중'이라는 뜻입니다.
御 거느릴 어, 祈 빌 기, 禱 빌 도, 中 가운데 중 고키토우 츄우 御祈祷中 기도 중 |
키토우 祈祷 기도 카레 와 마이아사 고키토우 츄우 데스
彼は毎朝御祈祷中です。
그는 매일 아침 기도 중입니다.
|
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에'라는 의미입니다.
니 に ~에 |
각코 니 이키마스
学校に行きます。
학교에 갑니다.
|
'何だが'는 '미안하지만'이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양해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何 어찌 하 난다가 何だが 미안하지만 |
나니 何 무엇 난다가, 촛토 맛테 쿠다사이
何だが、ちょっと待ってください。
미안하지만, 잠시 기다려 주세요.
|
'4時'는 '4시', '44分'는 '44분'을 의미합니다.
時 때 시, 分 나눌 분 요지 욘쥬우 욘푼 4時44分 4시 44분 |
지 時 시 이마 와 요지 욘쥬우 욘푼 데스
今は4時44分です。
지금은 4시 44분입니다.
|
'まわったら'는 '되면'이라는 의미로, 조건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마왓타라 まわったら 되면 |
마루 まわる 돌다 지칸 가 마왓타라 오시에테 쿠다사이
時間がまわったら教えてください。
시간이 되면 알려 주세요.
|
욘샤쿠 욘슨 욘부 사마가 카미나챠 뱅 어라운드
四尺四寸四分様がカミナッチャ bang around
팔척귀신이 카미나앗챠 bang around
이 문장은 '四尺四寸四分様がカミナッチャ'와 'bang around'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ang around'는 영어로 '주변에서 소란스럽게 돌아다니다'라는 의미입니다. 전체적으로 신이 나타나고 주변이 소란스러워지는 상황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일본어에서 '팔척귀신'은 종종 신이나 귀신을 가리키는 상징적인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四 넉 사, 尺 자 척, 寸 마디 촌, 分 나눌 분 욘샤쿠 욘슨 욘부 四尺四寸四分 팔척귀신 |
욘샤쿠 욘슨 욘부 와 니혼 노 덴세츠 니 데테 쿠루
四尺四寸四分は日本の伝説に出てくる。
팔척귀신은 일본 전설에 나오는 존재다.
|
'님'이라는 존칭으로, 여기서는 신이나 귀신을 존중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様 모양 양 사마 様 님 |
오캬쿠사마 와 카미사마 데스
お客様は神様です。
고객님은 신입니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각으로, 일본어에서 주어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가 が ~가 |
네코 가 스키 데스
猫が好きです。
고양이를 좋아합니다.
|
일본어로 '카미나앗챠'는 '신이 나타나다'라는 의미의 비공식적 표현입니다.
카미나챠 カミナッチャ 카미나챠 |
카레 와 토도신 카미나챠 토 사켄다
彼は突然カミナッチャと叫んだ。
그는 갑자기 '카미나앗챠'라고 외쳤다.
|
영어에서 소음이나 충돌을 나타내는 감탄사입니다.
뱅 bang 쿵 |
더 도어 클로즈드 위드 어 뱅
The door closed with a bang.
문이 쿵 하고 닫혔다.
|
영어로 '주변에' 또는 '둘레에'라는 의미의 전치사입니다.
어라운드 around 주변에 |
데이 워크드 어라운드 더 파크
They walked around the park.
그들은 공원을 돌았다.
|
헤이 요부 코에 가 시탄나라 모지 토오리 오 츠카레 사마 얀
Hey 呼ぶ声がしたんなら 文字通りお憑かれさまやん
Hey, 누군가가 부르는 소리가 들렸다면, 문자 그대로 수고하셨습니다
이 문장은 감탄사 'Hey'로 시작하여 주의를 끌고, '呼ぶ声がしたんなら'는 '누군가가 부르는 소리가 들렸다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내며, '文字通りお憑かれさまやん'은 '문자 그대로 수고하셨습니다'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수고를 인정하는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누군가의 부름에 대한 반응과 그에 대한 감사의 표현을 담고 있습니다.
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하는 감탄사입니다.
헤이 Hey 이봐 |
헤이 리슨 투 미
Hey, listen to me!
이봐, 내 말 좀 들어!
|
누군가를 부르거나 소리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呼 부를 호 요부 呼ぶ 부르다 |
카레 와 와타시 오 요부
彼は私を呼ぶ。
그는 나를 부른다.
|
사람이나 동물이 내는 소리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声 소리 성 코에 声 소리 |
카레 노 코에 가 키코에루
彼の声が聞こえる。
그의 목소리가 들린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로, 주격 조사입니다.
가 が ~가 |
네코 가 이루
猫がいる。
고양이가 있다.
|
'들리다'라는 의미의 동사 'する'의 과거형과 조건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시탄나라 したんなら 들렸다면 |
스루 する 하다 모시 아메 가 훗타라, 이에 니 이루
もし雨が降ったら、家にいる。
만약 비가 온다면, 집에 있을 것이다.
|
말 그대로,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文 글월 문, 字 글자 자, 通 통할 통 모지 토오리 文字通り 문자 그대로 |
모지 文字 문자 카레 노 코토바 와 모지 토오리 다
彼の言葉は文字通りだ。
그의 말은 문자 그대로이다.
|
'수고하셨습니다'라는 의미의 일본어 표현으로, 상대방의 노고를 인정하는 인사말입니다.
憑 비길 빙 오 츠카레 사마 얀 お憑かれさまやん 수고하셨습니다 |
츠카레 사마 憑かれさま 수고하셨습니다 나가이 이치니치 닷타 네, 오 츠카레 사마
長い一日だったね、お憑かれさま。
긴 하루였어, 수고하셨습니다.
|
하이레타 하이레타 하이레타 하이레타 하이레타
ハイレタハイレタハイレタハイレタハイレタ
들어갔다 들어갔다 들어갔다 들어갔다 들어갔다
이 문장은 반복적인 감탄사 'ハイレタ'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들어갔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상황의 긴박함이나 반복성을 강조합니다.
'들어갔다'라는 의미의 동사 '入る'의 과거형으로, 어떤 장소나 상황에 들어간 것을 나타냅니다.
하이레타 ハイレタ 들어갔다 |
하이루 入る 들어가다 카레 와 헤야 니 하이레타
彼は部屋にハイレタ。
그는 방에 들어갔다.
|
히시 데 하이데타 사키 데 키리 와 하레타
必死で這い出た先で霧は晴れた
필사적으로 기어 나간 끝에 안개가 걷혔다
이 문장은 주어(霧) + 서술어(晴れた)로 구성되어 있으며, '必死で這い出た先で'는 부사구로 '필사적으로 기어 나간 끝에'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전체적으로 필사적인 노력을 통해 상황이 나아졌음을 나타냅니다.
목숨을 걸고 어떤 일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必 반드시 필, 死 죽을 사 히시 데 必死で 필사적으로 |
히시 必死 필사적이다 카레 와 히시 데 하시타
彼は必死で走った。
그는 필사적으로 달렸다.
|
어떤 장소에서 기어 나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這 이 저, 出 날 출 하이데타 這い出た 기어 나갔다 |
하이데루 這い出る 기어 나오다 카레 와 아나 카라 하이데타
彼は穴から這い出た。
그는 구멍에서 기어 나왔다.
|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결과로서의 위치나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先 먼저 선 사키 데 先で 끝에 |
사키 先 끝 미치 노 사키 데 맛테 이루
道の先で待っている。
길 끝에서 기다리고 있다.
|
주어로서 '안개'를 나타내며, 뒤에 오는 서술어와 연결됩니다.
霧 안개 무 키리 와 霧は 안개는 |
키리 霧 안개 키리 가 코이
霧が濃い。
안개가 짙다.
|
구름이나 안개가 사라져 맑아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晴 갤 청 하레타 晴れた 걷혔다 |
하레루 晴れる 맑아지다 소라 가 하레타
空が晴れた。
하늘이 맑아졌다.
|
데코 토 보코 가 우마쿠 카미앗타라
デコとボコが上手く噛み合ったら
볼록과 오목이 잘 맞물리면
이 문장은 'デコとボコが上手く噛み合ったら'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두 요소가 잘 맞물리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上手く'는 '잘'이라는 의미의 부사이고, '噛み合ったら'는 '맞물리면'이라는 의미의 가정형 동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서로 다른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는 상황을 가정하는 문장입니다.
凸는 돌출된 부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표면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데코 デコ 볼록 |
데코 凸 볼록 데코 가 오이 미치 오 아루쿠
デコが多い道を歩く。
돌출된 곳이 많은 길을 걷다.
|
두 개 이상의 요소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토 と ~와 |
네코 토 이누 가 이루
猫と犬がいる。
고양이와 개가 있다.
|
凹는 움푹 들어간 부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표면의 낮은 부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보코 ボコ 오목 |
보코 凹 오목 보코 가 오이 미치 오 사케루
ボコが多い道を避ける。
움푹 팬 곳이 많은 길을 피하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로, 주어와 동사를 연결합니다.
가 が 가 |
카레 가 키타
彼が来た。
그가 왔다.
|
어떤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거나 능숙하게 이루어질 때 사용하는 부사입니다.
上 윗 상, 手 손 수 우마쿠 上手く 잘 |
우마이 上手い 능숙하다 카레 와 우마쿠 하나스
彼は上手く話す。
그는 말을 잘 한다.
|
서로 맞물려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나타내는 가정형 동사입니다.
噛 깨물 교, 合 합할 합 카미앗타라 噛み合ったら 맞물리면 |
카미아우 噛み合う 맞물리다 하구루마 가 카미앗타라 우고키다스
歯車が噛み合ったら動き出す。
톱니바퀴가 맞물리면 움직이기 시작한다.
|
이타미 가 카사낫타라
痛みが重なったら
아픔이 겹치면
이 문장은 주어(痛み) + 동사(重なる)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픔이 겹치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が'는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내고, 'たら'는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형으로 '겹치면'이라는 의미를 부여합니다.
신체적 또는 정신적 고통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痛 아플 통 이타미 痛み 아픔 |
카레 하 이타미 오 칸지타
彼は痛みを感じた。
그는 아픔을 느꼈다.
|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가 が ~가 |
네코 가 스키 데스
猫が好きです。
고양이를 좋아합니다.
|
동사 '重なる'의 조건형으로, '겹치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의 조건을 나타냅니다.
重 무거울 중 카사낫타라 重なったら 겹치면 |
카사나루 重なる 겹치다 요테이 가 카사낫타라 도우스루
予定が重なったらどうする?
일정이 겹치면 어떻게 할 거야?
|
코코로 카라다 아타마
ココロカラダアタマ
마음, 몸, 머리
이 문장은 세 개의 명사 'ココロ(마음)', 'カラダ(몸)', 'アタマ(머리)'가 나열된 형태로, 각각의 요소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전체적으로는 감정과 신체, 정신을 포괄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감정이나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코코로 ココロ 마음 |
코코로 心 마음 카레 노 코코로 와 야사시이
彼のココロは優しい。
그의 마음은 따뜻하다.
|
신체나 육체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카라다 カラダ 몸 |
카라다 体 몸 카레 와 카라다 가 조부 다
彼はカラダが丈夫だ。
그는 몸이 튼튼하다.
|
머리나 두뇌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아타마 アタマ 머리 |
아타마 頭 머리 카노조 와 아타마 가 요이
彼女はアタマが良い。
그녀는 머리가 좋다.
|
미나깃테 유쿠 난다카
みなぎってゆく何だか
뭔가로 가득 차오르고 있어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상태로, '뭔가로 가득 차오르고 있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みなぎってゆく'는 '가득 차오르다'라는 동사로, '何だか'는 '뭔가'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주어가 생략된 상태에서 감정이나 에너지가 가득 차오르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에너지나 감정이 가득 차오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미나깃테 みなぎって 가득 차오르다 |
미나기루 みなぎる 가득 차오르다 카레 노 코코로 와 요로코비 데 미나깃테 이루
彼の心は喜びでみなぎっている。
그의 마음은 기쁨으로 가득 차 있다.
|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유쿠 ゆく 가다 |
이쿠 行く 가다 카레 와 마이니치 각코우 에 유쿠
彼は毎日学校へゆく。
그는 매일 학교에 간다.
|
정확하지 않은 상태나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何 어찌 하 난다카 何だか 뭔가 |
난다카 쿄우 와 키분 가 이이
何だか今日は気分がいい。
뭔가 오늘은 기분이 좋아.
|
세나카 니 이마 하네 가 하에타 나라바
背中に今羽が生えたならば
지금 내 등에 날개가 돋아난다면
이 문장은 가정법을 사용하여 '만약 ~라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背中に'는 '등에'라는 장소를 나타내고, '今'는 '지금'이라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羽が生えたならば'는 '날개가 돋아난다면'이라는 가정적인 상황을 설명합니다. 전체적으로 '지금 내 등에 날개가 돋아난다면'이라는 상상적인 상황을 표현합니다.
사람의 등 부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背 등 배, 中 가운데 중 세나카 背中 등 |
세나카 가 이타이
背中が痛い。
등이 아프다.
|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각코 니 이쿠
学校に行く。
학교에 가다.
|
현재의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今 이제 금 이마 今 지금 |
이마, 난지 데스 카?
今、何時ですか?
지금 몇 시예요?
|
새나 곤충의 날개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羽 깃 우 하네 羽 날개 |
토리 노 하네 가 우츠쿠시이
鳥の羽が美しい。
새의 날개가 아름답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가 が ~이/가 |
네코 가 스키 데스
猫が好きです。
고양이를 좋아합니다.
|
식물이나 털 등이 자라거나 돋아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生 날 생 하에타 生えた 돋아났다 |
하에루 生える 돋아나다 쿠사 가 하에타
草が生えた。
풀이 돋아났다.
|
가정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만약 ~라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합니다.
나라바 ならば ~라면 |
나라 なら ~라면 모시 아메 가 후루 나라바, 이에 니 이마스
もし雨が降るならば、家にいます。
만약 비가 온다면, 집에 있을 거예요.
|
쿠라야미 카라 오사라바 에이
暗闇からおさらば ayy
어둠에서 작별을 고하고, ayy
이 문장은 '暗闇からおさらば'와 'ay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暗闇からおさらば'는 '어둠에서 작별을 고하다'라는 의미로, '暗闇'은 '어둠', 'から'는 '~로부터', 'おさらば'는 '작별'을 의미합니다. 'ayy'는 감탄사로, 감정이나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전체적으로 어둠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표현합니다.
빛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로, 물리적 또는 비유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暗 어두울 암, 闇 숨을 암 쿠라야미 暗闇 어둠 |
쿠라야미 노 나카 데 나니모 미에나이
暗闇の中で何も見えない。
어둠 속에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
출발점이나 기원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카라 から ~로부터 |
에키 카라 이에 마데 아루쿠
駅から家まで歩く。
역에서 집까지 걷다.
|
헤어짐이나 이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오사라바 おさらば 작별 |
사라바 さらば 작별 토모다치 니 오사라바 오 이우
友達におさらばを言う。
친구에게 작별을 고하다.
|
감탄사로, 감정이나 분위기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에이 ayy 에이 |
에이, 댓츠 어메이징
Ayy, that's amazing!
에이, 정말 대단해!
|
토비 탓테이쿠 카나타 에이
飛び立っていく彼方 ayy
멀리 날아가다 ayy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상태로, '飛び立っていく彼方'는 '멀리 날아가다'라는 의미의 동사구입니다. '飛び立っていく'는 '날아가다'를 의미하며, '彼方'는 '저편' 또는 '멀리'를 의미합니다. 문장 끝의 'ayy'는 감탄사로, 감정을 강조하거나 리듬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날아오르다'와 '가다'가 결합된 형태로, 무언가가 하늘로 날아가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飛 날 비, 立 설 립 토비 탓테이쿠 飛び立っていく 날아가다 |
토비타츠 飛び立つ 날아오르다 토리 가 소라 니 토비 탓테이쿠
鳥が空に飛び立っていく。
새가 하늘로 날아간다.
|
멀리 떨어진 곳이나 방향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彼 저 피, 方 모 방 카나타 彼方 저편, 멀리 |
카나타 니 야마 가 미에루
彼方に山が見える。
저편에 산이 보인다.
|
감탄사로, 감정을 강조하거나 리듬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에이 ayy 에이 |
렛츠 고우, 에이
Let's go, ayy!
가자, 에이!
|
코코로 카라다 아타마
ココロカラダアタマ
마음, 몸, 머리
이 문장은 세 개의 명사 'ココロ(마음)', 'カラダ(몸)', 'アタマ(머리)'가 나열된 형태로, 각각의 요소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전체적으로는 감정과 신체, 정신을 포괄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감정이나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코코로 ココロ 마음 |
코코로 心 마음 카레 노 코코로 와 야사시이
彼のココロは優しい。
그의 마음은 따뜻하다.
|
신체나 육체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카라다 カラダ 몸 |
카라다 体 몸 카레 와 카라다 가 조부 다
彼はカラダが丈夫だ。
그는 몸이 튼튼하다.
|
머리나 두뇌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아타마 アタマ 머리 |
아타마 頭 머리 카노조 와 아타마 가 요이
彼女はアタマが良い。
그녀는 머리가 좋다.
|
나츠카시이 아타타카사
懐かしい暖かさ
그리운 따뜻함
이 문장은 명사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懐かしい'는 '그리운'이라는 형용사로, '暖かさ'는 '따뜻함'이라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과거의 따뜻한 기억이나 감정을 떠올리게 하는 표현입니다.
과거의 기억이나 사람, 장소 등이 그리울 때 사용하는 형용사입니다.
懐 품을 회 나츠카시이 懐かしい 그리운 |
나츠카시이 토모다치 니 앗타
懐かしい友達に会った。
그리운 친구를 만났다.
|
온도나 감정적으로 따뜻한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暖 따뜻할 난 아타타카사 暖かさ 따뜻함 |
아타타카이 暖かい 따뜻하다 아타타카사 오 칸지루
暖かさを感じる。
따뜻함을 느끼다.
|
아시모토니 이마 하나가 사이타 나라바
足元に今花が咲いたならば
발밑에 지금 꽃이 피었다면
이 문장은 가정법을 사용하여 '만약 ~라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足元に'는 '발밑에'라는 장소를 나타내고, '今花が咲いたならば'는 '지금 꽃이 피었다면'이라는 가정적인 상황을 설명합니다. 전체적으로 꽃이 피는 상황을 상상하는 문장입니다.
발의 아래쪽, 즉 발밑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足 발 족, 元 으뜸 원 아시모토 足元 발밑 |
아시모토니 추이시테쿠다사이
足元に注意してください。
발밑을 조심하세요.
|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로, '~에'라는 의미입니다.
니 に ~에 |
각코니 이키마스
学校に行きます。
학교에 갑니다.
|
현재의 시점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今 이제 금 이마 今 지금 |
이마, 난지데스카
今、何時ですか?
지금 몇 시예요?
|
식물의 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花 꽃 화 하나 花 꽃 |
하나가 키레이데스
花がきれいです。
꽃이 예뻐요.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로, '~이/가'라는 의미입니다.
가 が ~이/가 |
네코가 이마스
猫がいます。
고양이가 있어요.
|
꽃이 피는 동사 '咲く'의 과거형으로, '피었다'라는 의미입니다.
咲 웃을/필 소 사이타 咲いた 피었다 |
사쿠 咲く 피다 사쿠라가 사이타
桜が咲いた。
벚꽃이 피었다.
|
가정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만약 ~라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합니다.
나라바 ならば ~라면 |
나라 なら ~라면 모시 아메가 후루나라바, 이에니 이마스
もし雨が降るならば、家にいます。
만약 비가 온다면, 집에 있을 거예요.
|
쿠라야미 카라 오사라바 에이
暗闇からおさらば ayy
어둠에서 작별을 고하고, ayy
이 문장은 '暗闇からおさらば'와 'ay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暗闇からおさらば'는 '어둠에서 작별을 고하다'라는 의미로, '暗闇'은 '어둠', 'から'는 '~로부터', 'おさらば'는 '작별'을 의미합니다. 'ayy'는 감탄사로, 감정이나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전체적으로 어둠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표현합니다.
빛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로, 물리적 또는 비유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暗 어두울 암, 闇 숨을 암 쿠라야미 暗闇 어둠 |
쿠라야미 노 나카 데 나니모 미에나이
暗闇の中で何も見えない。
어둠 속에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
출발점이나 기원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카라 から ~로부터 |
에키 카라 이에 마데 아루쿠
駅から家まで歩く。
역에서 집까지 걷다.
|
헤어짐이나 이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오사라바 おさらば 작별 |
사라바 さらば 작별 토모다치 니 오사라바 오 이우
友達におさらばを言う。
친구에게 작별을 고하다.
|
감탄사로, 감정이나 분위기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에이 ayy 에이 |
에이, 댓츠 어메이징
Ayy, that's amazing!
에이, 정말 대단해!
|
토비 탓테이쿠 카나타 후
飛び立っていく彼方 hoo
날아가 버리는 저편 hoo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상태로, '飛び立っていく彼方'는 '날아가 버리는 저편'을 의미합니다. '飛び立っていく'는 '날아가다'라는 동사에 진행형을 나타내는 'いく'가 붙어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며, '彼方'는 '저편'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마지막의 'hoo'는 감탄사로, 감정을 강조합니다.
'飛び立つ'는 '날아오르다'라는 의미의 동사이고, 'いく'는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어 '날아가다'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飛 날 비, 立 설 립 토비 탓테이쿠 飛び立っていく 날아가다 |
토비타츠 飛び立つ 날아오르다 토리 가 소라 니 토비 탓테이쿠
鳥が空に飛び立っていく。
새가 하늘로 날아간다.
|
멀리 떨어진 곳이나 방향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彼 저 피, 方 모 방 카나타 彼方 저편 |
카나타 니 야마 가 미에루
彼方に山が見える。
저편에 산이 보인다.
|
감탄사로, 감정을 강조하거나 리듬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후 hoo 후 |
카레 와 고오루 오 키메테 '후' 토 사켄다
彼はゴールを決めて「hoo」と叫んだ。
그는 골을 넣고 '후'라고 외쳤다.
|
난도 닷테 이키루
何度だって生きる
몇 번이고 살아간다
이 문장은 '何度だって'와 '生きる'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何度だって'는 '몇 번이고'라는 의미로, 반복적인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生きる'는 '살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존재하거나 삶을 이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몇 번이고 살아간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횟수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몇 번'이라는 의미입니다.
何 어찌 하,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난도 何度 몇 번 |
난도 모 초센 시타
何度も挑戦した。
몇 번이고 도전했다.
|
강조나 예외를 나타내는 조사로, '라도'라는 의미입니다.
닷테 だって ~라도 |
카레 닷테 데키루
彼だってできる。
그 사람도 할 수 있다.
|
삶을 이어가거나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生 날 생 이키루 生きる 살다 |
카레 와 시아와세 니 이키테 이루
彼は幸せに生きている。
그는 행복하게 살고 있다.
|
오마에 야 키미 노 나카
お前や君の中
너와 너의 마음속
이 문장은 'お前や君の中'로 구성되어 있으며, 'お前'와 '君'는 각각 '너'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や'는 나열을 나타내는 조사로, 'AやB'는 'A와 B'라는 의미입니다. 'の中'는 '~의 안'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앞의 명사들과 결합하여 '너와 너의 마음속'이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친근하거나 다소 거친 느낌으로 상대방을 부를 때 사용하는 2인칭 대명사입니다.
前 앞 전 오마에 お前 너 |
오마에 와 도오 오모우
お前はどう思う?
너는 어떻게 생각해?
|
여러 가지를 나열할 때 사용하는 조사로, 'AやB'는 'A와 B'라는 의미입니다.
야 や ~와 |
링고 야 바나나 가 스키 데스
リンゴやバナナが好きです。
사과와 바나나를 좋아합니다.
|
상대방을 부를 때 사용하는 2인칭 대명사로, 주로 친근한 관계에서 사용됩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
키미 와 도코 니 이루 노
君はどこにいるの?
너는 어디에 있어?
|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여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카레 노 혼 데스
彼の本です。
그의 책입니다.
|
어떤 공간이나 범위의 내부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中 가운데 중 나카 中 안 |
헤야 노 나카 니 이마스
部屋の中にいます。
방 안에 있습니다.
|
마부타 노 우라 야 미미 노 나카
瞼の裏や耳の中
눈꺼풀 뒤나 귀 속
이 문장은 명사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瞼の裏'는 '눈꺼풀 뒤'를, '耳の中'는 '귀 속'을 의미합니다. 'や'는 나열을 나타내는 조사로, 'AやB'는 'A와 B'라는 의미입니다. 전체적으로 눈꺼풀 뒤나 귀 속과 같은 신체 부위를 나열하여 묘사하는 구조입니다.
눈을 보호하는 피부 부분으로, 눈을 감거나 뜰 때 움직이는 부분입니다.
瞼 눈시울 검 마부타 瞼 눈꺼풀 |
마부타 가 오모이
瞼が重い。
눈꺼풀이 무겁다.
|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여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카레 노 혼
彼の本。
그의 책.
|
어떤 물체의 뒷면이나 보이지 않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裏 속 리 우라 裏 뒤 |
카미 노 우라 니 카쿠
紙の裏に書く。
종이의 뒤에 쓰다.
|
여러 가지를 나열할 때 사용하는 조사로, 'AやB'는 'A와 B'라는 의미입니다.
야 や ~와 |
링고 야 바나나 가 스키
リンゴやバナナが好き。
사과와 바나나를 좋아한다.
|
소리를 듣는 신체 부위입니다.
耳 귀 이 미미 耳 귀 |
미미 가 이타이
耳が痛い。
귀가 아프다.
|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여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카레 노 혼
彼の本。
그의 책.
|
어떤 공간이나 범위 안을 의미합니다.
中 가운데 중 나카 中 속 |
하코 노 나카 니 아루
箱の中にある。
상자 속에 있다.
|
무네 노 오쿠 니 이츠이테루 메로디 리즈무 니
胸の奥に居着いてるメロディー リズムに
가슴 깊이 자리 잡고 있는 멜로디와 리듬에
이 문장은 주어(胸の奥に居着いてるメロディー)와 부사구(リズムに)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胸の奥に居着いてるメロディー'는 '가슴 깊이 자리 잡고 있는 멜로디'를 의미하며, 'リズムに'는 '리듬에'라는 의미로, 멜로디와 리듬이 가슴 깊이 자리 잡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신체 부위인 '가슴'을 의미합니다.
胸 가슴 흉 무네 胸 가슴 |
카레 와 무네 오 핫테 아루이타
彼は胸を張って歩いた。
그는 가슴을 펴고 걸었다.
|
명사 앞에 위치하여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카레 노 혼 와 오모시로이
彼の本は面白い。
그의 책은 재미있다.
|
어떤 장소의 깊숙한 부분을 의미합니다.
奥 깊을 오 오쿠 奥 깊이 |
야마 노 오쿠 니 무라 가 아루
山の奥に村がある。
산 깊숙한 곳에 마을이 있다.
|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각코 니 이쿠
学校に行く。
학교에 간다.
|
어떤 장소에 머물러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居 살 거, 着 붙을 착 이츠이테루 居着いてる 자리 잡고 있는 |
이츠쿠 居着く 자리 잡다 카레 와 코코 니 이츠이테 이루
彼はここに居着いている。
그는 여기에 자리 잡고 있다.
|
음악에서 음의 높낮이와 리듬이 결합된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메로디 メロディー 멜로디 |
코노 메로디 와 스키 데스
このメロディーは好きです。
이 멜로디는 좋아요.
|
음악의 박자나 리듬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리즈무 リズム 리듬 |
리즈무 니 아와세테 오도루
リズムに合わせて踊る。
리듬에 맞춰 춤추다.
|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카레 니 테가미 오 카쿠
彼に手紙を書く。
그에게 편지를 쓰다.
|
예 다다란 다다란 다다란 다다란 다다란
Yeah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Yeah 다다단 다다단 다다단 다다단 다다단
이 문장은 감탄사 'Yeah'로 시작하여 감정을 표현하고, 이어지는 반복적인 음절 'ダンダダン'은 리듬을 강조합니다. 'ダンダダン'은 일본어에서 리듬이나 박자를 나타내는 의성어로 사용되며,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음악적 리듬을 강조합니다.
긍정의 뜻을 나타내는 비격식 표현입니다.
예 Yeah 그래 |
예, 아이 노우 왓 유 민
Yeah, I know what you mean.
그래, 무슨 말인지 알아.
|
일본어에서 리듬이나 박자를 나타내는 의성어로, 반복적인 소리를 표현합니다.
다다란 ダンダダン 다다단 |
타이코 가 다다란 토 나루
太鼓がダンダダンと鳴る。
북이 다다단 하고 울린다.
|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과 긴장감을 강조합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 단 ダンダダン 덴덴덴 |
단다 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덴덴덴 하고 북이 울린다.
|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과 긴장감을 강조합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 단 ダンダダン 덴덴덴 |
단다 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덴덴덴 하고 북이 울린다.
|
단다단 단다단 단다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단다단 단다단 단다단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특정한 리듬이나 소리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단 ダンダダン 단다단 |
단다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단다단 하고 북이 울린다.
|
쿄 모 사이노카와라 도 만 나카
今日も賽の河原ど真ん中
오늘도 삼도천 한가운데
이 문장은 '今日も'로 시작하여 '오늘도'라는 의미를 전달하며, '賽の河原ど真ん中'는 '사이노카와라 한가운데'라는 의미로, 특정 장소의 중심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오늘도 특정 장소의 중심에 있다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현재의 날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今 이제 금, 日 날 일 쿄 今日 오늘 |
쿄 노 텐키 와 하레 데스
今日の天気は晴れです。
오늘의 날씨는 맑습니다.
|
앞의 내용에 추가하여 같은 상황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모 も 도 |
와타시 모 이키마스
私も行きます。
저도 갑니다.
|
일본 전통 설화에 나오는 장소로, 죽은 아이들이 돌을 쌓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賽 굿할 새, 河 물 하, 原 언덕 원 사이노카와라 賽の河原 삼도천 |
사이노카와라 데 이시 오 츠무
賽の河原で石を積む。
사이노카와라에서 돌을 쌓다.
|
어떤 장소나 상황의 중심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真 참 진, 中 가운데 중 도 만 나카 ど真ん中 한가운데 |
만 나카 真ん中 가운데 헤야 노 도 만 나카 니 타츠
部屋のど真ん中に立つ。
방 한가운데에 서다.
|
츠미 아게테 쿠 톱 오브 톱 (톱 오브 톱)
積み上げてく top of top (top of top)
쌓아 올려, 최고 중의 최고 (최고 중의 최고)
이 문장은 일본어와 영어가 혼합된 형태로, '積み上げてく'는 '쌓아 올리다'라는 의미의 일본어 동사입니다. 'top of top'은 영어로 '최고 중의 최고'라는 의미입니다. 전체적으로 무언가를 쌓아 올려 최고에 도달하려는 노력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積み上げる'는 '쌓아 올리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てく'는 동작의 지속이나 진행을 나타냅니다.
積 쌓을 적, 上 윗 상 츠미 아게테 쿠 積み上げてく 쌓아 올리다 |
츠미 아게루 積み上げる 쌓아 올리다 카레 와 마이니치 이시 오 츠미 아게테 이루
彼は毎日石を積み上げている。
그는 매일 돌을 쌓아 올리고 있다.
|
영어로 '최고' 또는 '정상'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톱 top 최고 |
히 이즈 앳 더 톱 오브 히즈 클래스
He is at the top of his class.
그는 반에서 최고이다.
|
영어 전치사로, 소유나 관계를 나타냅니다.
오브 of ~의 |
더 컬러 오브 더 스카이 이즈 블루
The color of the sky is blue.
하늘의 색은 파란색이다.
|
반복되어 강조된 표현으로, '최고 중의 최고'라는 의미를 강화합니다.
톱 top 최고 |
쉬 리치드 더 톱 오브 더 마운틴
She reached the top of the mountain.
그녀는 산 정상에 도달했다.
|
오니 토 찬바라
鬼とチャンバラ
귀신과 칼싸움
이 문장은 '鬼とチャンバラ'로 구성되어 있으며, '鬼'는 '귀신'을 의미하고, 'チャンバラ'는 일본어로 '칼싸움'을 의미합니다. 'と'는 '와/과'를 의미하는 접속사로, 두 명사 '鬼'와 'チャンバラ'를 연결합니다. 전체적으로 '귀신과 칼싸움'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일본어에서 '귀신'이나 '악령'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鬼 귀신 귀 오니 鬼 귀신 |
오니 가 데루
鬼が出る。
귀신이 나온다.
|
두 개 이상의 명사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접속사입니다.
토 と 와/과 |
네코 토 이누
猫と犬。
고양이와 개.
|
일본어에서 칼싸움이나 검술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주로 사극에서의 검술 대결을 나타냅니다.
찬바라 チャンバラ 칼싸움 |
카레라 와 찬바라 오 타노신데 이루
彼らはチャンバラを楽しんでいる。
그들은 칼싸움을 즐기고 있다.
|
더 리리컬 체인소 매서커
The lyrical chainsaw massacre
가사로 이루어진 체인소 학살
이 문장은 'The lyrical chainsaw massacre'로 구성되어 있으며, 'lyrical'은 '가사의', 'chainsaw'는 '체인소', 'massacre'는 '학살'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가사로 이루어진 체인소 학살이라는 독특한 이미지를 전달합니다.
특정한 대상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정관사입니다.
더 The 그 |
더 캣 이즈 온 더 루프
The cat is on the roof.
그 고양이가 지붕 위에 있다.
|
노래의 가사와 관련된 것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리리컬 lyrical 가사의 |
리릭 lyric 가사 쉬 라이츠 리리컬 포에트리
She writes lyrical poetry.
그녀는 가사적인 시를 쓴다.
|
나무를 자르거나 다른 물체를 절단하는 데 사용하는 전동 도구입니다.
체인소 chainsaw 체인소 |
히 유즈드 어 체인소 투 컷 더 트리
He used a chainsaw to cut the tree.
그는 나무를 자르기 위해 체인소를 사용했다.
|
많은 사람이나 생명을 무자비하게 죽이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매서커 massacre 학살 |
더 매서커 워즈 어 트래직 이벤트
The massacre was a tragic event.
그 학살은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
와타루 오우나바라 하나우타 싱인 샤라라 (라-라)
渡る大海原 鼻歌 singin' sha-la-la (la-la)
대양을 건너며 콧노래로 'sha-la-la (라-라)'를 부른다
이 문장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첫 번째 부분 '渡る大海原'은 '대양을 건너다'라는 의미로, '渡る'는 '건너다'라는 동사이고, '大海原'은 '대양'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두 번째 부분 '鼻歌 singin' sha-la-la (la-la)'는 '콧노래로 'sha-la-la (라-라)'를 부르다'라는 의미로, '鼻歌'는 '콧노래', 'singin''은 '노래하다', 'sha-la-la (la-la)'는 감탄사로 사용됩니다. 전체적으로 대양을 건너며 콧노래를 부르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강이나 바다 등을 건너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渡 건널 도 와타루 渡る 건너다 |
카레 와 하시 오 와타루
彼は橋を渡る。
그는 다리를 건넌다.
|
넓고 큰 바다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大 큰 대, 海 바다 해, 原 언덕 원 오우나바라 大海原 대양 |
오우나바라 오 와타루
大海原を渡る。
대양을 건너다.
|
입을 다물고 부르는 노래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鼻 코 비, 歌 노래 가 하나우타 鼻歌 콧노래 |
카레 와 하나우타 오 우타우
彼は鼻歌を歌う。
그는 콧노래를 부른다.
|
'노래하다'라는 의미의 'sing'의 비공식적 축약형입니다.
싱인 singin' 노래하다 |
싱 sing 노래하다 쉬 이즈 싱인 어 송
She is singin' a song.
그녀는 노래를 부르고 있다.
|
노래나 감탄사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음절입니다.
샤라라 sha-la-la 샤라라 |
더 송 고우즈 샤라라
The song goes sha-la-la.
노래는 '샤라라'로 이어진다.
|
하라이타이 노 나라 마츠다이 마데 노 사츠타바 (오케이?)
祓いたいのなら末代までの札束 (okay?)
저주를 풀고 싶다면 대대로 이어질 만큼의 돈다발이 필요해 (오케이?)
이 문장은 주어(祓いたいのなら) + 목적어(末代までの札束)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祓いたいのなら'는 '저주를 풀고 싶다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내며, '末代までの札束'는 '대대로 이어질 만큼의 돈다발'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저주를 풀기 위해서는 막대한 돈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저주를 풀다'라는 의미의 동사 '祓う'의 원형에서 '풀고 싶다'라는 의미로 변형된 형태입니다.
祓 푸닥거리할 불 하라이타이 祓いたい 풀고 싶다 |
하라우 祓う 풀다 카레 와 아쿠료우 오 하라이타이 토 오못테 이루
彼は悪霊を祓いたいと思っている。
그는 악령을 풀고 싶어 한다.
|
조건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라면'이라는 의미입니다.
노 나라 のなら ~라면 |
나라 なら ~라면 이쿠 노 나라, 하야쿠 준비 시테
行くのなら、早く準備して。
갈 거라면, 빨리 준비해.
|
'末代'는 '대대'를 의미하고, 'までの'는 '까지의'라는 의미로, 대대로 이어질 정도의 것을 나타냅니다.
末 끝 말, 代 대신할 대 마츠다이 마데 노 末代までの 대대로 이어질 |
마츠다이 末代 대대 카레 노 이에 와 마츠다이 마데 츠즈쿠 토 이와레테 이루
彼の家は末代まで続くと言われている。
그의 집안은 대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해진다.
|
많은 돈이 묶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札 편지 찰, 束 묶을 속 사츠타바 札束 돈다발 |
카레 와 사츠타바 오 못테 이루
彼は札束を持っている。
그는 돈다발을 가지고 있다.
|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오케이?) (okay?) (오케이?) |
오케이 okay 오케이 렛츠 밋 앳 파이브, 오케이
Let's meet at 5, okay?
5시에 만나자, 오케이?
|
다레 가 히라이타 카 판 도라, 아토 와 나니 가 앗테모 시란 가 나 (노 웨이)
誰が開いたか禁(パン)后(ドラ) 後は何があっても知らんがな (no way)
누가 금단의 문을 열었는지 모르겠고, 그 후에는 무슨 일이 있어도 몰라 (절대 안 돼)
이 문장은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첫 번째 부분은 '誰が開いたか禁(パン)后(ドラ)'로, '누가 금단의 문을 열었는지'라는 의미입니다. '禁(パン)后(ドラ)'는 '금단의 문'을 의미하며, '誰が開いたか'는 '누가 열었는지'라는 의문을 나타냅니다. 두 번째 부분은 '後は何があっても知らんがな (no way)'로, '그 후에는 무슨 일이 있어도 몰라'라는 의미입니다. '知らんがな'는 '모르겠다'는 뜻의 비격식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금단의 문을 연 사람과 그 이후의 상황에 대한 무관심을 나타냅니다.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의문사로, '누구'라는 의미입니다.
誰 누구 수 다레 誰 누구 |
다레 가 쿠루 노?
誰が来るの?
누가 오는 거야?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로, '누가'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가 が ~가 |
카레 가 얏타.
彼がやった。
그가 했다.
|
문이나 물건을 열다를 의미하는 동사 '開く'의 과거형입니다.
開 열 개 히라이타 開いた 열었다 |
히라쿠 開く 열다 도아 오 히라이타.
ドアを開いた。
문을 열었다.
|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로, '인지'라는 의미입니다.
카 か ~인지 |
혼토니 소우 카?
本当にそうか?
정말로 그런가?
|
'금단의 문'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금지된 영역을 나타냅니다.
禁 금할 금, 后 임금/왕후 후 판 도라 禁(パン)后(ドラ) 금단의 문 |
판 도라 禁後 금단 판 도라 노 바쇼 니 하이루.
禁後の場所に入る。
금단의 장소에 들어가다.
|
시간이나 순서상 뒤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後 뒤 후 아토 와 後は 후에는 |
아토 後 후 아토 와 마카세테.
後は任せて。
후에는 맡겨.
|
무엇을 가리키는 의문사로, '무엇이'라는 의미입니다.
何 어찌 하 나니 가 何が 무엇이 |
나니 何 무엇 나니 가 오콧타 노?
何が起こったの?
무엇이 일어난 거야?
|
존재나 상황을 나타내는 동사 'ある'의 접속형입니다.
앗테모 あっても 있어도 |
아루 ある 있다 몬다이 가 앗테모 다이죠부.
問題があっても大丈夫。
문제가 있어도 괜찮아.
|
비격식 표현으로, '모르겠다'는 의미입니다.
知 알 지 시란 가 나 知らんがな 몰라 |
시라나이 知らない 모르다 손나 코토 시란 가 나.
そんなこと知らんがな。
그런 거 몰라.
|
강한 부정을 나타내는 영어 표현입니다.
노 웨이 (no way) 절대 안 돼 |
노 웨이 no way 절대 안 돼 노 웨이, 아이 캔트 두 댓.
No way, I can't do that.
절대 안 돼, 그건 못해.
|
난뱌쿠넨 맛타 카 초 히사시부리 노 샤바 다 (오)
何百年待ったか超久しぶりの娑婆だ (ooh)
몇 백 년을 기다렸는지, 정말 오랜만에 세상에 나왔어 (오)
이 문장은 주어(何百年待ったか) + 서술어(超久しぶりの娑婆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何百年待ったか'는 '몇 백 년을 기다렸는지'라는 의미로, 과거의 긴 시간을 강조합니다. '超久しぶりの娑婆だ'는 '정말 오랜만에 세상에 나왔다'라는 의미로, '娑婆'는 세상, 속세를 의미합니다. 문장 끝의 '(ooh)'는 감탄사로, 감정을 강조합니다.
수백 년이라는 긴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何 어찌 하, 百 일백 백, 年 해 년 난뱌쿠넨 何百年 몇 백 년 |
난뱌쿠넨 모 마에 노 하나시 다
何百年も前の話だ。
몇 백 년 전의 이야기다.
|
기다리다의 과거형으로, 기다린 시간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待 기다릴 대 맛타 카 待ったか 기다렸는지 |
마츠 待つ 기다리다 카레 와 나가이 아이다 맛타
彼は長い間待った。
그는 오랫동안 기다렸다.
|
매우 오랜만이라는 의미로, 긴 시간을 강조하는 형용사입니다.
超 뛰어넘을 초, 久 오랠 구 초 히사시부리 노 超久しぶりの 정말 오랜만의 |
히사시부리 久しぶり 오랜만 히사시부리 니 앗타
久しぶりに会った。
오랜만에 만났다.
|
'샤바'는 속세나 세상을 의미하며, '다'는 단정의 의미를 더합니다.
娑 춤출/사바세상 사, 婆 할미 파 샤바 다 娑婆だ 세상이다 |
샤바 娑婆 세상 샤바 니 모돗타
娑婆に戻った。
세상으로 돌아왔다.
|
감탄사로, 감정을 강조하거나 놀라움을 나타냅니다.
(오) (ooh) (오) |
오 ooh 오 (오) 스고이
(ooh) すごい!
(오) 대단해!
|
가키 야 와카바 마다 콧치 쿠룬쟈 네에 요 바카 가
ガキや若葉 まだコッチ来んじゃねーよバカが
어린애나 풋내기들, 아직 이쪽으로 오지 마, 바보야
이 문장은 감탄사와 명령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ガキや若葉'는 '어린애나 풋내기들'을 의미하며, 'まだコッチ来んじゃねーよ'는 '아직 이쪽으로 오지 마'라는 명령문입니다. 'バカが'는 '바보야'라는 감탄사로, 상대방을 비하하는 표현입니다. 전체적으로 상대방에게 경고하거나 비난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어린아이를 비하하는 표현으로, 미성숙한 사람을 가리킵니다.
가키 ガキ 어린애 |
아노 가키 와 혼토니 우루사이
あのガキは本当にうるさい。
저 어린애는 정말 시끄러워.
|
명사 사이에 사용되어 '또는'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야 や 또는 |
네코 야 이누 가 스키 데스
猫や犬が好きです。
고양이와 개를 좋아합니다.
|
경험이 부족한 사람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若 같을 약 | 반야 야, 葉 잎 엽 와카바 若葉 풋내기 |
와카바 노 운텐슈 와 마다 미즈쿠 다
若葉の運転手はまだ未熟だ。
풋내기 운전자는 아직 미숙하다.
|
어떤 일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마다 まだ 아직 |
마다 지칸 가 아루
まだ時間がある。
아직 시간이 있다.
|
화자 쪽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입니다.
콧치 コッチ 이쪽 |
콧치 こっち 이쪽 콧치 니 키테 쿠다사이
こっちに来てください。
이쪽으로 와 주세요.
|
'오지 마'라는 명령문으로, 상대방에게 접근하지 말라는 경고입니다.
来 올 래 쿠룬쟈 네에 요 来んじゃねーよ 오지 마 |
쿠루 나 来るな 오지 마 아부나이 카라 쿠룬쟈 네에 요
危ないから来んじゃねーよ。
위험하니까 오지 마.
|
상대방을 비하하거나 놀릴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바카 バカ 바보 |
아노 바카 와 나니 오 칸가에테 이루 노
あのバカは何を考えているの?
저 바보는 뭘 생각하고 있는 거야?
|
이마 타시카 니 메 가 앗타 나
今確かに目が合ったな
지금 확실히 눈이 마주쳤어
이 문장은 주어(目) + 부사(確かに) + 동사(合った)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今'는 '지금'을 의미하며, '確かに'는 '확실히'라는 의미의 부사로, 동사 '合った'는 '마주쳤다'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 지금 순간에 눈이 마주친 상황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현재의 시점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今 이제 금 이마 今 지금 |
이마 난지 데스 카
今、何時ですか?
지금 몇 시예요?
|
어떤 사실이나 상태가 확실함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確 굳을 확 타시카 니 確かに 확실히 |
타시카 確か 확실히 카레 와 타시카 니 소코 니 이타
彼は確かにそこにいた。
그는 확실히 거기에 있었다.
|
사람의 눈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目 눈 목 메 目 눈 |
카레 노 메 와 토테모 야사시이
彼の目はとても優しい。
그의 눈은 매우 부드럽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로, 주격 조사입니다.
가 が ~가 |
네코 가 스키 데스
猫が好きです。
고양이를 좋아합니다.
|
두 물체나 사람이 서로 맞닿거나 충돌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 '合う'의 과거형입니다.
合 합할 합 앗타 合った 마주쳤다 |
아우 合う 맞다 후타츠 노 파즈루 가 앗타
二つのパズルが合った。
두 퍼즐이 맞았다.
|
문장 끝에 붙여 화자의 감정이나 확신을 나타내는 종조사입니다.
나 な ~네 |
쿄우 와 사무이 나
今日は寒いな。
오늘은 춥네.
|
코우유우 코토 카요 샤마란
こーゆーことかよシャマラン
이런 일이구나, 샤말란
이 문장은 감탄사와 이름을 결합하여 화자의 놀라움이나 깨달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こーゆーことかよ'는 '이런 일이구나'라는 의미로, 'シャマラン'은 영화 감독 M. Night Shyamalan의 이름을 언급하여 그의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반전 요소를 암시합니다. 전체적으로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냅니다.
'이런'이라는 의미로, 앞서 언급된 상황이나 사물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코우유우 こーゆー 이런 |
코우유우 こういう 이런 코우유우 코토 가 스키 다
こーゆーことが好きだ。
이런 것을 좋아해.
|
어떤 사건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코토 こと 일 |
소레 와 타이헨 나 코토 다
それは大変なことだ。
그것은 큰 일이다.
|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어로, 놀라움이나 반문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카요 かよ 인가 |
카 か 인가 혼토 니 소 카요
本当にそうかよ?
정말 그런가?
|
영화 감독 M. Night Shyamalan의 이름으로, 그의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반전 요소를 암시합니다.
샤마란 シャマラン 샤말란 |
샤마란 노 에이가 와 오모시로이
シャマランの映画は面白い。
샤말란의 영화는 재미있다.
|
하이레타 하이레타 하이레타 하이레타 하이레타
ハイレタハイレタハイレタハイレタハイレタ
들어갔다 들어갔다 들어갔다 들어갔다 들어갔다
이 문장은 반복적인 감탄사 'ハイレタ'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들어갔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상황의 긴박함이나 반복성을 강조합니다.
'들어갔다'라는 의미의 동사 '入る'의 과거형으로, 어떤 장소나 상황에 들어간 것을 나타냅니다.
하이레타 ハイレタ 들어갔다 |
하이루 入る 들어가다 카레 와 헤야 니 하이레타
彼は部屋にハイレタ。
그는 방에 들어갔다.
|
네무리 아키타 사키 데 키미 가 맛테타
眠り飽きた先で君が待ってた
잠에서 깨어났을 때 네가 기다리고 있었어
이 문장은 주어(君が) + 동사(待ってた)로 구성되어 있으며, '君が待ってた'는 '네가 기다리고 있었다'라는 의미입니다. '眠り飽きた先で'는 '잠에서 깨어난 후에'라는 의미로, 주어와 동사 사이에 위치하여 시간적 배경을 제공합니다. 전체적으로 잠에서 깨어난 후에 네가 기다리고 있었던 상황을 묘사합니다.
잠을 자는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眠 잘 면 네무리 眠り 잠 |
네무루 眠る 잠자다 카레 와 후카이 네무리 니 오치타
彼は深い眠りに落ちた。
그는 깊은 잠에 빠졌다.
|
어떤 것에 대해 더 이상 흥미를 느끼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飽 배부를 포 아키타 飽きた 질렸다 |
아키루 飽きる 질리다 카레 와 소노 게에무 니 아키타
彼はそのゲームに飽きた。
그는 그 게임에 질렸다.
|
어떤 시점이나 장소의 앞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先 먼저 선 사키 데 先で 앞에서 |
사키 先 앞 미치 노 사키 데 맛테 이루
道の先で待っている。
길의 앞에서 기다리고 있다.
|
친근한 관계에서 상대방을 지칭하는 2인칭 대명사입니다.
君 임금 군 키미 가 君が 네가 |
키미 君 너 키미 가 스키 다
君が好きだ。
네가 좋아.
|
기다리는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과거형 동사입니다.
待 기다릴 대 맛테타 待ってた 기다리고 있었다 |
마츠 待つ 기다리다 카레 와 에키 데 맛테타
彼は駅で待ってた。
그는 역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
타테 토 호코 가 카타 오 다키 앗타라
盾と矛が肩を抱き合ったら
방패와 창이 어깨를 맞대고 포옹하면
이 문장은 '盾と矛が'로 시작하여 주어를 나타내고, '肩を抱き合ったら'로 이어져 조건을 나타내는 가정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盾'은 '방패', '矛'은 '창'을 의미하며, 서로 대립되는 두 사물이 '肩を抱き合ったら' 즉, '어깨를 맞대고 포옹하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합니다. 이는 대립이 화합으로 변할 때의 상황을 상상하는 표현입니다.
방어를 위한 도구로, 적의 공격을 막는 데 사용됩니다.
盾 방패 순 타테 盾 방패 |
타테 데 코게키 오 후세구
盾で攻撃を防ぐ。
방패로 공격을 막다.
|
두 개 이상의 사물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토 と ~와 |
네코 토 이누 가 이루
猫と犬がいる。
고양이와 개가 있다.
|
공격을 위한 무기로, 적을 찌르는 데 사용됩니다.
矛 창 모 호코 矛 창 |
호코 데 테키 오 츠쿠
矛で敵を突く。
창으로 적을 찌르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에서 주체를 강조합니다.
가 が ~가 |
카레 가 키타
彼が来た。
그가 왔다.
|
사람의 신체 부위 중 하나로, 팔과 목 사이에 위치합니다.
肩 어깨 견 카타 肩 어깨 |
카타 가 이타이
肩が痛い。
어깨가 아프다.
|
목적어를 나타내는 조사로, 동작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오 を ~을 |
혼 오 요무
本を読む。
책을 읽다.
|
'抱き合う'의 가정형으로, 서로 포옹하는 상황을 가정하는 표현입니다.
抱 안을 포, 合 합할 합 다키 앗타라 抱き合ったら 포옹하면 |
다키 아우 抱き合う 포옹하다 토모다치 토 다키앗타
友達と抱き合った。
친구와 포옹했다.
|
이카리가 키에 사앗타라
怒りが消え去ったら
분노가 사라진다면
이 문장은 조건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怒りが消え去ったら'는 '분노가 사라진다면'이라는 의미입니다. '怒り'는 '분노'를 의미하는 명사이고, 'が'는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냅니다. '消え去ったら'는 '사라진다면'이라는 의미의 동사 '消え去る'의 가정형입니다. 전체적으로 분노가 사라지는 상황을 가정하는 문장입니다.
감정 중 하나로, 화나거나 짜증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怒 성낼 노 이카리 怒り 분노 |
카레 노 이카리 와 스구 니 오사맛타
彼の怒りはすぐに収まった。
그의 분노는 곧 가라앉았다.
|
주격 조사로, 주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가 が ~가 |
네코 가 스키 데스
猫が好きです。
고양이를 좋아합니다.
|
'消え去る'의 가정형으로, 어떤 것이 완전히 사라지는 상황을 가정합니다.
消 사라질 소, 去 갈 거 키에 사앗타라 消え去ったら 사라진다면 |
키에 사루 消え去る 사라지다 카나시미 가 키에 사앗타라, 마타 와라에루
悲しみが消え去ったら、また笑える。
슬픔이 사라진다면, 다시 웃을 수 있다.
|
코코로 카라다 아타마
ココロカラダアタマ
마음, 몸, 머리
이 문장은 세 개의 명사 'ココロ(마음)', 'カラダ(몸)', 'アタマ(머리)'가 나열된 형태로, 각각의 요소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전체적으로는 감정과 신체, 정신을 포괄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감정이나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코코로 ココロ 마음 |
코코로 心 마음 카레 노 코코로 와 야사시이
彼のココロは優しい。
그의 마음은 따뜻하다.
|
신체나 육체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카라다 カラダ 몸 |
카라다 体 몸 카레 와 카라다 가 조부 다
彼はカラダが丈夫だ。
그는 몸이 튼튼하다.
|
머리나 두뇌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아타마 アタマ 머리 |
아타마 頭 머리 카노조 와 아타마 가 요이
彼女はアタマが良い。
그녀는 머리가 좋다.
|
미나깃테 유쿠 난다카
みなぎってゆく何だか
뭔가로 가득 차오르고 있어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상태로, '뭔가로 가득 차오르고 있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みなぎってゆく'는 '가득 차오르다'라는 동사로, '何だか'는 '뭔가'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전체적으로 주어가 생략된 상태에서 감정이나 에너지가 가득 차오르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에너지나 감정이 가득 차오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미나깃테 みなぎって 가득 차오르다 |
미나기루 みなぎる 가득 차오르다 카레 노 코코로 와 요로코비 데 미나깃테 이루
彼の心は喜びでみなぎっている。
그의 마음은 기쁨으로 가득 차 있다.
|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유쿠 ゆく 가다 |
이쿠 行く 가다 카레 와 마이니치 각코우 에 유쿠
彼は毎日学校へゆく。
그는 매일 학교에 간다.
|
정확하지 않은 상태나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何 어찌 하 난다카 何だか 뭔가 |
난다카 쿄우 와 키분 가 이이
何だか今日は気分がいい。
뭔가 오늘은 기분이 좋아.
|
세나카 니 이마 하네 가 하에타 나라바
背中に今羽が生えたならば
지금 내 등에 날개가 돋아난다면
이 문장은 가정법을 사용하여 '만약 ~라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背中に'는 '등에'라는 장소를 나타내고, '今'는 '지금'이라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羽が生えたならば'는 '날개가 돋아난다면'이라는 가정적인 상황을 설명합니다. 전체적으로 '지금 내 등에 날개가 돋아난다면'이라는 상상적인 상황을 표현합니다.
사람의 등 부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背 등 배, 中 가운데 중 세나카 背中 등 |
세나카 가 이타이
背中が痛い。
등이 아프다.
|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각코 니 이쿠
学校に行く。
학교에 가다.
|
현재의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今 이제 금 이마 今 지금 |
이마, 난지 데스 카?
今、何時ですか?
지금 몇 시예요?
|
새나 곤충의 날개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羽 깃 우 하네 羽 날개 |
토리 노 하네 가 우츠쿠시이
鳥の羽が美しい。
새의 날개가 아름답다.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가 が ~이/가 |
네코 가 스키 데스
猫が好きです。
고양이를 좋아합니다.
|
식물이나 털 등이 자라거나 돋아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生 날 생 하에타 生えた 돋아났다 |
하에루 生える 돋아나다 쿠사 가 하에타
草が生えた。
풀이 돋아났다.
|
가정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만약 ~라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합니다.
나라바 ならば ~라면 |
나라 なら ~라면 모시 아메 가 후루 나라바, 이에 니 이마스
もし雨が降るならば、家にいます。
만약 비가 온다면, 집에 있을 거예요.
|
쿠라야미 카라 오사라바 에이
暗闇からおさらば ayy
어둠에서 작별을 고하고, ayy
이 문장은 '暗闇からおさらば'와 'ay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暗闇からおさらば'는 '어둠에서 작별을 고하다'라는 의미로, '暗闇'은 '어둠', 'から'는 '~로부터', 'おさらば'는 '작별'을 의미합니다. 'ayy'는 감탄사로, 감정이나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전체적으로 어둠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표현합니다.
빛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로, 물리적 또는 비유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暗 어두울 암, 闇 숨을 암 쿠라야미 暗闇 어둠 |
쿠라야미 노 나카 데 나니모 미에나이
暗闇の中で何も見えない。
어둠 속에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
출발점이나 기원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카라 から ~로부터 |
에키 카라 이에 마데 아루쿠
駅から家まで歩く。
역에서 집까지 걷다.
|
헤어짐이나 이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오사라바 おさらば 작별 |
사라바 さらば 작별 토모다치 니 오사라바 오 이우
友達におさらばを言う。
친구에게 작별을 고하다.
|
감탄사로, 감정이나 분위기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에이 ayy 에이 |
에이, 댓츠 어메이징
Ayy, that's amazing!
에이, 정말 대단해!
|
토비 탓테이쿠 카나타 에이
飛び立っていく彼方 ayy
멀리 날아가다 ayy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상태로, '飛び立っていく彼方'는 '멀리 날아가다'라는 의미의 동사구입니다. '飛び立っていく'는 '날아가다'를 의미하며, '彼方'는 '저편' 또는 '멀리'를 의미합니다. 문장 끝의 'ayy'는 감탄사로, 감정을 강조하거나 리듬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날아오르다'와 '가다'가 결합된 형태로, 무언가가 하늘로 날아가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飛 날 비, 立 설 립 토비 탓테이쿠 飛び立っていく 날아가다 |
토비타츠 飛び立つ 날아오르다 토리 가 소라 니 토비 탓테이쿠
鳥が空に飛び立っていく。
새가 하늘로 날아간다.
|
멀리 떨어진 곳이나 방향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彼 저 피, 方 모 방 카나타 彼方 저편, 멀리 |
카나타 니 야마 가 미에루
彼方に山が見える。
저편에 산이 보인다.
|
감탄사로, 감정을 강조하거나 리듬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에이 ayy 에이 |
렛츠 고우, 에이
Let's go, ayy!
가자, 에이!
|
코코로 카라다 아타마
ココロカラダアタマ
마음, 몸, 머리
이 문장은 세 개의 명사 'ココロ(마음)', 'カラダ(몸)', 'アタマ(머리)'가 나열된 형태로, 각각의 요소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전체적으로는 감정과 신체, 정신을 포괄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감정이나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코코로 ココロ 마음 |
코코로 心 마음 카레 노 코코로 와 야사시이
彼のココロは優しい。
그의 마음은 따뜻하다.
|
신체나 육체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카라다 カラダ 몸 |
카라다 体 몸 카레 와 카라다 가 조부 다
彼はカラダが丈夫だ。
그는 몸이 튼튼하다.
|
머리나 두뇌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아타마 アタマ 머리 |
아타마 頭 머리 카노조 와 아타마 가 요이
彼女はアタマが良い。
그녀는 머리가 좋다.
|
나츠카시이 아타타카사
懐かしい暖かさ
그리운 따뜻함
이 문장은 명사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懐かしい'는 '그리운'이라는 형용사로, '暖かさ'는 '따뜻함'이라는 명사입니다. 전체적으로 과거의 따뜻한 기억이나 감정을 떠올리게 하는 표현입니다.
과거의 기억이나 사람, 장소 등이 그리울 때 사용하는 형용사입니다.
懐 품을 회 나츠카시이 懐かしい 그리운 |
나츠카시이 토모다치 니 앗타
懐かしい友達に会った。
그리운 친구를 만났다.
|
온도나 감정적으로 따뜻한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暖 따뜻할 난 아타타카사 暖かさ 따뜻함 |
아타타카이 暖かい 따뜻하다 아타타카사 오 칸지루
暖かさを感じる。
따뜻함을 느끼다.
|
아시모토니 이마 하나가 사이타 나라바
足元に今花が咲いたならば
발밑에 지금 꽃이 피었다면
이 문장은 가정법을 사용하여 '만약 ~라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足元に'는 '발밑에'라는 장소를 나타내고, '今花が咲いたならば'는 '지금 꽃이 피었다면'이라는 가정적인 상황을 설명합니다. 전체적으로 꽃이 피는 상황을 상상하는 문장입니다.
발의 아래쪽, 즉 발밑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足 발 족, 元 으뜸 원 아시모토 足元 발밑 |
아시모토니 추이시테쿠다사이
足元に注意してください。
발밑을 조심하세요.
|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로, '~에'라는 의미입니다.
니 に ~에 |
각코니 이키마스
学校に行きます。
학교에 갑니다.
|
현재의 시점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今 이제 금 이마 今 지금 |
이마, 난지데스카
今、何時ですか?
지금 몇 시예요?
|
식물의 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花 꽃 화 하나 花 꽃 |
하나가 키레이데스
花がきれいです。
꽃이 예뻐요.
|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로, '~이/가'라는 의미입니다.
가 が ~이/가 |
네코가 이마스
猫がいます。
고양이가 있어요.
|
꽃이 피는 동사 '咲く'의 과거형으로, '피었다'라는 의미입니다.
咲 웃을/필 소 사이타 咲いた 피었다 |
사쿠 咲く 피다 사쿠라가 사이타
桜が咲いた。
벚꽃이 피었다.
|
가정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만약 ~라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합니다.
나라바 ならば ~라면 |
나라 なら ~라면 모시 아메가 후루나라바, 이에니 이마스
もし雨が降るならば、家にいます。
만약 비가 온다면, 집에 있을 거예요.
|
쿠라야미 카라 오사라바 에이
暗闇からおさらば ayy
어둠에서 작별을 고하고, ayy
이 문장은 '暗闇からおさらば'와 'ay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暗闇からおさらば'는 '어둠에서 작별을 고하다'라는 의미로, '暗闇'은 '어둠', 'から'는 '~로부터', 'おさらば'는 '작별'을 의미합니다. 'ayy'는 감탄사로, 감정이나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전체적으로 어둠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표현합니다.
빛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로, 물리적 또는 비유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暗 어두울 암, 闇 숨을 암 쿠라야미 暗闇 어둠 |
쿠라야미 노 나카 데 나니모 미에나이
暗闇の中で何も見えない。
어둠 속에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
출발점이나 기원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카라 から ~로부터 |
에키 카라 이에 마데 아루쿠
駅から家まで歩く。
역에서 집까지 걷다.
|
헤어짐이나 이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오사라바 おさらば 작별 |
사라바 さらば 작별 토모다치 니 오사라바 오 이우
友達におさらばを言う。
친구에게 작별을 고하다.
|
감탄사로, 감정이나 분위기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에이 ayy 에이 |
에이, 댓츠 어메이징
Ayy, that's amazing!
에이, 정말 대단해!
|
토비 탓테이쿠 카나타 후
飛び立っていく彼方 hoo
날아가 버리는 저편 hoo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된 상태로, '飛び立っていく彼方'는 '날아가 버리는 저편'을 의미합니다. '飛び立っていく'는 '날아가다'라는 동사에 진행형을 나타내는 'いく'가 붙어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며, '彼方'는 '저편'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마지막의 'hoo'는 감탄사로, 감정을 강조합니다.
'飛び立つ'는 '날아오르다'라는 의미의 동사이고, 'いく'는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어 '날아가다'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飛 날 비, 立 설 립 토비 탓테이쿠 飛び立っていく 날아가다 |
토비타츠 飛び立つ 날아오르다 토리 가 소라 니 토비 탓테이쿠
鳥が空に飛び立っていく。
새가 하늘로 날아간다.
|
멀리 떨어진 곳이나 방향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彼 저 피, 方 모 방 카나타 彼方 저편 |
카나타 니 야마 가 미에루
彼方に山が見える。
저편에 산이 보인다.
|
감탄사로, 감정을 강조하거나 리듬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후 hoo 후 |
카레 와 고오루 오 키메테 '후' 토 사켄다
彼はゴールを決めて「hoo」と叫んだ。
그는 골을 넣고 '후'라고 외쳤다.
|
난도 닷테 이키루
何度だって生きる
몇 번이고 살아간다
이 문장은 '何度だって'와 '生きる'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何度だって'는 '몇 번이고'라는 의미로, 반복적인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生きる'는 '살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존재하거나 삶을 이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으로 '몇 번이고 살아간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횟수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몇 번'이라는 의미입니다.
何 어찌 하, 度 법도 도 | 헤아릴 탁 난도 何度 몇 번 |
난도 모 초센 시타
何度も挑戦した。
몇 번이고 도전했다.
|
강조나 예외를 나타내는 조사로, '라도'라는 의미입니다.
닷테 だって ~라도 |
카레 닷테 데키루
彼だってできる。
그 사람도 할 수 있다.
|
삶을 이어가거나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生 날 생 이키루 生きる 살다 |
카레 와 시아와세 니 이키테 이루
彼は幸せに生きている。
그는 행복하게 살고 있다.
|
오마에 야 키미 노 나카
お前や君の中
너와 너의 마음속
이 문장은 'お前や君の中'로 구성되어 있으며, 'お前'와 '君'는 각각 '너'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や'는 나열을 나타내는 조사로, 'AやB'는 'A와 B'라는 의미입니다. 'の中'는 '~의 안'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앞의 명사들과 결합하여 '너와 너의 마음속'이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친근하거나 다소 거친 느낌으로 상대방을 부를 때 사용하는 2인칭 대명사입니다.
前 앞 전 오마에 お前 너 |
오마에 와 도오 오모우
お前はどう思う?
너는 어떻게 생각해?
|
여러 가지를 나열할 때 사용하는 조사로, 'AやB'는 'A와 B'라는 의미입니다.
야 や ~와 |
링고 야 바나나 가 스키 데스
リンゴやバナナが好きです。
사과와 바나나를 좋아합니다.
|
상대방을 부를 때 사용하는 2인칭 대명사로, 주로 친근한 관계에서 사용됩니다.
君 임금 군 키미 君 너 |
키미 와 도코 니 이루 노
君はどこにいるの?
너는 어디에 있어?
|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여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카레 노 혼 데스
彼の本です。
그의 책입니다.
|
어떤 공간이나 범위의 내부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中 가운데 중 나카 中 안 |
헤야 노 나카 니 이마스
部屋の中にいます。
방 안에 있습니다.
|
마부타 노 우라 야 미미 노 나카
瞼の裏や耳の中
눈꺼풀 뒤나 귀 속
이 문장은 명사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瞼の裏'는 '눈꺼풀 뒤'를, '耳の中'는 '귀 속'을 의미합니다. 'や'는 나열을 나타내는 조사로, 'AやB'는 'A와 B'라는 의미입니다. 전체적으로 눈꺼풀 뒤나 귀 속과 같은 신체 부위를 나열하여 묘사하는 구조입니다.
눈을 보호하는 피부 부분으로, 눈을 감거나 뜰 때 움직이는 부분입니다.
瞼 눈시울 검 마부타 瞼 눈꺼풀 |
마부타 가 오모이
瞼が重い。
눈꺼풀이 무겁다.
|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여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카레 노 혼
彼の本。
그의 책.
|
어떤 물체의 뒷면이나 보이지 않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裏 속 리 우라 裏 뒤 |
카미 노 우라 니 카쿠
紙の裏に書く。
종이의 뒤에 쓰다.
|
여러 가지를 나열할 때 사용하는 조사로, 'AやB'는 'A와 B'라는 의미입니다.
야 や ~와 |
링고 야 바나나 가 스키
リンゴやバナナが好き。
사과와 바나나를 좋아한다.
|
소리를 듣는 신체 부위입니다.
耳 귀 이 미미 耳 귀 |
미미 가 이타이
耳が痛い。
귀가 아프다.
|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여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카레 노 혼
彼の本。
그의 책.
|
어떤 공간이나 범위 안을 의미합니다.
中 가운데 중 나카 中 속 |
하코 노 나카 니 아루
箱の中にある。
상자 속에 있다.
|
무네 노 오쿠 니 이츠이테루 메로디 리즈무 니
胸の奥に居着いてるメロディー リズムに
가슴 깊이 자리 잡고 있는 멜로디와 리듬에
이 문장은 주어(胸の奥に居着いてるメロディー)와 부사구(リズムに)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胸の奥に居着いてるメロディー'는 '가슴 깊이 자리 잡고 있는 멜로디'를 의미하며, 'リズムに'는 '리듬에'라는 의미로, 멜로디와 리듬이 가슴 깊이 자리 잡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신체 부위인 '가슴'을 의미합니다.
胸 가슴 흉 무네 胸 가슴 |
카레 와 무네 오 핫테 아루이타
彼は胸を張って歩いた。
그는 가슴을 펴고 걸었다.
|
명사 앞에 위치하여 소유나 속성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노 の ~의 |
카레 노 혼 와 오모시로이
彼の本は面白い。
그의 책은 재미있다.
|
어떤 장소의 깊숙한 부분을 의미합니다.
奥 깊을 오 오쿠 奥 깊이 |
야마 노 오쿠 니 무라 가 아루
山の奥に村がある。
산 깊숙한 곳에 마을이 있다.
|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각코 니 이쿠
学校に行く。
학교에 간다.
|
어떤 장소에 머물러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居 살 거, 着 붙을 착 이츠이테루 居着いてる 자리 잡고 있는 |
이츠쿠 居着く 자리 잡다 카레 와 코코 니 이츠이테 이루
彼はここに居着いている。
그는 여기에 자리 잡고 있다.
|
음악에서 음의 높낮이와 리듬이 결합된 것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메로디 メロディー 멜로디 |
코노 메로디 와 스키 데스
このメロディーは好きです。
이 멜로디는 좋아요.
|
음악의 박자나 리듬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리즈무 リズム 리듬 |
리즈무 니 아와세테 오도루
リズムに合わせて踊る。
리듬에 맞춰 춤추다.
|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니 に ~에 |
카레 니 테가미 오 카쿠
彼に手紙を書く。
그에게 편지를 쓰다.
|
예
Yeah
그래
이 문장은 감탄사 'Yeah'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 문장에 대한 동의나 긍정을 나타냅니다.
긍정의 뜻을 나타내는 비격식 표현으로, 앞의 말에 동의하거나 긍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 Yeah 그래 |
예 아이 언더스탠드 왓 유 민
Yeah, I understand what you mean.
그래, 네가 무슨 말 하는지 이해해.
|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과 긴장감을 강조합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 단 ダンダダン 덴덴덴 |
단다 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덴덴덴 하고 북이 울린다.
|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과 긴장감을 강조합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 단 ダンダダン 덴덴덴 |
단다 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덴덴덴 하고 북이 울린다.
|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단다 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덴덴덴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과 긴장감을 강조합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 단 ダンダダン 덴덴덴 |
단다 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덴덴덴 하고 북이 울린다.
|
단다단 단다단 단다단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ダンダダン
단다단 단다단 단다단
이 문장은 반복적인 의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ダンダダン'은 특정한 리듬이나 소리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리듬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일본어에서 북소리나 리듬을 나타내는 의성어로, 긴장감이나 박진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단다단 ダンダダン 단다단 |
단다단 토 타이코 가 나루
ダンダダンと太鼓が鳴る。
단다단 하고 북이 울린다.
|